조선일보 독자권익보호위원회(위원장 조순형 전 국회의원)가 2월 중순부터 3월 중순까지 한 달간 조선일보 보도에 대한 지면 비평을 서면으로 진행했다. 기존에는 오프라인 모임으로 진행하던 독자권익위를 코로나19 감염 방지를 위해 서면으로 진행했다고 한다.

참여자는 조 위원장을 비롯해 김경범(서울대 서어서문학과 교수), 김성철(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 김성호(연세대 정외과 교수), 김준경(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김태수(변호사), 손지애(이화여대 초빙교수), 위성락(전 주러시아 대사), 이덕환(서강대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명예교수), 정유신(핀테크지원센터장), 한은형(소설가), 홍승기(인하대 로스쿨 원장) 위원으로, 위원들은 서면으로 의견을 보냈다고 한다.

코로나19에 대한 정부 대책을 비판하는 독자권익위의 목소리가 여럿이었다.

한 독자위원은 “마스크 하나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정부는 현실과 동떨어진 대책을 뒤늦게 내놓고 있고, 그나마 빠르게 집행하지 못해 국민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며 “초기 상황을 잘못 판단하고 후속 사태를 수습하지도 못하는 무능력한 정부는 신천지 교회에 책임을 떠넘기려고 한다”고 전했다.

이 위원은 조선일보의 2월24일 “中감염원 차단했으면 재앙 없었다, '누가 왜 열었나' 밝히라” 사설에서 “정부가 코로나 수퍼 전파자”라고 쓴 것에 대해 “정곡을 찔렀다”며 칭찬했다. 해당 사설은 “정부가 사태 초기 중국을 거친 외국인 유입을 막는다는 방역의 기본만 제대로 지켰다면 신천지 대구 교회가 감염되는 사태도 있을 리 없다. 이들도 결국은 피해자일 뿐”이라고 썼다.

이 독자위원은 “조선일보는 정부의 말을 옮겨 쓰기보다 정부의 구체적이고 실질적 행동에 주목해 코로나19 대책의 실효성을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3월20일 조선일보 독자권익위 관련 기사.
▲3월20일 조선일보 독자권익위 관련 기사.

또 다른 독자위원 역시 정부를 비판하는 논조 강화를 주문했다. 두 번째 독자위원은 “‘공적 마스크 5부제’는 자유시장 경제를 천명한 헌법 제119조에 어긋나는 위헌적 정책”이라며 “정부가 ‘공적 마스크’라는 핑계로 영세 기업 제품을 임의로 책정한 가격으로 ‘강제 매입’하고 민간 약국을 ‘공적 판매소’로 지정해 마스크 판매를 강제할 수 있는 법적 근거는 없다”고 마스크 관련 대책을 비판했다.

이어 “마스크를 ‘공적 판매’하도록 강요하는 청와대 정책실장이 공개적으로 ‘사회주의적인 계획경제 방식’이라고 밝힌 것은 심각한 문제”라면서 “청와대 정책실이 마스크 실무 정책을 개발하는 것은 그들의 책임과 권한을 넘어선 것이라고 지적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세번째 독자위원의 의견은 문재인 대통령이 마스크 5부제 시행 후 대리 수령 범위를 넓히라고 한 것에도 비판했어야 했다는 내용이다.

이 독자위원은 3월7일 조선일보 “文대통령 ‘마스크 5부제, 대리 수령 범위 넓히라’” 기사를 두고 “문재인 대통령이 ‘(마스크) 대리 수령의 범위를 넓히라’고 했는데, 마스크 5부제 내용을 담은 ‘마스크 수급 안정화 대책’은 이틀 전 소집된 임시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한 것”이라며 “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발표한 내용을 대통령이 이틀 만에 수정하라고 지시하는 것은 정부 방역 정책에 대한 국민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비판해야 했는데, 그런 내용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 위원은 “또 코로나19 위기 경보를 최고 단계로 올릴 때 문 대통령은 국가의 모든 인적·물적 자원을 총동원해 감염병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전 국민의 단합과 협조를 호소하는 기회로 삼아야 되는데, 그러지 않았다”며 “전쟁·재난 등 국가적 위기에서 국가 최고 지도자의 대국민 메시지는 짧되 분명하고 일관성이 있어야 설득력과 호소력이 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의 메시지는 모호하고 일관성이 없고 전후 모순 등의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지적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대다수 조선일보 독자위원들이 조선일보에 현 정부의 대책을 더 비판해야 한다고 주문했지만 반대 의견도 나왔다. 한 독자위원은 입국 규제와 관련 외교부를 비판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 독자위원은 “한국인 입국 규제와 관련, 세계 100여 국에서 규제당하는 한국의 처지를 부각하고 대책 없는 외교부와 외교장관을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인 입국 규제는 급속히 확산된 코로나19 때문이지 외교적 대응과는 큰 관련이 없다”며 “한국인 입국 규제를 한국이 당했다는 식으로 보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