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코로나19 확진자가 사흘 만에 2000여명 늘어나 4000명을 넘어섰다.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되면서 3일 아침신문들 관심이 ‘한정된 의료자원 배분’을 둘러싼 방안 제시에 쏠렸다.

이날도 코로나19 소식들이 신문 주요 지면을 채웠다. 정부는 2일부터 환자 중증환자 중심 입원치료 운영에 들어갔다. 대구시는 치료시설 확보를 위해 정부에 긴급명령권 발동을 요청했다. 교육부는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교 개학을 2주 더 미루기로 했다.

다음은 이날 아침종합신문 1면 머리기사 제목이다.

경향신문 “전국 산발적 집단감염 못 막으면 장기화 우려”
국민일보 “전국 유치원‧초‧중‧고 개학 2주 더 연기”
동아일보 “‘코로나 극복에 써달라’ 암보험 깬 기초수급자”
서울신문 “공포 뚫고… 일상을 배달한다”
세계일보 “섣부른 정책이 혼선 초래… ‘치밀한 준비가 먼저’”
조선일보 “대구시장 ‘대통령 긴급명령으로 3000병상 구해달라’”
중앙일보 “기장군처럼 통장이 집집마다 나눠주자”
한겨레 “초중고 개학 23일로, 대학에선 재택수업”
한국일보 “코로나가 할퀸 교육… 개학 2주 더 미룬다”

2일 오후 4시 기준 누적 확진자는 4335명으로 전날보다 599명 늘었다. 지난달 28일(확진 2337명) 이후 사흘 만에 2000명 가까이 늘었다. 2일 밤 12시기준 사망자는 28명이 됐다. 2일 사망한 6명 중 2명은 오후 늦게 사후 확진자로 밝혀져, 대구지역 사망자는 18명이 됐다. 31명이 퇴원했다.

경향신문은 1면에 확산 추이를 전하며 “1일 자정 기준 전체 확진자 4212명 가운데 대구‧경북 지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88%(3705명)에 이르고, 이들 중 70% 이상이 신천지 교인이거나 이들에 의한 감염자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경향신문은 대구‧경북 지역 밖에서도 확진자 추이는 꺾이지 않거나 오히려 가팔라지고, 전파 경로가 파악되지 않은 지역사회 감염 양상도 뚜렷하다고 했다. 대구‧경북 이외 지역에선 매일 적게는 27명, 많게는 93명이 확진됐다. 전국의 지역사회 집단감염을 못 막으면 사태가 장기화할 우려가 크단 얘기다.

방역당국은 이날까지 밝혀진 확진자 정보를 토대로 코로나19 치명률을 발표했다. 국내 평균 치명률은 0.5%이며, 70대는 3.1%, 80세 이상은 3.7%로 고령자의 치명률이 평균의 6~7배였다 국내 인플루엔자 환자의 치명률(0.05~0.1%)에 비하면 5~10배 높고,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30%에 비하면 훨씬 낮다. 신문들은 1~3면 등 주요 지면에 이 소식을 전했다.

▲3일 경향신문 3면
▲3일 경향신문 3면
▲3일 경향신문 1면
▲3일 경향신문 1면

신문들 “중증 중심 입원 뒤늦어, 정부가 지자체 동원 나서야”

아침신문들은 의료체계를 어떻게 확진자 급증에 어떻게 대처할지를 놓고 주요하게 보도했다. 정부가 병상과 의료인력, 마스크 등을 확보하려 총력을 기울이지만 감염 확산세는 못 따라가고 있다.

정부는 2일부터 병상 확보를 위해 경증 환자는 생활치료시설로 옮기고 중증도 이상 환자만 입원치료하기로 했다. 중증 환자는 확진자의 20% 정도다. 종전의 ‘전원 입원’ 원칙을 바꾼 데 신문들은 뒤늦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전체 확진자의 73%가 몰린 대구 지역의 병상 부족은 아직도 심각하다. 경향신문은 “대구 지역 확진자 3분의2에 달하는 2000여명은 자가격리하며 입원 대기 중”이라고 했다. 경향은 시‧도 경계 없이 가장 시급한 환자에게 병상이 먼저 돌아가도록 지자체 간 긴밀한 협의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이날 “생활치료센터로 활용 가능한 공공연수원, 대기업 연수원 등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3000실 이상 확보해달라”며 대통령의 긴급명령권 발동을 요청했다. 대부분 신문이 이를 보도한 가운데 조선일보는 1면 머리에 다뤘다. 조선은 3면 기사에서 3가지 이유를 들어 이를 뒷받침했다. 대구 중증환자 200명을 받아줄 병원이 마땅찮다며 문제는 대형 병원들이 환자를 잘 받지 않으려 하고, 중증 환자를 타 시도로 옮기는 과정에서 숨지지 않도록 그에 앞서 타 시도 병원에서 치료해야 하는데 이것이 적극 이뤄지지 않는다고 했다. 생활치료센터도 모자라고, 경증 환자를 돌볼 의료진 확보도 문제다.

▲3일 조선일보 1면 머리기사
▲3일 조선일보 1면 머리기사

동아일보와 한겨레는 사설을 내 이번 방침 변경이 만시지탄이라며 신속 대응을 촉구했다. 동아일보는 “정부는 1일에야 입원 지침을 변경했지만 이미 환자 4명이 병실이 없어 의사 얼굴 한 번 못 보고 사망한 후였다”고 했다. 한겨레는 사설 “입원 대기 중 사망 4명째, ‘치료체계 개편’ 속도내야”에서 대구 확진자가 3000명을 넘었지만 확보된 생활치료센터는 160명 수용 수준이고 경북에 들어설 센터를 합쳐도 1000명 정도만 돌볼 수 있다며 모든 지자체의 협조를 촉구했다.

경향신문은 의료진 마스크 부족 문제도 계속되고 있다고 했다. 경향은 “방역당국에서 의료진이나 고위험군, 의심환자들 위주로 마스크를 쓰라고 하고 감염 위험이 적은 이들은 ‘사회적 거리 두기’로 대응하라고 선별 지침을 제시해야 한다”는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측 제언을 전했다. 반면 지원이 코로나19로 쏠리며 의료공백도 커진다. 경향은 “노숙인‧저소득층 등 사회 취약계층 진료를 도맡던 공공의료원이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전환되며 어디서도 치료를 못 받는 이들이 생기고 있다”며 정부의 전원 조율과 지자체의 적극 협조를 주문했다.

유치원‧초중고 개학 2주 더 미뤄져

교육부는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교 개학을 당초 9일에서 23일로 2주 더 미루기로 결정했다. 대학은 코로나19 사태가 안정될 때까지 무기한 온라인 재택수업을 진행토록 했다. 전국 학교들이 3주 문닫으며 돌봉 공백도 더 길어질 전망이다.

교육부는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제공하는 긴급돌봄 서비스를 추가 신청 받기로 했다. 앞서 정부는 돌봄 제공 시간을 오후 5시까지로 늘리고, 8살 이하 자녀를 둔 노동자의 무급 가족돌봄휴가엔 1인당 최대 50만원까지 비용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신문들은 미성년 확진자가 늘어나는 추세가 이번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국민일보와 동아일보, 서울신문, 세계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등 대부분 신문이 이 소식을 1면 머리 혹은 상단에 다뤘다.

▲3일 한국일보 1면 머리기사
▲3일 한국일보 1면 머리기사

‘이와중에 북 미사일’, 3곳서 사설

북한은 2일 원산 인근에서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발사했다. 북한 소식을 사설로 보도한 매체는 세계일보와 한겨레 정도다. 세 신문 모두 북한에 도발 중단을 요구한다고 밝혔지만 북한의 의도 해석은 달랐다.

세 신문들은 동북아시아 전체가 코로나19 감염병 퇴치와 방역에 온 힘을 쏟는 시기, 문재인 대통령이 3‧1절 기념사에서 남북 보건분야 협력과 감염병 확산 공동대응을 제안한 상황에서 발사가 이뤄져 더 문제라고 했다.

한겨레는 “전략무기와 거리가 먼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 그친 대목은 눈여겨볼 여지가 있다”며 “미국의 결단을 압박하려는 쪽에 더 무게를 둔 것으로 읽히기 때문”이라고 했다. 한국일보는 “이번 발사는 북한 내부동향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며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리만건 조직지도부장과 박태덕 농업부장을 공개 해임한 뒤 정권 구심력을 다지려는 시도로 읽었다. 세계일보는 “남한과 협력이나 대화에 나설 뜻이 없음을 재확인”했다며 “정부는 북한에 대한 환상에서 벗어나 긴 호흡으로 대북정책을 전면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3일 한겨레 사설
▲3일 한겨레 사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