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후 네 차례 가진 청와대 기자회견을 전수조사한 결과 노동·여성·소수자 이슈에 질문이 현격히 부족했다. 일부 언론사가 질문기회를 자주 얻었고, 몇몇 기자들에게 질문기회가 자주 돌아간 것도 나타났다.

2017년 취임 100일과 2018년·2019년·2020년 신년까지 4번의 회견에서 청와대 출입기자에게는 모두 76번의 질문기회가 주어졌다. 2017년 15명, 2018년 17명, 2019년, 2020년에는 22명의 기자가 질문했다. 외신기자에겐 모두 16번의 질문기회가 있었다. 5명 중 1명꼴이다. 1사1인 참석이 관행이었지만 현 정부에선 청와대 출입기자 모두에게 참석 기회를 줬다. 이후 참석 기자가 200여명으로 늘었다. 덕분에 올해 기자회견에선 BBS불교방송이 질문기회를 두 번 얻었다. 

▲ 2020년 문재인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사진=청와대
▲ 2020년 문재인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사진=청와대

분야별로 보면 ‘외교·안보’ 질문이 눈에 띄었다. 2017년 6건, 2018년 9건, 2019년 8건, 2020년 6건으로 총 29건(38.2%)의 질문이 나왔다. 대북정책·한미관계 관련 질문이 가장 많았고 강제 징용·위안부 합의 등 한일관계 질문도 해마다 등장했다. 경제분야 질문은 모두 15건(19.7%)으로 분류됐고 세제개편·부동산·경제성장·최저임금·고용악화·지역경제·기업규제·스타트업 등이 키워드였다. 

‘정치·사회’ 분야 질문은 2017년 7건, 2018년 5건, 2019년 6건, 2020년 11건으로 역시 29건(38.2%)이었다. 주요 키워드로는 인사·적폐청산·개헌·협치·지방분권 등이 눈에 띄었고 2020년에는 검찰 관련 질문이 돋보였다. 이밖에 대통령 개인의 퇴임 이후 계획이나 집권 20개월 소회를 묻는 등 ‘기타’ 분야 질문이 3건이었다. 

노동 관련 질문은 지난 4번의 기자회견에서 2건에 그쳤다. 2017년 오마이뉴스 기자가 노조조직률이 OECD 최하위권이라며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공권력의 대응이 부족하다는 비판에 입장을 물었고, 2019년에는 매일노동뉴스 기자가 최저임금 산입범위 확대, 탄력근로제 확대 등을 언급하며 현 정부의 노동정책 후퇴를 지적하고 이에 입장을 물었다. 

언론 관련 질문도 2건이었다. 2017년 YTN기자가 공적 소유구조를 가진 언론의 공정성 확보 방안을 물었고, 2019년에는 CBS기자가 문재인 정부에서 청와대로 직행한 언론인을 언급하며 폴리널리스트와 언론 독립성에 입장을 물었다. 여성 관련 질문은 단 1건에 그쳤는데, 그마저도 외신기자 질문이었다. 2019년 BBC 기자는 한국사회의 성 불평등이 심각하고 주요 보직의 여성 비율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언급하며 이를 극복할 계획을 물었다. 장애인·성소수자 관련 질문은 아예 없었다.

▲ 2020년 문재인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모습. 사진=청와대
▲ 2020년 문재인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모습. 사진=청와대

조사결과 일부 언론사가 상대적으로 질문기회를 자주 얻었다. 머니투데이가 4번, 연합뉴스·SBS·JTBC·경상일보·대전일보가 3번의 기회를 얻었다. 이밖에도 13곳의 언론사가 2차례 질문기회를 얻었다. 몇몇 기자에게도 질문기회가 자주 돌아갔다. 머니투데이 김성휘 기자는 해마다 기회를 얻어 4회 질문했고, 송충원 대전일보 기자와 김두수 경상일보 기자도 3회씩 질문했다. 이밖에 10명의 기자가 2차례 호명 받아 질문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청와대 기자회견에선 사전 질문지가 노출되는 등 문제가 많았다. 반면 문재인 대통령 기자회견은 ‘조율 없는 질문’, ‘준비되지 않은 답변’으로 차별성을 보였다. 그러나 형식에 대한 비판은 지금도 있다. 조선일보는 지난 15일자 사설에서 올해 신년 기자회견을 두고 “(검찰 관련 질의에) 대통령의 동문서답식 답변이 끝나자마자 청와대 대변인은 다른 분야 질문을 해달라고 요구했고 엉뚱한 주제로 넘어갔다”며 “기자들은 꼬리에 꼬리를 무는 보충 질문으로 국민의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