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들은 업무 자율성에 가장 만족하며 노후에 대한 두려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 자유는 2007년 참여정부 이후 가장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13일 발표한 ‘2019 언론인 조사’ 결과다. 

이번 조사에서 한국 언론 전반의 수행 수준을 5점 척도로 물은 결과 2007년 3.35점이었던 언론 자유도는 박근혜정부에서 임명된 KBS·MBC 사장이 정권교체 이후에도 머물던 2017년 2.85점까지 떨어졌으나 2019년 3.31점으로 크게 올랐다. 언론 자유를 제한하는 가장 큰 요인을 꼽는 질문(복수 응답)에서도 이명박·박근혜정부에서 대폭 상승했던 ‘정부나 정치권’이란 응답률(56.4%)은 현 정부 들어 크게 감소해 2019년 27.4%로 나타났다. 이 같은 기자들의 인식은 국경없는기자회의 언론자유지수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은 2016년 70위였던 언론자유지수가 문재인 정부 들어 상승해 지난해 41위를 기록한 바 있다. 

오늘날 언론 자유를 제한하는 가장 큰 요인을 꼽는 질문(복수 응답)에는 ‘광고주’가 68.4%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편집·보도국 간부’가 52.7%, ‘사주’(46.4%) 순이었다. 경제지 기자들이 ‘광고주’를 꼽은 비율이 90%로 가장 높았다. ‘독자·시청자·네티즌’이란 응답은 18.4%로, 최근 10년간 응답률 중 가장 높은 수치였다. ‘기자의 자기검열’이란 응답도 2017년 29.5%에서 2019년 32.5%로 상승했다.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기자들은 ‘정부·공인에 대한 비판 및 감시’(4.54점)를 언론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 꼽으며, ‘사회 현안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4.46점), ‘기업 활동에 대한 비판 및 감시’(4.36점)를 다음으로 중요한 역할로 꼽았다. 반면 ‘사회 현안에 대한 해결책 제시’(3.77점)에 대해서는 언론의 중요한 역할이라는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언론 보도로 발생하는 인격권 침해 원인으로는 ‘특종 및 속보 경쟁’이란 응답이 40.6%로 가장 높았으며 ‘선정적이거나 흥미 위주의 보도’(17.8%)가 뒤를 이었다.

종이신문·인터넷신문·뉴스통신사 기자들의 일주일 평균 기사 작성 건수는 지면 13.1건, 온라인 13.3건이었으며 방송기자는 13.9건으로 나타났다. 방송 기자들의 경우 스트레이트 기사가 8.3건, 영상 리포트는 2.8건이었다. 뉴스통신사 기자들의 경우 일주일 평균 17.4건, 종이신문·인터넷신문 기자는 평균 10건의 스트레이트 기사를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뉴스 유통에서 가장 중요한 플랫폼을 묻는 질문에는 ‘포털’이라는 응답이 인터넷 언론사 기자들에서 74.1%로 가장 높았던 반면 ‘동영상 플랫폼(유튜브)’라는 응답은 방송 기자들 사이에서 31.8%로 비교적 높았다. 

허위조작정보 해결 방안을 5점 척도로 평가했을 때 기자들은 ‘언론사의 정확한 정보 제공’(4.55점)을 가장 중요한 방안으로 꼽았다. 뒤를 이어 ‘플랫폼 사업자의 사회적 책무 강화’(4.36점), ‘팩트체크 등 검증시스템에 대한 지원’(4.27점) 순으로 나타났다. ‘민형사상 처벌과 법적 규제 강화’는 3.71점으로 가장 낮았다. 문제적 정보의 유형별 심각성을 5점 척도로 평가하게 한 결과 허위조작정보 4.36점, 어뷰징 기사는 4.31점, 오보 4.27점이었으며 광고성 기사는 3.96점이었다. 기자들이 ‘광고성 기사’에 상대적으로 관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관대할수록 기사량은 높아지기 마련이다. 

▲대한민국 기자들. ⓒ미디어오늘 자료사진
▲대한민국 기자들. ⓒ미디어오늘 자료사진

8개 직업 환경 요인별 만족도를 5점 척도로 물은 결과 ‘업무 자율성’이 3.5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직업 안정성’은 2.91점을 나타냈다. ‘노후 준비’ 만족도는 2.21점으로 가장 낮았다. ‘직업의 성장 가능성’도 2.62점으로 낮았다. 젊은 연차의 기자일수록 자율적인 업무환경에 만족하며 당장의 직업 안정성도 인식하고 있지만 산업적으로 언론계 전망은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높은 연차가 되었을 때, 또는 퇴사한 이후의 전망에 대해선 자신의 미래에 회의적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기자들의 50.2%는 주 52시간 근무제 정착을 위해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유연근무제 도입’(14%), ‘업무량 조정’(11.8%)이란 응답이 뒤를 이었다. 언론이 비중 있게 다뤄야 하는 사회 현안을 묻는 질문(복수 응답)에는 △빈부격차 해소(45%) △부정부패 청산(42.2%) △정치개혁(38.9%)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일간신문·방송·인터넷언론·뉴스통신사 기자 1956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6월26일부터 9월26일까지 3개월간 대면 면접 조사와 온라인 조사 병행으로 이뤄졌다. 메가리서치가 실사 대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1%포인트다. 보고서 전문은 2월 초 발간 예정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