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직장인의 73%가 올해 연차휴가를 다 못 썼다는 통계가 나왔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지난 3일 직장인 1451명을 조사한 결과 올해 연차휴가를 모두 사용했다고 답한 사람은 27%에 불과했다. 연차를 다 사용하지 못한 직장인의 61%는 연말까지 다 사용하지 못할 거라고 답했다. 사원·대리급은 ‘상사와 동료 눈치가 보여서(41%·37%)’, 과장급 이상은 ‘일이 많아서(37%)’ 휴가를 다 못 썼다고 답했다. 

잡코리아에서 지난 14일 발표한 게임전문 포털 게임잡 설문조사를 보면 게임업계에서 연차를 모두 사용한 직장인은 44.1%였다. 이들이 올해 연차를 다 사용하지 못한 이유로 ‘상사 등에 눈치가 보여서’를 꼽았다. 상급자들이 일을 놓지 않으니 하급자들이 덩달아 휴가를 못 쓴 것이다. 

현재 제도상으론 회사에서 직원들에게 연차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지난 19일 파이낸셜뉴스 기사 ‘연차계획 냈지만 출근해야되는 상황..“수당 못받고 일해요”’를 보면 연차사용촉진제도가 현장에 정착하지 못하는 이유가 나온다. 

▲ 2017년 5월9일 대선 당일 오후 8시30분 더불어민주당 개표상황실이 꾸려진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문재인 당시 후보가 당원과 지지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고 있다. 사진=이치열 기자
▲ 2017년 5월9일 대선 당일 오후 8시30분 더불어민주당 개표상황실이 꾸려진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문재인 당시 후보가 당원과 지지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고 있다. 사진=이치열 기자

 

1단계 연차사용 촉구, 2단계 사용시기 지정, 3단계 노무수령 거부 등 세 단계로 진행하는데 회사 인사팀에서 형식상 1~2단계를 진행하지만 실제 구성원들이 노무수령을 거부할 수 없거나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다. 기사에선 “사업주가 ‘일 하면 안 된다’는 식의 노무수령 거부를 표현해야 한다”는 고용노동부 관계자의 말을 전했다. 상급자들이 실제로 자신과 하급자들을 위해 연차사용 의지를 보여주지 않는 한 제도만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이에 노동존중을 내건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다음달인 지난 2017년 6월 말 “저는 연차휴가를 다 사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노동자의 충전과 안전을 위해 15일의 연차유급휴가를 의무적으로 사용하게 하겠다”고도 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가장 적게 쉰 점을 언급하며 휴식이 노동효율성 뿐 아니라 경제활성화·고용창출에도 효과가 있다고 했다. 

언론에서는 “문 대통령의 ‘휴가예찬론’”이라며 대통령 취임 12일 만에 연차휴가를 사용한 사실, 대선 당시에 ““휴식이 곧 국가경쟁력이다. 여름 휴가 12일 이상을 의무화하고 기본 연차유급휴가일 수를 20일로 늘리는 것도 검토하겠다”고 말한 사실 등을 함께 보도했다. 문 대통령의 휴가는 한해 21일이다. 

그러나 올해 문 대통령은 연차휴가를 5일 사용했다. 지난 2017년 5월 취임한 문 대통령은 2017년 총 14일 중 8일(57.1%)을 썼고, 지난해에는 21일 중 12일(57.1%)를 썼다. 올해는 23.8%로 가장 적게 연차를 썼다. 

선거기간이나 국정 초에 했던 선언을 꼭 지키지 못할 순 있다. 그렇다면 충분하게 설명하겠다는 게 역시 대통령의 후보시절 일관된 태도였다. 사정이 있어서 연차를 다 소진하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올해는 지난 두 해에 비해 급격히 연차소진이 떨어졌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국민일보에 “국내외 현안이 산적해 어쩔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 지난 2016년~2017년 겨울내내 1700만개의 촛불이 적폐청산, 사회개혁, 불평등해결 등을 요구했다. 사진=최창호 작가
▲ 지난 2016년~2017년 겨울내내 1700만개의 촛불이 적폐청산, 노동존중사회, 불평등 해결 등을 요구했다. 사진=최창호 작가

 

보통 직장에서 상급자들도 일이 많아서, 나름대로 중요한 사정이 있어서 휴가를 다 쓰지 못하고 있다. 직장인 한명 한명을 만나면 자신들의 상급자가 ‘정말 바빠서 휴가를 쓰지 못했을 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이들이 어느 직장에나 많다. 관행이 되고 사회 분위기로 굳어졌다. 그들의 동료와 하급자들까지 휴가를 다 쓰지 못하게 됐다. 그 결과 OECD에서 가장 길게 일하며 휴가조차 제대로 쓰지 못하는 나라가 됐다. 누군가 자신에게 주어진 휴가를 쓰는 것도 눈치 보는 현상이 벌어졌다. 

언론에서는 현 정부가 지나치게 노동시간을 단축하거나 친노동정책을 펴서 문제인 것처럼 비판하지만 실제 문 대통령은 휴가를 쓰지 않고 열심히 일만 한 상급자가 돼 버렸다. 문 대통령은 올해 여름휴가를 반납했고, 모친상으로 5일의 조사휴가를 받았음에도 이를 다 소진하지 않았다. 일반 직장에서도 이런 상급자가 있으면 다른 직원들이 이를 의식할 텐데 국정 최고책임자가 이런 모습을 보였다면 어떤 파급효과를 미칠까. 개혁이 성공하려면 리더십을 얻어야 하는데, 그 리더십은 상황이 좋지 않을 때도 자신의 공약이나 사회적 원칙을 지키는 모습에서 쌓이기 마련이다.

올해 문 대통령이 연차의 23%만 소진한 일은 회사에서 형식상 연차소진촉진 행위를 하면서도 이를 실제 실현할 분위기나 조건을 만들지 않는 것과 다르지 않다. 말로는 “휴식이 국가경쟁력”이라고 선언하며 “연차를 다 사용하겠다”고 했지만 몸이 정반대를 향한다면 그 말에 신뢰나 무게가 실릴 수 없다. 대통령의 행동은 그 자체로 중요한 메시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