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JTBC 기자 대부분은 중앙일보 법인 분할을 반대하거나 우려하고 있다. 고용 안정성 등 처우가 나빠지거나 근무강도와 매체 영향력 악화를 우려했다. 

중앙일보·JTBC통합노조(이하 중앙노조·위원장 허진)가 지난 9~12일 진행한 긴급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209명 중 152명(72.8%)이 사측의 법인 분할 계획에 반대한다고 답했다. 이 중 90명(43.1%)는 ‘적극 반대한다’고, 62명(29.7%)은 반대한다고 했다. ‘적극 찬성한다’는 6명(2.9%), ‘찬성한다’는 11명(5.3%)에 그쳤다. 

응답자들은 고용안정성 등 처우 악화를 가장 우려했다. 노조가 ‘법인 분할이 진행될 경우 가장 우려되는 점’을 묻자 응답자 99명(47.4%)이 고용안정성, 급여 등 처우 악화를 꼽았다. 38명(18.2%)은 중앙일보 매체 영향력 악화, 33명(15.8%)은 회사의 지속 가능성 악화가 우려된다고 답했다. 노동시간 증가 등 근무강도 악화를 걱정하는 직원들도 29명(13.9%)이었다. 

▲중앙일보 로고.
▲중앙일보 로고.

홍정도 중앙일보 대표이사는 지난 5일 중앙일보 법인을 ‘중앙일보A’와 ‘중앙일보M’으로 분할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기존 신문제작 전담부서를 중앙일보A로, 뉴스컨텐츠 제작 전담부서를 중앙일보M으로 분리해 별도 법인화할 방침이다. 

16일 발행된 중앙노보에는 이와 관련된 조합원들 발언이 실렸다. 조합원들은 “혁신을 명분으로 노동 유연화를 추진하는 것으로 밖에 이해되지 않는다”거나 “결국 법인 분할 후 노조 축소, 구조조정으로 갈 것”이라 밝혔다. “‘해보면 알겠지’라는 뇌피셜은 납득이 안된다” “혁신이란 미명하에 기자를 갈아 넣는 현재 구조를 납득할사람이 있나” 등의 강도높은 발언도 나왔다. 

업무 분장과 관련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2017년부터 신문 제작과 뉴스콘텐츠 생산을 분리해 운영했으나 현장에선 혼선이 빚어져왔다는 점에서다. 조직이 분리된 후에도 취재기자들이 지면 제작에 계속 투입되면서 업무강도 악화됐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한 조합원은 중앙노조에 ‘조직 개편 이후 신문 대장은 따로 확인을 안 해도 될 줄 알았는데 달라진 게 없다’고 답했다. 반면 ‘내 바이라인으로 기사가 신문에 실리는데 제목이 뭔지, 어떻게 배치되는지 알아야 한다’고 답한 조합원도 상당했다. 

신문 제작 부서의 고충도 컸다. 노보는 “신문 마감 시간은 다가오는데 취재 기자에게 맞춤형 주문을 할 수 없다 보니 뉴스룸에서 디지털 기사를 보내주기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며 “조간신문의 특성상 밤늦게 벌어지는 일을 지면에 담아야 하는데 지금과 같은 조직 분리 형태론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고 전했다. 

법인 간 경쟁이 유발되면서 조직 분위기가 악화될 수 있다는 걱정도 나왔다. 한 기자는 노보에 ‘신문이든 디지털이든 기사를 쓰는 기자인데 같은 사안을 취재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비교될 수밖에 없다. 편집국과 뉴스룸의 간부들이 이런 평가를 신경쓰기 시작하면 불과 며칠 전까지 같이 일하던 선후배들이 경쟁하는 상황에 놓인다’고 밝혔다. 

법인 분할 계획이 공식화되면서 내부 분위기가 술렁이자 중앙일보는 지난 9일 직원들을 대상으로 조직 개편 설명회를 열었다. 노조가 참여자 31명에게 ‘설명회가 만족스러웠느냐’고 묻자 41.9%가 ‘보통’이라 답했고 29%는 ‘매우 불만족’, 16.1%는 ‘불만족’이라 밝혔다. 

‘이직 제안이 오면 퇴사할 의향이 있느냐’는 물음에 적지 않은 기자들이 그렇다고 답했다. 41.1%(86명)는 ‘적극 고려하겠다’고, 58명(27.8%)이 ‘고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법인 분할 등 구조 개편이 진행될 경우 퇴사를 고려할거냐’는 물음엔 22.5%가 ‘고려하겠다’고, 12.9%가 ‘적극 고려하겠다’고 답했다. 

중앙일보A 발령을 지망할 의향이 있는 기자들 비율은 낮았다. 노조의 설문에 응답자 72.7%가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힌 응답자는 10%, ‘보통’이라 밝힌 비율은 11.5%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