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오늘 독자권익위원회(위원장 정연우)가 지난달 28일 서울 당산동 미디어오늘 회의실에서 5차 정례회의를 열고 1224~1227호에 실린 기사에 대해 토론했다. 이날 회의에는 정연우 세명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나영정 장애여성공감 활동가, 김동찬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처장, 이봉우 민주언론시민연합 모니터팀장, 김동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강사와 미디어오늘 이정호 편집국장, 이재진 미디어부장, 안혜나·금준경 기자가 참석했다. (이하 명칭 생략)

정연우 : KBS 출입처 폐지 이슈를 다뤘는데 참여정부 때 취재선진화 방안에 기자들이 왜 반발했는지도 함께 짚었으면 어땠을까. 출입처 제도가 장단점이 있으니 여러 입장을 미디어오늘이 공론화, 의제화할 필요가 있다.

김동원 : 동의한다. 공공기관은 어떠한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할 것인가, 노무현 정부 때 브리핑 제도 개편 사례가 왜 지금은 불가능한지 등을 재점화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언론은  어떤 대안적인 취재 시스템이 가능한가. 그 시스템이 효과를 본 사례가 있는가. 출입처 없이 데일리 뉴스를 채울 수 있느냐도 따져볼 수 있다.

김동찬 : KBS 독도 영상 미제공 문제를 다룬 기사는 KBS가 거짓말한 건 맞는데 그 과정과 경위를 자세하게 설명했으면 한다. KBS가 비판 받을 일이지만 영상 미제공 문제가 구조에 결정적인 악영향을 끼쳤는지를 생각해볼 필요도 있다.

이봉우 : 이 기사는 그동안 미디어오늘이 써온 기사보다 기자의 의견이 더 강하게 드러난다.

▲ 6차 미디어오늘 독자권익위원회 회의.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이정호 편집국장, 나영정 장애여성공감 활동가, 안혜나 편집기자, 정연우 세명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이봉우 민주언론시민연합 모니터팀장, 이재진 미디어부장, 김동찬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처장, 김동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사진=금준경 기자
▲ 6차 미디어오늘 독자권익위원회 회의.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이정호 편집국장, 나영정 장애여성공감 활동가, 안혜나 편집기자, 정연우 세명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이봉우 민주언론시민연합 모니터팀장, 이재진 미디어부장, 김동찬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처장, 김동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사진=금준경 기자

 

정연우 : “‘상 주고 돈 버는’ 언론사들… 동아일보가 1위” “공공기관에 ‘상 주고 돈 받은’ 언론사 1위는 중앙일보” 기사에서 1위 언론사들이 어떤 식의 거래를 했는지 드러내는 추가 취재가 필요하다고 본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관련 감사 청구하겠다는 내용이 기사에 있는데 국민권익위원회, 감사원쪽 입장도 물었으면 어땠을까.

이재진 : 같은 사안을 다룬 타사 기사의 경우 언론사가 아니라 지방자치단체가 주어로 돼 있다. 우리는 다르게 접근해 언론을 부각해서 기사를 썼다. 한 발 더 들어가야 한다는 말씀에 동의한다.

나영정 : 광고비는 이해가 되는데 홍보비는 더 문제가 있고 모호한 개념이라는 생각이 든다. 기사를 보면 홍보비가 광고비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김동찬 : 홍보비, 광고비, 전재료 등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말인데 일반 독자들이 볼 때는 파악하기 힘든 경우가 있다.

김동원 : 정책적 쟁점 사안에 대해 업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기사를 쓴다. “네이버에 뉴스 철학이 있는가”기사도 그렇다. 전문적인 용어가 많은 기사는 이슈를 업계만의 이슈로 좁히는 문제가 있다. 포털이 비마이너, 뉴스톱과 같은 다양성에 기여하는 매체를 외면하는 문제를 지적했는데 이런 이슈는 독자들에게도 중요하다. 공감할 수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

정연우 : 유료방송 인수합병 공정위 승인 기사를 보면 모르는 용어가 많다. 8VSB가 무슨 의미인지, 이 영역을 기준으로 시장을 획정한 게 어떤 의미인지 친절하게 설명하면 좋겠다.

금준경 : 쉽게 쓰는 건 필요하지만 한편으로 고민도 든다. 유료방송 이슈는 기본 전제인 ‘SO’ 개념을 모르시고 시청하는 경우가 많아 설명에 어려움이 있다. 크리에이터 국범근이 MBC 파업을 다룬 적 있는데 젊은 세대의 반응이 좋았다. 이 콘텐츠는 ‘파업’의 개념부터 설명한다. 쉽게 쓰는 건 어디까지 고려해야 할까. 타깃이 다르면 그들에게 맞는 새로운 기사를 기획할 필요도 있다고 본다.

김동찬 : 유료방송 인수합병 문제는 (시민사회 대응 차원에서) 저도 다뤘던 사안인데 시민들을 대상으로 논평을 쓰지는 않는다. 보편적으로 이해하는 개념 자체가 없어 쓰기 쉽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기사에서 다룬 공정거래위원회 문건을 저도 읽었는데 전문가들만 이해할 수 있는 복잡한 내용이기도 했다.

김동원 : 조사를 해보니 한국 이용자들은 알고리즘 뉴스 추천 시스템에 대한 거부감이 미국보다 적었는데 이 점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콘텐츠 비평 부문에서 대중적 접근을 해왔고, 정책과 환경 분야는 ‘그들만의 리그’로 봐왔기에 여전히 소통하기 힘든 게 아닐까.

안혜나 : 기사 하단에 용어 설명을 넣어주는 것도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나영정 : 문재인 대통령의 ‘국민과의 대화’를 다룬 “‘도떼기시장’에 대통령 밀어 넣고 아무도 만족 못했다” 기사는 포맷이 중구난방이라는 게 비판의 핵심이어야 했을까. 대통령은 차별금지법이나 동성혼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내세우며 정부 책임을 피하는데 여기에 대한 언급이 없어 아쉽다. 근본적으로 국민과의 대화가 불쌍한 사람들이 ‘상소’를 올리는 장으로 보이게 만든 것이 문제라고 보는데 미디어오늘에서 어떤 관점으로 비평하는지 초점이 보이지 않았다.

이정호 : 누구의 워딩을 받아서 쓰는 기사를 쓰지 말라고 하면서도 우리 스스로 그러는 문제가 있다. 여러 진영의 논리가 있는데 이를 뛰어넘는 비평을 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영정 : 언론을 보면 사건사고, 특히 강력범죄를 다룰 때 가해자의 범죄동기를 인용하는 기사가 많다. ‘쟤가 나를 무시했다’는 식의 말을 그대로 쓰는데 보도가치가 있는 건지, 의미 있는 정보인지 의문이다. 특히나 여성혐오 사건에서 ‘헤어지자고 해서 홧김에’ ‘나를 무시해서’ 이런 식으로 인용을 많이 한다. 따옴표 제목으로 인한 문제가 무엇이 있고, 이 문제가 사회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분석해주면 좋겠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