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언론노조 MBC본부(본부장 오동운)가 차기 MBC 사장 선임에 국민 참여를 보장하는 ‘공론화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MBC 구성원의 공정 방송 파업과 시민 지지로 지난 2017년 12월 새 사장에 취임한 최승호 현 사장의 임기는 2020년 2월까지다. 사장 선임 권한을 가진 MBC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이사장 김상균)도 이번 달부터 차기 사장 선임 논의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언론노조 MBC본부는 22일 노보를 통해 “1988년 출범 이후 방문진 이사회는 사실상 여야 6대3 구조로 구성돼 왔다. 이사 개개인이 합리성과 식견을 갖추더라도 방문진 논의가 정파적 틀을 넘어서지 못했던 이유”라며 “공영방송 MBC의 정치적 독립성을 제고하고 정치적 논란과 의혹을 해소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도 바로 국민 참여를 통한 사장 선임”이라고 강조했다.

▲ 서울 상암동 MBC 사옥. 사진=미디어오늘
▲ 서울 상암동 MBC 사옥. 사진=미디어오늘

이어 “더 나아가 현재 경영상 위기에 봉착한 MBC에는 정치권은 물론 MBC 내부 이해관계에 자유로운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이런 강력한 리더십을 확보하고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수단 역시 국민 참여 방식 말고 찾기 어렵다”고 밝혔다.

실제 KBS는 시민이 참여하는 방식을 도입해 양승동 현 사장을 선출했고, 신고리 원전 건설 같은 국가 정책에도 시민들이 참여한 바 있다. “공영언론사 사장을 왜 국민이 뽑지 못하느냐”며 ‘국민 대리인단’을 통한 공영언론 사장 선출이 필요하다는 생각은 고 이용마 MBC 기자 유지이기도 했다.

방문진도 최 사장 선출 당시 후보자 정책 설명회를 인터넷으로 생중계하고 시민 질문을 모아 최종면접에 반영했다. 하지만 국민 참여 수준이 제한됐다는 지적과 함께 사장 선출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전무하다시피해 사장 선임 절차에 정치가 개입하던 과거로 회귀할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하다.

언론노조 MBC본부는 “공영방송을 국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시대정신이 제도화하지 못한 건 전적으로 정치권 책임”이라고 지적한 뒤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혁 핵심은 사장 선임 과정에서 정치권 영향력을 배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공정하게 자문단을 구성하고 심사숙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면 공영방송이 바로 서는 데 또 하나 이정표가 세워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