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시민들의 검찰 규탄 집회를 가장 크고 상세히 보도한 언론은 조선일보였다. ‘사법 적폐청산 범국민 시민연대’는 이날 오후 6시부터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검찰 개혁하고 사법 적폐를 청산하자”는 요구였다. 

조국 법무부장관 측에 대한 검찰 수사에 문제의식을 느낀 이들이 ‘검찰 개혁’이란 화두로 모였다. 이날 집회는 주최 측 추산 3만여명(경찰 추산 5000여명)이 모였을 정도로 열기가 뜨거웠다. 

지난 토요일 집회라는 점에서 ‘월요일 조간’에 크게 싣기 어려운 아이템이다. 동아일보는 23일자 4면 하단 기사로 작게 실었고, 서울신문 역시 보수 정당·단체의 ‘조국 사퇴’ 집회와 동일한 분량으로 다루는 수준에 그쳤다. 한겨레도 4면에 집회 사진만 실었다. 

조선일보는 달랐다. ‘조국 사퇴’에 전사적 공력을 쏟는 이 신문은 4면 머리기사 “2년간 親朴 행태 욕하더니… 親文, 검찰청 몰려가 ‘정치검찰 규탄’”에서 검찰 규탄 소식을 크게 다뤘다. 

▲ 조선일보 23일자 4면.
▲ 조선일보 23일자 4면.

조선일보는 “이날 행사에서는 검찰에 대한 비난 발언과 함께 검찰 조사를 받았거나 받고 있는 여권 인사들에 대한 옹호 발언이 쏟아졌다. 친문계 손혜원 무소속 의원은 직접 마이크를 잡았다”고 서술하고는 손 의원이 목포 부동산 투기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사실을 강조했다. 재판 중인 유력 인사가 공개석상에서 검찰을 비난한 것은 문제라는 투다. 

조선일보는 “집회 클라이맥스는 군중의 ‘홀로 아리랑’ 합창이었다. 이들은 과거 조국 장관이 한 언론사 토크 콘서트에 출연해 홀로 아리랑을 부르는 영상을 틀어놓고 노래를 따라 불렀다. 노래가 끝나자 일부 참가자가 ‘조국 수호’를 연호했다. 주최 측은 ‘다음 주에도 촛불 집회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조선일보는 법조계 관계자를 인용해 “여권 지지자들의 집회는 ‘집권세력의 친위 무력시위’라는 점에서 검찰이 느끼는 압박의 강도가 훨씬 더 클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친박·태극기집회 세력을 비난하던 문재인 대통령 지지자들이 지금은 같은 행동을 한다는 비판을 담은 기사다.  

한편 이번 검찰 규탄 집회는 언론 관심을 크게 받지 못했다. 김성회 정치연구소 ‘싱크와이’ 소장(전 손혜원 의원 보좌관)은 22일 페이스북에 “검찰청 앞에 몇 만의 사람이 모였는데 MBC 정도 빼곤 보도가 안 되고 있다. ‘일부러 외면하는 것 아니냐’부터 ‘언론도 전부 검찰 편’이라는 주장까지, (집회에 참여한) 사람들이 화가 많이 나 있다”고 전했다. 

김 소장은 이번 집회에 “유튜브나 아프리카TV에서 함께 방송 보고 댓글 달고 ‘같이 나가자’, ‘못나가서 미안하다’라고 서로 격려하고 다음에 카페를 만들고 집회를 준비해 규모가 이렇게 커진 것”이라며 “언론 입장에선 취재하려 해도 어디부터 시작해야 할지 알 수 없고, 취재를 했는데 무슨 번듯한 명함 가진 시민단체도 아니고 유튜브 방송국 운영하는 ‘시사타파TV’의 이종원 대표가 ‘개싸움국민운동본부’라는 부르기도 민망한 단체를 만들어 여는 집회라는 걸 알고는 보도를 접었을 수도 있다. 왜? ‘그들만의 울타리’에 못 들어와 있으니까”라며 기성 언론의 무관심을 질책했다. 

▲ 중앙일보 23일자 4면.
▲ 중앙일보 23일자 4면.

중앙 기획 “한국은 386의 나라” 

중앙일보 탐사보도팀이 386을 도마 위에 올린 ‘창간 기획’을 내놨다. “60년대에 태어나 80년대 대학을 다닌” 세대를 “386 PC는 고대의 유품이 됐지만 386세대는 문재인 정부에서 최전성기를 누리고 있다”고 평했다. 

이어 “15년 넘게 이어지는 386의 장기 집권은 최근 거센 반발에 부닥치기 시작했다. 386세대가 자신의 기득권을 유지하는 데만 급급해 ‘헬조선’의 현실을 애써 외면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최근엔 조국 법무부장관, 안희정 전 충남지사 등 대표적 386 인사들을 둘러싼 추문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386세대의 도덕적 권위까지 크게 실추됐다. 이제 한국사회의 질적인 도약을 위해 386세대의 프레임을 극복하는 건 중요한 시대적 과제로 떠올랐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7회에 걸친 기획을 통해 386세대 빛과 그림자를 집중 해부한다고 공언했다.

이어진 4면 “386세대 100원 벌 때 자녀는 52원… 최악의 세대 불평등”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386세대가 자리를 독점하면서 후속 세대는 고스란히 직격탄을 맞고 있다”고 비판했고, 5면 기사 “군부독재에 저항한 386, 경제성장 과실 가장 많이 누려”를 통해 “이 제도(정년 연장)가 시행되면 386세대는 취업부터 퇴직까지 걱정 없는 유일한 세대가 되겠지만 그만큼 청년 세대의 신규 일자리는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며 세대 갈등을 크게 부각했다.

86세대 비판은 진보 언론에서도 나온다. 한겨레는 지난달 12일 “‘권력 장악 ’막강 386 세대‘ 양보해야 자녀 세대가 산다’”라는 제목으로 ‘불평등의 세대’ 저자 이철승 서강대 사회학과 교수 인터뷰를 실었고, 지난 11일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인터뷰 기사 제목을 “‘86세대가 만든 부조리·불평등 풀어야 20대 돌아와’”로 뽑아 보도했다.

이보다 앞서 김누리 중앙대 교수(독문학)는 5월6일 한겨레 기고에서 “86세대는 밖으로 파시즘과 싸우면서 안으로는 파시즘을 키웠다”며 “한때 정의를 외치며 자신을 희생했던 세대의 정치적 실패는 사회 전반에 더 큰 실망감과 좌절감, 냉소주의와 패배주의를 퍼뜨린다. 지금 한국사회를 휘감고 있는 거대한 무력감의 뿌리는 바로 여기에 있다”고 지적했다.

▲ 동아일보 23일자 14면.
▲ 동아일보 23일자 14면.

해임된 지역 MBC 사장들 ‘손배소 승소’

최승호 MBC 사장 취임 이후 해임된 지방 MBC 사장들이 회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해 승소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창원지법 민사5부(부장판사 최웅영)는 19일 김아무개 전 창원 MBC 사장이 “잔여 임기 급여와 퇴직금을 달라”며 제기한 손배소에서 창원 MBC가 김씨에게 4억3000여만원을 배상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동아일보는 “법령 위반이나 중대한 경영 과실 없이 전임 경영진 체제에서 임명됐다는 이유로 해임한 것은 부당하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23일 서울남부지법 민사합의13부(부장판사 최병률)도 최아무개 전 제주 MBC 사장이 제기한 소송에서 제주 MBC가 최씨에게 5억8000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고, 지난 6월 대구지법 포항지원 민사1부(부장판사 서영애)도 포항 MBC가 오아무개 전 포항 MBC 사장에게 5억7000여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고 동아일보는 전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