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3차 국제원자력기구(IAEA)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문제에 대해 완곡한 어조로 공식 항의했다. 

9월16일(현지 시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IAEA 정기총회에 참석한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원전사고 이후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처리 문제는 여전히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전 세계적으로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고 우려했다. 

문미옥 제1차관은 “최근 일본 정부의 고위관료들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 방안으로 해양 방류가 불가피하다고 언급을 시작했다. 해양방류로 결정될 경우 전 지구적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국제이슈로 일본 국내만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강조하며 IAEA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 발언 모습. ⓒ과기정통부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 발언 모습. ⓒ과기정통부

 

▲그린피스 소속 크리스티안 아슬룬드가 지난해 10월17일 공중 촬영한 후쿠시마 원전 전경. 사진 왼쪽(남쪽)에 후쿠시마 원자로 1~4호기가 있고 오른 쪽(북쪽)에 5~6호기가 자리한다. 서쪽과 남쪽에 자리한 후타바와 오쿠마 마을은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 사진 뒤쪽으로 푸른색 구조물처럼 보이는 방사성 오염수 저장탱크 944개가 줄지어 늘어서 있다. ⓒ그린피스
▲그린피스 소속 크리스티안 아슬룬드가 지난해 10월17일 공중 촬영한 후쿠시마 원전 전경. 사진 왼쪽(남쪽)에 후쿠시마 원자로 1~4호기가 있고 오른 쪽(북쪽)에 5~6호기가 자리한다. 서쪽과 남쪽에 자리한 후타바와 오쿠마 마을은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 사진 뒤쪽으로 푸른색 구조물처럼 보이는 방사성 오염수 저장탱크 944개가 줄지어 늘어서 있다. ⓒ그린피스

앞서 후케다 도요시 일본 원자력 규제위원장은 “방사능 오염수를 충분히 희석한 뒤 해양방출을 하자”고 밝힌 바 있다. 하라다 요시아키 일본 환경상은 지난 10일 “(오염수를) 과감히 바다에 방출해 희석하는 것 외에 별로 방법이 없다”고 주장해 논란을 자초했다. 이에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지난 13일 “환경을 가장 우선해야 할 환경성 장관의 발언이라고는 도저히 믿기 어렵다”고 공개 비판했다. 

문미옥 차관은 “IAEA 헌장 3조에 따르면 IAEA는 개인의 건강을 보호하고 생명이나 재산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기준을 설정하고 개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며 일본의 대응이 갖고 있는 문제를 지적하며 “(IAEA가) 현재 일본의 원자로 상태 및 오염수 현황 등에 대한 현장조사와 환경 생태계에 대한 영향 평가 등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문 차관은 이어 “이를 바탕으로 국제사회가 안전하다고 확신할 만한 원전 오염수 처리 기준과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과 안전, 환경 보호를 위한 일본 측의 실질적이고 투명한 조치와 행동”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같은 날 총회에 참석한 다케모토 나오카즈 일본 과학기술상은 “오염수에 대한 비판과 일본 식품 수입 규제는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고 주장하며 맞섰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