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이 9일 13곳의 서울지역 자사고 가운데 8곳에 지정 취소를 결정하자 10일자 아침신문들이 서로 다른 보도를 내놨다.

동아일보는 1면 머리기사에 ‘이유도 모른 채, 서울 자사고 8곳 탈락’이란 제목으로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이 기사에서 “각본에 짜 맞춘 평가결과를 수용할 수 없다”는 해당 자사고들의 반발을 직접 인용했다.

조선일보 ‘깜깜이 탈락’, 서울신문 ‘교육 다양성이 당락 갈라’

조선일보도 10일자 3면에 ‘누가 평가했는지, 어떤 점수가 미달됐는지 깜깜이 탈락’이란 제목의 기사에서 “평가로 포장했을 뿐, 결국 자사고 폐지를 국정과제로 추진하는 현 정부와 좌파 교육감들이 합심해 자사고를 없애려는 것”이라는 해당 학교와 학부모의 반발을 직접 인용했다.

▲ 10일자 동아일보 1면(위)과 경향신문 3면.
▲ 10일자 동아일보 1면(위)과 경향신문 3면.
▲ 10일자 서울신문 2면.
▲ 10일자 서울신문 2면.

그러나 서울신문은 10일자 2면에 ‘수능 올인 커리큘럼에 많은 감점… 교육 다양성이 당락 갈랐다’는 제목의 기사로 “탈락한 8개교는 자율형 사립고 지정 목적인 교육과정 운영 영역에서 비교적 많은 감점을 받았다”는 서울시교육청의 말을 직접 인용했다.

경향신문도 탈락한 8개교가 교육과정과 선행학습에서 많은 감점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경향신문은 10일자 3면에 ‘교육과정·선행학습 감점… 10점 높아진 커트라인 못 넘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선행학습 규정 위반, 대학수학능력시험 과목 위주 교과편성 등 입시에 편향된 교육과정을 운영해온 자사고들도 대거 탈락”했다고 전했다.

경향신문은 자사고 전환 이후 신입생 정원 충원에 어려움을 겪는 학교도 다수 탈락했다고 전했다.

한겨레는 10일자 1면에 이번 서울지역 자사고 8곳 지정 취소를 ‘고교체제 개편에 힘이 실린다’는 취지로 해석했다.

▲ 10일자 조선일보 3면(위)과 한겨레 4면.
▲ 10일자 조선일보 3면(위)과 한겨레 4면.

조선일보는 자사고 지정 취소 발표를 ‘깜깜이 탈락’이라고 부르며 영역별 점수만 개별통보하고 세부내용은 깜깜이라고 지적했다. 이미 서울교육청은 학교 서열화를 부추길 우려 때문에 발표 전부터 세부 점수는 공개하지 않고 영역별 점수만 학교에 개별통보하겠다고 밝혔다.

진보단체들 ‘봐주기 평가’에 유감

진보단체들은 “서울지역 13개 자사고 중에서 5곳이나 유지돼 봐주기 평가”라고 반발했다. 32개 교육단체로 구성된 서울교육단체협의회 등은 기자회견에서 “지정 취소된 8개 학교 중 7개 학교는 이미 2014년에 60점 미만으로 지정 취소가 예고된 곳”이라며 “오직 1개 학교만 추가로 지정을 취소한 것에 불과하다. 봐주식 평가가 아니면 무엇이냐”고 주장했다.

시민단체 ‘사교육 걱정없는 세상’도 성명에서 “자사고의 선행학습 위반 결과를 평가에 반영하지 않았다. 이런 태도가 일부 자격없는 자사고에 5년간 그 지위를 보장해주는 결과를 낳게 됐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오는 22~24일 청문을 거쳐 지정 취소여부를 최종 결정해 교육부에 동의를 구한다. 교육부가 동의하면 해당 학교들은 내년 1학기부터 일반고로 신입생을 받는다.

대통령·재벌 간담회에 이재용·신동빈 불참

조선일보가 10일 예정된 문재인 대통령과 30대 대기업 총수들의 간담회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불참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10일 간담회는 일본의 경제 보복으로 인한 우리 기업들 피해와 향후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조선일보는 10일자 5면에 ‘文대통령·재계 총수들 오늘 간담회’란 제목의 기사에서 “정부가 일본 문제로 기업들과 만나는 모습이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게 부담스럽다”는 재계의 입장을 익명으로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이 기사에서 본인이 취지가 왜곡됐다고 해명했는데도 여전히 김현철 전 청와대 경제수석이 한 “정부가 기업들을 정치·외교 저선에 내세우면 안 된다”는 발언을 다시 보도했다.

▲ 10일자 조선일보 5면.
▲ 10일자 조선일보 5면.

이날 회의에는 일본이 발표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핵심 부품 3개와 직접 관련 없는 기업들도 대거 참석한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