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방송에 지역방송발전기금을 통한 예산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를 위해선 지역방송의 저널리즘 기능과 신뢰 회복이 전제돼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27일 오후 서울 국회에서 지역방송협회와 지역방송협의회,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최한 ‘지역 커뮤니케이션권 확보와 지역방송의 역할’ 세미나가 열렸다. 

이상민 의원은 “지역방송이 경영을 개선하고 콘텐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방송발전특별법을 개정하고 지역방송발전기금이 마련돼야 한다”며 “지역방송에 과잉 규제도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27일 오후 서울 국회에서 열린 '지역 커뮤니케이션권 확보와 지역방송의 역할' 세미나에서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정민경 기자.
▲27일 오후 서울 국회에서 열린 '지역 커뮤니케이션권 확보와 지역방송의 역할' 세미나에서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정민경 기자.

김영수 KNN 정책부장은 “현재 지역방송발전기금이 약 40억원에 불과해 상대적으로 재정이 열악한 지역방송에 정책 배려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부장은 지역방송발전지원특별법의 실효성을 지적하며 “특별법 제2조에서 무선국 허가 기준 지역을 토대로 지역방송을 규정하는 바람에 수신료를 받는 KBS 지역사인 총국도 지원 대상에 포함됐다. 이를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선 호남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지역방송발전기금이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하면서도 이를 위해 지역방송 신뢰 회복과 위상 변화가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교수는 지역방송 존재 이유 사례로 최근 서울 일부 언론과 다르게 지역 목소리를 반영한 목포 MBC의 손혜원 의원 보도, ‘부산-헬싱키 직항’ 노선 반대 논조의 서울 언론을 비판한 지역 보도 등을 꼽았다. 

한 교수는 “어떤 언론이 저널리즘 원칙에 더 부합하는지 현재는 알 수 없어 판단을 유보하겠지만 지역방송이나 언론이 없었다면 지역 목소리는 묻혔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 교수는 그러면서도 “지역방송 보도 방향에 ‘지역 이기주의’라는 시선도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며 “지역방송의 저널리즘과 신뢰 회복이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27일 서울 국회에서 열린 '지역 커뮤니케이션권 확보와 지역방송의 역할'에서 한선 호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정민경 기자.
▲27일 서울 국회에서 열린 '지역 커뮤니케이션권 확보와 지역방송의 역할'에서 한선 호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가운데)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정민경 기자.

지역방송에 대한 예산 투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두고 ‘어느 지역방송을 지원할 것인지’가 중요하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양병운 지역민영방송노조협의회 정책실장은 “지역방송이 재정 위기이기 때문에 공공 재원을 투입하자는 주장이 나오지만 어떤 방송사에 어떻게 투입하자는 이야기가 없다”며 “지역방송 중에서도 소유와 경영 분리 원칙에 따라 보도하고, 사장 임명동의제나 보도국장‧본부장 임명동의제 등을 갖춰 보도국 독립이 이뤄진 곳을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병원 전국언론노조 울산MBC 지부장은 “최근 KNN에서도 (인터뷰 조작 등) 이슈가 있었고, 지역에서 일부 PD나 기자들이 소위 ‘갑질’하기도 했다”며 “지역방송이 지역 저널리즘을 제대로 담당하고 있느냐 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KNN은 최근 한 기자가 작성한 여러 건의 ‘인터뷰 조작’ 보도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지상파 최초로 최고 수위 징계인 과징금 부과 조치를 받았다. 

박 지부장은 “일부 부산과 경남 지역방송은 해당 지역의 이해관계에 따라 묘한 뉘앙스를 갖고 보도한다”며 최근 울산에서 벌어진 현대 중공업 노조의 주총 점거 보도 등을 지적했다. 

박 지부장은 “일부 지역방송은 흑자가 나는데도 방송에 투자하지 않는데, 지역방송에서 자기 역할을 제대로 해야 한다. 예산 지원 제도를 더 촘촘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