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독자권익보호위원회가 북한 인사들의 숙청 소식을 다룬 조선일보 보도에 ‘이해하면서도 혼란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조선일보는 지난 5월31일자 1면(“‘김영철은 노역刑, 김혁철은 총살’”)에서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실무 협상을 맡았던 북한 인사들이 숙청됐다고 보도했다. 김혁철 국무위원회 대미 특별대표가 북·미 정상회담 실패 후 총살당하고 김영철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이 혁명화 조치(강제 노역 및 사상 교육)를 당했다는 내용이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 등에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이 공식 석상에 참석한 사진이 공개되며 조선일보 기사는 오보 논란에 휩싸였다. 김 부위원장은 지난 20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영접하기도 했다. 여전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신임을 받고 있다는 해석이 나왔다.

조선일보 독자권익위는 지난 10일 정례 회의에서 이 보도를 도마 위에 올렸다. 독자권익위는 5월31일자 1면에 “북한 관련 특수 상황에서 오보가 나올 수 있는 것에 대해 독자로서 이해한다”면서도 “문제는 기존 보도와 다른 새로운 팩트가 나왔을 때 어떻게 처리하느냐다”라고 밝혔다. 

▲ 조선일보는 지난 5월31일자 1면(“‘김영철은 노역刑, 김혁철은 총살’”)에서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실무 협상을 맡았던 북한 인사들이 숙청됐다고 보도했다. 김혁철 국무위원회 대미 특별대표가 북·미 정상회담 실패 후 총살당하고 김영철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이 혁명화 조치(강제 노역 및 사상 교육)를 당했다는 내용이었다.
▲ 조선일보는 지난 5월31일자 1면(“‘김영철은 노역刑, 김혁철은 총살’”)에서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실무 협상을 맡았던 북한 인사들이 숙청됐다고 보도했다. 김혁철 국무위원회 대미 특별대표가 북·미 정상회담 실패 후 총살당하고 김영철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이 혁명화 조치(강제 노역 및 사상 교육)를 당했다는 내용이었다.

독자권익위는 “김영철이 50여일 만에 등장했다면 기존에 설(說)로 보도했던 내용과 새로운 사실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또는 당초 보도가 어떤 경위로 나왔는지 설명이 있어야 하는데, 명확한 후속 보도가 없어 혼란스러웠다”고 지적했다. 

독자권익위는 “북한 고위층 숙청 보도가 나온 날 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 기사도 실렸는데, 종합 1면은 제목 크기나 배치로 보아 북한 뉴스가 머리기사로 보였다”며 “조선일보는 유람선 사고를 1·2면과 사회면 등 3개면에서 다뤘는데, 주요 경쟁지는 5~7개면에 걸쳐 집중 보도하고 사설도 썼다. 북한 숙청 기사를 왜 유람선 사고와 같은 날 실어 경합을 벌이게 했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독자권익위는 조선일보 편집국장 출신 강효상 자유한국당 의원의 외교 기밀 누출에 관해서도 “이번 사건을 계기로 외교 기밀에 대한 정부 내 보안 체제 점검은 물론 정치인이 기밀·국익에 관련되는 민감한 정보를 정치적 목적에 사용하는 일, 언론 보도 관행 등에 대한 전반적 성찰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순형 전 의원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독자권익위는 매월 조선일보 보도를 비평한다. 지난 10일 회의에는 김경범(서울대 서문학과 교수), 김성철(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 김성호(연세대 정외과 교수), 김준경(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김태수(변호사), 이덕환(서강대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교수), 정유신(핀테크지원센터장), 한은형(소설가), 홍승기(인하대 로스쿨 원장) 위원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