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현충일 추념사에서 약산 김원봉 선생 언급하자 조선 동아일보를 비롯해 자유한국당 등이 반발에 나섰다.

김원봉 선생의 서훈 여부를 두고 주류기득권 층에서 반대를 해온 이슈인데 문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그것도 현충일에 이 문제를 본격 제기해 역사논쟁이 점화되는 것 아니냐는 평가다.

전희경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6일 논평에서 “북의 전쟁 공로자에 헌사를 보낸 대통령이 최소한의 상식의 선 안에 있는지 묻고 싶다”고 비난했다. 이언주 무소속 의원도 “대한민국을 지키고자 목숨 바친 순국선열을 추모하는 자리에서 감히 가해자인 김원봉을 떠받들다니, 문 대통령은 국가유공자들과 그 가족의 가슴에 대못을 박고 피눈물을 흘리게 한 셈”이라고 주장했다. 조선일보도 7일자 사설에서 “문 대통령이 김원봉을 다시 언급한 것은 보훈 대상에 친북 좌파 인물까지 넣어 ‘역사 다시 쓰기’에 나서려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7일 춘추관 1층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의 김원봉 선생 대통령 발언이 이념논쟁 촉발했다는 지적에 어떻게 보느냐’는 청와대 출입기자의 질의에 “대통령 추념사의 약산 김원봉 선생 관련 언급의 취지는 ‘애국 앞에 보수와 진보가 없다, 정파와 이념 뛰어넘어 통합으로 가자’는 것으로 그런 역사적 사례로 말씀하신 것”이라며 “임시정부도 이념 정파 뛰언넘어 구성했고, 김구 선생도 백범 일지에서 임시정부에서 대동단결을 주장해 김원봉 선생이 호응했다고 나온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북한의 6.25 전쟁 공로자, 전쟁 가해자에게 헌사하고 떠받들었다’는 야당의 비난에 동의하는지, 왜 현충일 추념사에 김원봉 선생을 언급했느냐는 미디어오늘 기자 질의에 “김원봉 선생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역사학계에서 할 문제”라면서도 “다만 이 메시지의 취지와 맥락을 보면, 이념과 정파를 뛰어넘자는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독립과정에 있었던 김원봉 선생의 역할은 그 사례로서 얘기한 것”이라며 “국군의 뿌리가 약산 김원봉 선생이라고 말한 것처럼 보는 것은 비약이고, 맥락으로 봐도 통합된 광복군이 국군 창설의 뿌리이자 토대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본격적으로 약산 김원봉 선생을 서훈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의심에 청와대 관계자는 “서훈과 연결짓는 것은 비약이 있다고 본다”며 “서훈은 별개의 절차와 기준에 따라 정하면 되는 일이지, 대통령이 언급했다고, 여론에 따라 정할 일은 아니다. 어제 말씀 취지와 서훈 문제는 분명히 별개라는 것을 밝힌다”고 답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1945년, 일본이 항복하기까지 마지막 5년 임시정부는 중국 충칭에서 좌우합작을 이뤘고, 광복군을 창설했다”며 “임시정부는 1941년 12월10일 광복군을 앞세워 일제와의 전면전을 선포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광복군에는 무정부주의세력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이어 약산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편입돼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역량을 집결했다”며 “통합된 광복군 대원들의 불굴의 항쟁의지, 연합군과 함께 기른 군사적 역량은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되고, 나아가 한미동맹의 토대가 되었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일 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기념식에 참석해 한국전쟁 당시 희생자의 부인 김차희씨를 위로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일 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기념식에 참석해 한국전쟁 당시 희생자의 부인 김차희씨를 위로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