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료·교수 등 전문가 집단만 등장시키고 이분법적 대립 구도만 재생산하는 한반도 정치 보도를 되돌아보는 ‘평화 저널리즘 학교’가 내달 열린다. 

사단법인 하나누리가 주최하고 산하 동북아연구원이 주관하는 ‘2019 평화저널리즘 스쿨’은 오는 6월29일부터 8월3일까지 매주 토요일 서울 필동 희년평화빌딩에서 열린다. “한반도에서 사라진 다양한 목소리 찾기” 주제로 6주에 걸쳐 진행되며 교육은 △평화 교육 △평화저널리즘 이론 △평화저널리즘 실습 순으로 이뤄진다. 

첫 강의는 ”수행을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이분법을 넘어, 탈분단 상상하기‘ 주제로 평화운동 단체 ‘피스 모모’가 맡는다. 평화저널리즘 교육은 김가연 한국피스빌더네트워크 및 손혜원 의원실의 김성회 보좌관이 진행한다. 개신교계 매체 뉴스앤조이는 평화저널리즘 실습 교육을 맡았다. 수강생에겐 통일·탈분단 관련 단체를 취재하는 과제가 주어지며 추후 뉴스앤조이 기사로 실린다. 

2019년 평화저널리즘 학교 포스터.
2019년 평화저널리즘 학교 포스터.

‘다양한 목소리’는 남·북 관계 평화 증진에 힘쓰는 일반 시민을 뜻한다. 하나누리는 “남북관계 보도에서 전문가나 정치 거물의 목소리만이 아닌 ‘일반인 피스빌더(Peacebuilder)’의 다양한 목소리를 보도하는 평화 저널리즘을 지향한다”고 밝혔다. 

이는 사회 엘리트 집단 중심의 보도를 지양하는 평화저널리즘 가치와 궤를 같이한다. 하나누리는 남·북한 관계를 포함한 한국 언론의 분쟁 관련 보도를 ‘전쟁저널리즘’이라 평한다. 선정적 단어를 선호하며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의견을 조화롭게 드러내지 않고 한쪽만 부각시키거나 피해자를 소비하는 보도 패턴을 갖고 있단 것이다. 분쟁을 평화롭게 해결하는 효과는 내지 않고 갈등만 조장한단 의미로 ‘전쟁저널리즘’ 이름이 붙었다. 

김가연 대표는 “언론은 큰 사건이 났을 때, 가령 정상회담 개최나 미사일 발사 국면에만 보도를 쏟는 경향이 있는데 평화저널리즘은 장기 보도를 선호한다. 이번 교육을 준비한 취지기도 하다”며 “분쟁 속에서 삶을 영위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한반도 평화를 지속시키려는 하는지 드러내는 데 방점을 찍었다”고 밝혔다. 

하나누리는 지난 20일부터 수강 신청을 받고 있고 20명을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행사엔 뉴스앤조이, 한국갈등전환센터, 한국피스빌더네트워크가 협력하고 서울특별시가 후원한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