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대중음악 개혁운동을 벌여온 사회단체 관계자들은 이번 기회를 방송계와 가요계 전반에 걸쳐 있는 구조적 비리를 개선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들은 검찰 수사에 적극적인 지지를 보내면서도 방송사와 가요계 스스로 대안 마련을 서두르지 않는다면 ‘PR비 파문’은 언제든지 다시 발생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지난 16일 ‘문화개혁을 위한 시민연대’와 ‘대중음악개혁을 위한 연대모임’ 등에서 발표한 성명서는 비리를 저지른 PD나 연예기획사 관계자들에 대한 단죄를 넘어 방송사와 연예계의 고질적인 유착고리를 근절하고 더 나아가 공중파방송 연예오락프로그램의 제작방식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이들은 △PR비의 온상이 돼버린 공중파방송의 가요순위프로그램 폐지와 연예오락프로그램 대폭 축소 △10대와 댄스음악 중심의 음악프로그램 쇄신과 라이브 프로그램 강화 △프로그램 출연진 캐스팅과정이 투명하도록 제도적 장치 마련 △홍보매니저의 방송출입 중단 등 검찰 수사와 별개로 방송사 자체의 노력도 병행할 것 등을 주문하고 있다.

대중음악이 방송을 통해 노출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방송에 상당 부분 기댈 수밖에 없고 이같은 구조를 개선하지 않고서는 이번 파문 또한 결과적으로 일회성에 그칠 가능성이 그만큼 높다는 것이다.

대중음악개혁을 위한 연대모임 탁현민 간사는 “검찰의 이번 수사는 지난 92년과 95년 PD파동 때보다 훨씬 광범위하고 구체적이지만 비리에 대한 검찰 수사만으로는 PR비리 문제를 근절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면서 “하루빨리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보기

- “방송­연예 마피아 알았지만…”
- “곪을대로 곪은 유착사슬 끊어야”
- ‘불똥튈라’ 고심 ‘옥석구분’ 기대
- “PR비 고질화 근절 어려워”
- 구조적 비리관행에 수사초점
- “불평등계약·담합 제재대상”
- “연예오락프로 근본적 수술 필요”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