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리빙은 창간사실이 알려진 직후부터 구설수를 휘말렸다.
한겨레가 창간정신과 맞지 않게 문어발 경영을 할 수 있느냐는 비판과 함께 중소기업 영역에까지 손을 뻗치는 것은 타당치 않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았다.

그러나 이런 비판에도 불구하고 한겨레 리빙이 창간될 수 있었던 데에는 본지의 안정적인 자금원을 확보한다는 현실적 명분이 부각됐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경영성과는 딴판이었다. 본지 자금줄의 숨통을 틔워주기는커녕 오히려 70억원의 부실채권만을 안겨줬다. 리빙의 한 관계자는 애초 사업계획이 잘못 됐다고 말한다.

선발주장인 벼룩시장의 경우 연 매출이 1,000억원에 이르는 ‘대형사업’인데도 리빙의 투자규모를 수십억원대로 잡은 것부터가 착오였다는 것. 이 관계자는 또 IMF와 중앙타운 창간과 같은 변수도 크게 작용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런 분석의 설득력은 떨어진다는 게 주위의 평가다. IMF체제는 창간 이전에 이미 성립됐으며 중앙타운도 리빙 창간 당시 이미 창간 움직임이 포착됐던 만큼 사전에 대비할 충분한 여유가 있었다는 것이다.

한겨레가 리빙을 정리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이제 남은 문제는 두가지. 완전 매각방식을 택할지 아니면 한겨레가 2대주주로 내려앉고 새로운 투자자를 찾는 방식을 택할지가 우선 관심거리다.

전자의 방식이 될 경우 한겨레로서는 상대적으로 부담을 덜 수 있겠지만 ‘한겨레’ 제호를 그대로 유지할 경우 또다른 문제가 파생될 소지가 있다. 후자의 경우는 혁신적인 경영개선책이 나오지 않는 한 액수는 줄더라도 적자경영에 대한 부담을 계속 안고가야 하는 어려움이 도사리고 있다.

이와 함께 또 하나의 문제로 제기되는 것이 고용승계 문제이다. 한겨레는 어떤 방식의 정리가 되든 고용안정을 최우선으로 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여의치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340여명에 달하는 대식구의 고용을 완전보장한 상태에서 경영상의 수지가 맞을 것이냐는 ‘셈법’의 문제가 남는 것이다.

리빙의 정리 방침에 따라 중앙타운도 관심거리로 대두되고 있다. 중앙타운의 경우 중앙일보 감사팀이 내방한 이후 사장이 경질되는 등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리빙의 ‘정리’가 악재로 작용할지 호재로 작용할지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