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반노동자적인 보도를 이유로 그동안 취재를 제한했던 8개 매체 가운데 3개 매체의 취재 제한을 풀었다. 민주노총은 노동자와 노동자 조직의 권익보호와 지위향상을 위한 노동보도 준칙을 만들어 상무집행위원회에 안건으로 올리기로 했다.

2000년대 조선일보를 시작으로 늘어났던 민주노총의 취재제한 매체는 현재 조선, 중앙, 동아, 문화일보, 매일경제, TV조선, 채널A, MBN 등 모두 8개 매체였다. 민주노총은 노동자와 노동혐오를 부추기는 보도를 해온 이들 취재제한 매체들의 어떤 취재에도 응하지 않았다.

민주노총은 9일 오후 소속 산별노조와 지역본부 언론담당자회의를 열어 취재제한 8개 매체 가운데 문화일보와 매일경제, MBN 등 3개 매체의 취재제한을 풀기로 했다. 앞으로 민주노총은 ‘노동보도 준칙’을 확정해 상당기간 모니터링을 통해 준칙을 위반하는 매체를 선정해 취재나 인터뷰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대언론정책을 바꾸기로 했다.

김형석 민주노총 대변인은 “취재제한 매체가 분명한 기준을 가지고 있지 않아 일견 임의적인 대상선정으로 보일 수 있는 상태가 다년간 유지됐다”며 “일반적으로 반노동 보도매체로 인정되는 조중동과 관련 종편만 남기고 제한을 풀려고 한다”고 말했다. 중앙미디어그룹의 종합편성채널인 JTBC는 과거 철도파업 등에서 중립적 보도로 수년전부터 취재제한 매체에서 빠졌다.

20여년이 지나면서 언론 지형도 변했고 취재제한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안팎의 지적에 민주노총은 지난 3월14일 언론담당자 회의를 열어 ‘취재제한 대상 매체 검토’ 안건을 상정해 취재제한 매체 선정의 기준과 원칙을 놓고 토론했다. 민주노총은 3월 회의에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이후 민주노총은 지난달 23일 노동보도 준칙 마련을 위해 언론노조와 민주언론시민연합 등 유관단체와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과거 취재제한 매체 선정절차가 애매하고 자의적이었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노동보도 준칙을 마련해 이를 재정비하기로 했다.

▲ 민주노총이 지난 1월28일 서울 강서구 KBS아레나홀에서 열린 정기 대의원대회에서 공지문과 방송으로 8개 매체의 취재를 거부한다고 공지했다. 사진=김예리 기자
▲ 민주노총이 지난 1월28일 서울 강서구 KBS아레나홀에서 열린 정기 대의원대회에서 공지문과 방송으로 8개 매체의 취재를 거부한다고 공지했다. 사진=김예리 기자

이날 민주노총은 노동권과 노동조합, 노사관계 등 3개 부문으로 나눠 헌법상의 권리인 노동3권을 존중하는 보도를 요구하는 가이드라인 성격의 ‘노동보도 준칙’을 마련했다. 준칙에는 △노동3권과 집회시위를 부정적으로 묘사하지 않고 △쟁의, 집회 시위 자체가 아닌 행위에 대한 이유와 배경을 밝히고 △대변할 조직이 없는 미조직 노동자의 노동권을 간과하지 않고 △산업정책에 대한 노동자와 노조의 관점을 존중해 반영하는 내용 등을 12개 항목을 담았다.

▲ 민주노총이 9일 언론담당자 회의에서 논의한 ‘민주노총 노동보도 준칙’.
▲ 민주노총이 9일 언론담당자 회의에서 논의한 ‘민주노총 노동보도 준칙’.

민주노총은 오는 상무집행위원회에서 취재제한 매체 3개 축소와 노동보도 준칙을 논의해 확정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