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하노이에서 시작된 2차 북미회담이 스몰딜일 것이라는 언론의 예측이 나오자 청와대가 “스몰딜, 빅딜이라는 용어는 손에 잡히지 않는 개념”이라고 반박했다. 청와대는 ‘스몰딜’이라는 말은 미국 언론도 안 쓰는데 유독 우리언론만 쓴다고 지적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7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 1층에서 열린 정례 현안브리핑에서 미국 언론 복스(Vox)사가 북미 잠정합의문을 보도하자 “복스 뿐만 아니고 우리 언론도 오늘 아침 1면에 합의문 내용을 다들 썼는데, 어디에 무게 둬야할지 모르겠다. 각자 취재로 논리적 영역에서 기사를 쓴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특히 ‘스몰딜 정의를 사람들마다 다르게 쓰는데 어떻게 보느냐’는 YTN 기자의 질의에 김 대변인은 “‘스몰딜, 빅딜’ 이런 용어 자체를 쓰지 않는다. 협상의 두 주체이자 당사자인 북한과 미국이 이런 용어를 쓴 적이 없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미국 언론도 지난해 5월엔가 한번 스몰딜 이라는 용어 쓴 이후 이 용어를 쓰지 않고 있다. 우리 언론만 쓴다. 그 개념조차도 기사를 꼼꼼히 읽어보면 언론사마다 기준이 다 다르다. 그래서 뭐가 스몰딜이고, 뭐가 빅딜인지 손에 잡히지 않는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더 나아가, 설사 그런 개념을 인정해도 무 자르듯이 자를 개념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빅딜 안에 스몰딜이 포함된다.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개념이다. 속담에 천리길도 한걸음부터라는 말이 있다. 스몰딜이라고 실패한 회담이라 할 수 없고, 빅딜만이 성공이라고 볼 수 없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두 개념을 기계적으로 분리해 쓸 수 없다. 빅딜을 일부 언론이 쓰는 건 과거 리비아식 해법을 설명하는 것 같은데, 리비아식은 더 이상 통용되지 않는다. 북한과 관계에서 미국 정부가 더 이상 그 용어와 개념을 쓰지 않는다”고 했다.

한편 미국 언론 복스는 26일 오전(현지시각) ‘Exclusive: here’s the tentative deal Trump and Kim Jong Un may strike in Vietnam’이라는 기사에서 북미 합의의 윤곽(outline)을 두고 1.북미 양측이 한국전 종전에 대한 상징적인 평화선언에 서명 2.북한은 한국전 참전 미 전사자 유해 추가 송환에 동의 3.북미 연락사무소 설치 4.북한은 영변 핵무기(폭탄)용 물질 생산 중단에 동의하고, 미국은 남북 경협이 진행되도록 유엔 대북제재 일부 해체 추진 등을 제시했다.

▲ 지난해 6월12일 제1차 북미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미 대통령이 합의문에 서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지난해 6월12일 제1차 북미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미 대통령이 합의문에 서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날 예정된 북미회담의 내용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어떻게 보고되는지 김의겸 대변인은 “각급 채널을 통해 대통령에게 보고가 이뤄지고 있고, 밤늦게 이뤄지기도 하고, 아침 일찍 보고 되기도 한다. 오늘 두 정상의 만남도 관련된 현지 보고가 밤늦게 라도 이뤄지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정상회담 이후 남북 정상간 접촉이 예정돼 있는 것은 없으며 회담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차원의 접촉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회담 소식을 어떻게 볼지를 두고 김 대변인은 “지켜보는 것도 시차가 있기 때문에, 우리가 2시간 빠르지 않느냐. 8~10시 될텐데, 참모들과 같이 볼 예정은 없다”고 답했다.

북미회담 이후 회담 결과에 따라 김정은 위원장 답방이 늦어질 수 있느냐, 혹시 조율되고 있는 것이 있느냐는 질의에 김 대변인은 “답방시기가 조율되거나 논의되는 것은 전혀 없다”며 “북미회담의 결과와 답방시기까지는 모르겠으나 답방 내용과 북미회담 결과가 밀접하게 연관이 돼 있다고 본다”고 답했다.

▲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 사진=연합뉴스
▲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 사진=연합뉴스
한편, 조국 수석의 소환조사와 관련해 김 대변인은 여전히 검찰로부터 소환관련 의사타진이나 계획을 듣지 못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는 27일 오전 ‘검찰, 조국·임종석 소환키로…비공개 방침 논란’에서 “청와대 특별감찰반의 불법사찰 의혹 등을 수사하는 검찰이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등 주요 피고발인을 소환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검찰은 조 수석 등을 비공개로 소환 조사할 계획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연합은 “동부지검 관계자는 최근 연합뉴스와 한 통화에서 조 수석과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등 소환과 관련해 ‘원칙적으로 피고발인 소환은 비공개인 만큼 출석 일정을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고 썼다.

이를 두고 연합뉴스 철와대 출입기자가 ‘확인된 게 있으면 답변 달라’고 하자 김의겸 대변인은 “연합에 난 기사를 연합 기자가 질문하니 오보라고 말하기 힘들다. 사실과 많이 다르다”라고 답했다.

‘부르면 나가는 것이냐’는 질의에 김 대변인은 “(그건) 성립되지 않는다. 그런 적 없다”고 했다. 일정교류를 안하고 있는 것인가라고 하자 김 대변인은 거듭 “전제가 잘못된 것이다. 아예 비슷한 보도가 이어지고 있는데, 의사타진, 소환계획 들어본 적이 없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조국 수석의 소환 자체가 말이 안되는 것이라고 보는가라는 지적에 김 대변인은 “검찰 수사가 진행중인데, 제가 이러쿵 저러쿵 말을 붙이면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소환과 관련해 청와대 그 누구도 연락받은 바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