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섭대표노조인 ‘KBS노동조합’(위원장 이현진)이 7일 0시 총파업에 돌입했다. KBS노동조합은 파업 참가 조합원이 2000여 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보다 앞서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는 4일부터 총파업 진행 중이다. 양대 노조를 합하면 3700여 명의 조합원들이 총파업에 나섰다.

이현진 위원장은 이날 오후 파업 출정식에서 “고대영 KBS 사장 퇴진과 방송법 개정은 함께 가야 한다”며 “방송법 개정 없이는 KBS가 정권의 예속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김창균 부위원장은 “방송법 개정을 위한 분위기가 무르익었다”며 “대내외 투쟁으로 방송법 개정 의지를 관철 시키겠다”라고 밝혔다.

현재 국회 계류 중인 방송법 개정안의 핵심 골자는 ‘특별다수제’다. 공영방송 이사진을 국회 여·야 추천 7대6으로 개편하고 공영방송 사장 선임 시 이사회 3분의 2가 동의하는 특별다수제를 도입하자는 것이다.

▲ 교섭대표노조인 ‘KBS노동조합’이 7일 0시 총파업에 돌입했다. KBS노동조합은 파업 참가 조합원이 2000여 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사진=KBS노동조합
▲ 교섭대표노조인 ‘KBS노동조합’이 7일 0시 총파업에 돌입했다. KBS노동조합은 파업 참가 조합원이 2000여 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사진=KBS노동조합
이와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은 방송법 개정안 ‘재검토’ 의견을 피력한 바 있다. 현행 개정안보다 개혁적인 법안이 필요하다는 취지로 해석됐다. 여·야 양쪽 눈치를 보는 사장이 임명될 가능성이 높아 공영방송이 정치권력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이 이뤄질 수 없다는 것이다.

KBS노동조합은 이날 특보를 통해 “집권 이전인 지난해만 하더라도 당시 유력 대선 후보였던 문재인 대통령과 야당이던 더불어민주당은 현재 계류 중인 방송법 개정안을 직접 발의함은 물론 법안 처리를 강력하게 밀어붙였다”고 밝혔다. 

KBS노동조합은 “그러나 집권 이후 입장은 180도로 변했다”며 “‘재검토’, ‘더 나은 방안’,‘소신 있는 인물’ 등 말 같지도 않은 핑계를 대가며 말 바꾸기 달인 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을 뿐이다. 심지어 최근엔 불과 보름 사이에 방송법 개정에 대한 입장을 3번이나 바꾸기도 했다”고 비판했다. 

KBS노동조합은 ‘방송법 개정안 관철을 위한 범국민 투쟁’에 돌입한다고도 했다. 오는 11일 이후부터 서울·대전·대구·부산 등 전국 주요 대도시를 돌며 주요 언론사들을 상대로 기자회견을 열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10만 국민 청원 운동을 통해 방송법 개정에 대한 국민적 지지를 알리고 청와대를 압박할 것”이라고 했다. KBS 양대 노조 모두 고 사장과 이인호 KBS 이사장 퇴진을 요구하고 있지만 온도 차이가 있다. 언론노조 KBS본부(새노조)는 현재 방송법 개정 관련 이슈보다 고 사장과 이 이사장 퇴진 운동에 전력을 쏟고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