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 구상’을 밝히며 “여건이 갖춰지고 한반도의 긴장과 대치국면을 전환시킬 계기가 된다면 언제 어디서든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과 만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를 외에 신문들은 모두 이를 1면 머리기사로 보도했다. 

다음은 전국단위 종합일간지 1면 머리기사 제목이다. 

경향신문 <문 대통령, “김정은, 직접 만나 대화하자”>
국민일보 <문 대통령 “언제 어디서든 김정은 만날 용의”>
동아일보 <‘사드-북핵해법’ 거리 못좁힌 75분>
서울신문 <문 대통령 “비핵화, 평화협정 동시 추친”>
세계일보 <문 대통령 “언제 어디서든 김정은 만날 용의”>
조선일보 <트럼프 “북 나쁜 행동, 혹독하게 조치하겠다”>
중앙일보 <문 대통령 “여건 되면 언제든 김정은 만나겠다”>
한겨레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담대한 여정 시작”>
한국일보 <문 대통령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하자”>

▲ 한겨레 1면 기사
▲ 한겨레 1면 기사
문 대통령 “언제 어디서든 김정은 만나겠다” 

문 대통령은 이날 독일 옛 베를린 시청에서 열린 쾨르버재단 초청 연설에서 “한반도 긴장 완화는 남북한 간의 가장 시급한 문제”라며 “이를 위해 남북대화를 재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핵 문제와 평화협정 등 남북한의 모든 관심사를 대화 테이블에 올려놓고 논의하겠다고도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항구적 평화정착을 이끌기 위한 정부의 정책 방향”으로 △북한의 붕괴를 바라지 않는다 △북한 체제의 안전을 보장하는 한반도 비핵화를 추진하겠다 △한반도 평화협정을 체결해야 한다 △한반도 신경제를 구상하겠다 △비정치적 교류협력은 일관성을 갖고 추진하겠다 등 5개 원칙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서는 “대단히 실망스럽고 잘못된 선택”이라고 하면서도 “지금이 북한이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자 가장 좋은 시기”라고 말했다. 한미 정삼회담을 통해 한국이 한반도 평화 구축에서의 주도적 역할과 남북대화에 대해 미국의 지지를 얻었다고도 강조했다.

한국일보에 따르면 문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협청 체결을 강조한 것은 기존 정전협정이 유명무실하기 때문이다.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해 군사분계선을 넘는 북한의 협정 위반 사례는 수십만 건에 달하며 북한이 1994년 정전협정을 이행을 감독할 군사정전위요원을 추방시킨 후 정전협상은 실효성을 잃었다는 것이다. 

▲ 조선일보 사설
▲ 조선일보 사설
경향신문 “정상회담 열 수만 있다면 열어야”
조선일보 “장밋빛 미래, 공허하다는 느낌준다”

이에 대한 신문들의 평가는 엇갈렸다. 경향신문은 사설에서 “남북정상회담은 열 수만 있다면 언제든 여는 것이 맞다”며 “북한의 도발은 대화를 포기할 이유가 되지 않는다. 긴장이 높아질 때 가장 필요한 것이 대화”라며 베를린 선언이 선언적 의미를 넘어 우리 모두의 실천 강령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겨레는 이산가족 상봉에 초점을 맞췄다. 한겨레는 사설에서 “이전에도 이산가족 상봉은 교착상태에 있던 남북관계를 푸는 역할을 한 사례가 많다”며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수위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산가족 상봉은 이와 무관하게 추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히려 국제사회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조선일보는 “당장 연설 현장에 있던 쾨르버재단 관계자들은 문 대통령에게 (북한 도발로) 대화를 시작하기도 전에 대화를 못하는 상황 아닌가” “북이 (추가) 군사적 도발을 하는 것 아니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태도에도 ICBM 발사로 달라지는 것 아니냐”는 질문이 나왔다는 점에 집중했고 제목에 반영했다. 

이어 조선일보는 사설에서도 “이런 북을 향해 대화를 제의하고 장밋빛 남북관계의 미래까지 이야기 하는 것은 공허하다는 느낌을 준다”며 “만일 북이 문 대통령 발언을 무시하고 계속 도발하는데도 우리가 별다른 대응을 내놓지 못하게 된다면 그 다음은 어떻게 하느냐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중앙일보 4면 기사
▲ 중앙일보 4면 기사
문 대통령- 시진핑, ‘사드’ 없는 사드 논의 

문 대통령은 앞서 이날 베를린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처음으로 만나 사드 문제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시 주석과 문 대통령 모두 ‘사드’라는 단어는 입 밖에 꺼내지 않았지만 시 주석은 사드의 철회를 재차 요구했고 문 대통령은 사드에 대한 중국의 경제 보복 철회를 요구했다. 

국민일보에 따르면 북한 해법을 바라보는 한중 양국의 근원적인 인식 차이도 이번회담에서 수면 위로 드러났다. 문 대통령은 중국의 역할을 다시 한번 요청했지만 시 주석은 이는 중국만의 책임이 아니며, 미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책임이라는 점을 밝혔다.

그러면서도 국민일보는 “다만 시 주석이 한반도 평화 조성을 위한 한국의 주도적 역할을 지지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힌 것은 평가할 만한 대목”이라고 보도했다. 한겨레는 “한중 정상, 이견있는 부분도 허심탄회한 대화”라는 박수현 청외대 대변인 발언을 제목으로 뽑았다. 

중앙일보도 사설에서 이번 정상회담을 두고 “상견례 이상의 큰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고 하면서도 “다만 예정보다 긴 시간 동안의 허심탄회한 대화, 상호 초청과 양국 동반자 관계의 격상 합의를 통해 이번 한중 회담 첫 단추는 무난히 끼웠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동아일보 평가는 달랐다. 동아일보는 예정된 시간을 넘겨 진행됐음에도  한중의 간극이 한번의 회담으로는 메우기 어려웠다는 점에 집중했다. 이어 동아일보는 문 대통령의 붉은 넥타이와 시 주석의 보라색 넥타이를 두고 ‘신경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대목’ 이라고 해석했다. 

▲ 한겨레 2면 기사
▲ 한겨레 2면 기사
문 대통령, 독일 교민들 만나 ‘촛불’ 강조 

한겨레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방독 첫 일정인 교민간담회에서 ‘촛불혁명’을 언급하며 한국 민주주의에 자긍심을 가질 것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교민들에게 “촛불혁명 이후 여기 독일에서도 한국에 대한 평가가 많이 달라졌습니까? 여러분도 자부심을 느끼십니까”라고 물었다.

독일 메르켈 총리와의 지난 5일 만찬 회동에서도 화제는 ‘촛불’와 ‘북핵’이었다고 한겨레가 보도했다. 당시 메르켈 총리는 “문 대통령을 당선시킨 국민들은 부정부패 척결, 경제성과 균형 발전 등에 대한 기대를 갖고 있는 것 같은 가운데 문 대통령의 생각은 무엇이냐”고 물었다. 

▲ 경향신문 6면 기사
▲ 경향신문 6면 기사
추미애 “국민의당, 머리자르기” 발언 논란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일 MBC 라디오에 출연해 ‘국민의당 제보 조작’이 이유미씨 단독 범행이라는 국민의당 진상조사 결과를 놓고 “박지원 전 대표, 안철수 전 의원이 몰랐다고 하는 것은 머리 자르기”라며 “단독으로 저지를 수 없는 일 아니냐. 그런 것을 수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추 대표는 “국민의당은 국민이 믿지도 못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박 전 대표는 법사위원으로 검찰을 압박하고 이런 상태는 정말 있을 수가 없다. 용납되지 않는다”고도 말했다. 추 대표측 관계자는 경향신문에 “협치는 협치고 원칙은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민주당 내부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 것으로 보도됐다. 국민일보에 따르면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아 미치겠다. 곤혹스럽다”며 경색 국면을 우려하며 “머리가 아프다. (제보 조작 사건은) 그냥 검찰에 맡겨 놓으면 되는데”라고 말했다. 

당연히 국민의당은 강하게 반발했다. 김동철 원내대표는 기자간담회를 열어 "추 대표의 막말은 국민의당 등에 비수를 꽂는 야비한 행태"라며 "민주당과 추 대표가 사퇴나 사과 등 납득할만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오늘 이후 국회 일정에 협조할 수 없다"고 말했다. 국회 일정 보이콧을 선언한 것이다. 

▲ 중앙일보 8면 기사
▲ 중앙일보 8면 기사
중앙일보 “추미애의 위험한 입” 비판

국민의당 반응에 대해  경향신문은 △추 대표 발언이 검찰 수사의 가이드라인이 되는 것을 견제하려는 의도 △‘민주당 2중대론’을 불식하려는 의도 △민주당 투톱인 우원식 원내대표와 추 대표와의 틈새를 벌리려는 셈법 등이 있다고 해석했다. 그간 추 대포와 우 원내대표는 국민의당에 다른 태도를 취해왔다.

중앙일보는 “추미애의 ‘위험한 입’ 국회도 사드 외교도 헝클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추 대표를 강하게 비판했다. 중앙일보는 이번 국민의당 발언 외에도 추 대표가 6일 국회에서 추궈홍 주한 중국대사에게 사드 관련 발언을 한 것을 두고 “집권당 대표가 정상회담 목전에 외교적으로 부담되는 발언을 한 셈”이라고 보도했다. 

▲ 경향신문 12면 기사
▲ 경향신문 12면 기사
세월호 비정규직 교사, 3년 3개월 만에 순직 인정

2014년 4월16일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경기 안산 단원고 김초원(당시 26)·이지혜(당시 31) 교사의 순직이 인정됐다. 두 교사가 희생된 지 약 3년3개월 만의 일이다. 공무원연금공단은 5일 연금급여심의회를 열어 두 교사의 순직을 인정했다고 6일 밝혔다. 

세월호 참사 당시 각각 2학년 3반과 7반 담임이었던 두 교사는 학생들의 대피를 돕다가 목숨을 잃었지만, 기간제 교사란 이유로 순직 인정을 받지 못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5월15일 ‘스승의 날’을 맞아 두 교사에 대한 순직 인정 절차를 진행하라고 직접 지시한 바 있다.

이에 김씨의 아버지 김성욱씨는 “딸이 그토록 사랑하던 제자들과 함께 마음 편히 잘 지내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고 이씨의 아버지 이종락씨는  “순직이 인정됐지만 그렇다고 딸이 돌아오는 것은 아니어서 좋으면서도 착잡하다”며 “딸의 명예를 찾아준 국민과 대통령에게 감사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