꺼지는 안철수 바람, 문재인 39.8%, 안철수 29.4%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23~24일 전국 유권자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응답률 32.4%, 신뢰수준 95%에서 표본오차 ±2.2%)에서 다자대결 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39.8%의 지지율로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29.4%)를 10.4%포인트 차이로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앙일보가 지난 15~16일 실시했던 조사 결과(문 후보 38.5%, 안 후보 37.3%)와 비교하면 안철수 후보의 지지율이 급속히 빠진 것이다. 안 후보는 호남에 기반을 두면서 보수층에게 어필해왔는데, 토론회를 거치며 이율배반적인 입장이 이어지자 양측 지지층의 이탈이 가속화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는 '돼지발정제' 논란에도 오히려 지지율이 올랐다. 홍 후보는 15~16일 조사(7.4%)보다 4.3%포인트 오른 11.7%로 최근 일부 여론조사에서 10% 이상의 지지율을 보이고 있다. 중앙일보는 "문 후보의 당선을 막기 위해 안 후보에게 몰려 간 보수층 가운데 일부가 최근 이념 공방의 영향을 받아 홍 후보 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5.0%,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는 4.4%로 나타났다.

'색깔론' 안 먹혔다

이번 대선에도 어김없이 '색깔론'과 '안보공세'가 쏟아졌지만 문재인 후보 지지율은 떨어지지 않고 있다. 한국일보는 "두차례 TV토론회에서 범보수 진영 후보들이 북한주적론과 송민순 문건을 들고 문 후보를 집중 공격하고 있지만 지지층의 결집효과만 강화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 25일 한국일보 기사.
▲ 25일 한국일보 기사.

한겨레는 "지난 2012년 대선에서 NLL 논란이 선거 막판까지 주요 이슈로 타올랐던 것에 견주면 이례적"이라고 보도했다. 한겨레는 보수가 분산된 전대미문의 대선구도, 지나간 안보 이슈로 재탕삼탕해 지지를 받지 못한 것, "한반도 충돌 원하지 않는다"는 여론 등을 이유로 분석했다. 한국일보는 "2012년 북풍 논란의 학습효과로 보인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이 NLL을 포기했다는 논란이 불거져 지지층 일부 이탈현상이 나타났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경향신문은 사설에서 "두 당(바른정당, 자유한국당)이 지리멸렬한 것은 보수 기득권에 빠져 새로운 보수의 통치철학을 만들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낡은 경제관과 안보관을 답습해서는 새 길을 찾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변수는 남아 있다. 언론은 최대 변수를 '단일화'로 꼽았다. 경향신문은 "막판 후보 단일화 성사 여부가 남아있다"면서 "한국당과 바른정당의 보수 후보 단일화, 국민의당이 주도하고 한국당, 바른정당이 연합하는 비문재인 후보 단일화 가능성이 변수"라고 전망했다. 산술적으로만 보면 국민의당, 바른정당, 자유한국당이 단일화를 하면 문재인 후보의 지지율을 앞서게 된다.

보수후보 단일화, 막판 변수 부상하나

실제 단일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바른정당이 24~25일 마라톤 의총을 통해 유승민 후보와 홍준표 후보·안철수 후보와의 ‘3자 후보 단일화’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문재인 독주 현상이 이어지자 다시 '반문연대'에 시동을 걸겠다는 것이다. 


바른정당은 후보 단일화 문제를 놓고 24일 저녁 7시30분터 25일 0시20분까지 국회에서 5시간 가까이 의원총회를 열고 격론 끝에 단일화는 국민의당, 자유한국당과 '3당 원샷 방식'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25일 경향신문 기사.
▲ 25일 경향신문 기사.

그러나 유승민 후보는 반발했다. 유승민 후보캠프 지상욱 대변인은 “유 후보는 3자 후보 단일화에 대해 반대의 뜻을 분명히 밝혔다”고 밝혔다. 한겨레에 따르면 유승민 후보측 한 인사는 “국민의당을 포함한 3자 단일화가 가능하기나 한 일이냐. 되지도 않을 일이다. 명분도 실리도 없는 일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자유한국당에서도 보수후보 단일화론이 대두됐다. 조선일보는 "자유한국당에서 홍준표 후보와 바른정당 유승민, 새누리당 조원진, 통일한국당 남재준 후보 등 보수 후보 4명의 조건 없는 단일화 주장이 나왔다"면서 "보수후보 단일화를 한 뒤 상황에 따라 안철수 후보까지의 단일화를 시도할 수 있을 것"이라는 한국당 관계자의 말을 전했다.

왜 급작스럽게 단일화 논의가 급물살을 타는 것일까. 중앙일보는 "대선을 불과 2주 남겨놓은 상황에서 다시 단일화 및 연대 논의가 고개를 드는 것은 대선구도가 문재인, 안철수 후보 간 양강구도에서 문 후보 1강 체제로 바뀔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바른정당 내의 계파 갈등도 수면 위에 올랐다. 경향신문은 "유승민 흔들기를 주도한 세력이 김무성계라는 점에서 김무성계와 유승민계의 갈등도 부각된 상황"이라고 분석했고 한겨레 역시 "잠복했던 유승민 대 김무성 갈등이 폭발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정책 검증, 동아 '복지' 한겨레 '검찰 개혁'

각 캠프별 주요공약이 구체적으로 나오고 TV토론회를 통해 후보별 입장이 두드러지면서 언론의 공약 분석이 본격화됐다.

동아일보는 문재인과 안철수, 두 후보의 '복지'공약을 비판했다. 문재인 후보가 매니페스토실천본부에 보낸 정책답변서에는 복지 공약이 연 24조3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안철수 후보의 경우 연 21조5000억 원이다. 주로 기초연금 확대, 아동수당 도입, 노인일자리 확대 등의 공약에 들어가는 재원이다.

동아일보는 "나라 살림에 부담을 지우는 공약은 다른 분야에서도 우후죽순 나오고 있다"면서 문 후보의 임대주택 17만채 공급, 안 후보의 청년희망 임대주택 5만채 등 20만채 공급 공약을 비판하기도 했다.

동아일보가 복지 확대에 부정적인 견해를 연일 드러내고 있고 두 후보의 공약만 비판한 점은 의도가 있어 보이지만, 기사 내용 중 "구체적으로 어떻게 공약 재원을 추계했는지에 대해 밝히지 않았다"는 매니페스토실천본부측의 지적을 귀담아 들을 필요성도 있어 보인다.

한겨레는 문재인,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후보의 검찰개혁 공약인 고위공직자 비리수사처(공수처) 설치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한겨레는 "지난 23일 토론회에서 홍준표 후보가 '새로운 검찰청 더 만드는 것'이라고 반발했는데 (다른 후보들이) 제대로 반론을 펴지 못했다"면서 "10년 넘게 공수처 설치가 표류한 원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세부 쟁점을 둘러싼 논란 탓이란 점을 고려하면, 과연 대통령 후보들에게 강력한 검찰개혁 의지가 있는 건지 의문이 들 정도"라고 지적했다.

우병우는 최순실 모른다? 최순실 주치의 우병우와 자주 통화

최순실씨 일가 주치의로 알려진 이임순 순천향대 산부인과 교수 위증사건 공판에서 최순실씨가 이 교수의 추천을 받아 청와대 장관, 외교관, 국립대 총장 등 인사에 개입한 정황이 확인됐다.

또, 특검은 법정에서 이 교수가 최씨와 우 전 수석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통화기록을 공개했다. 이 교수는 최근 1년간 우병우 전 민정수석과 67회, 우 전 수석의 장모 김장자씨(77)와 167회, 부인 이민정 씨(49)와 27회 통화했다. 특검이 확보한 이 교수의 수첩에는 ‘우병우 영월지청장 2002년 8월 근무’라는 메모와 함께 우 전 수석의 전화번호가 적혀 있다.

이 교수는 우 전 수석 부인의 분만을 맡았던 의사이기도 하다. 최씨의 딸 정유라 씨의 분만도 담당했다.  

동아일보는 "이런 정황을 감안해 우 전 수석이 이 교수를 통해 최씨를 알게 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특검의 판단"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우 전 수석은 특검에서 이 교수와 자주 통화한 이유에 대해 “장모가 몸이 아프다고 해서 이 교수에게 물어봤다"고 주장했다.

24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 심리로 열린 최순실씨의 뇌물 사건 4회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장시호씨는 "지난해 12월 서울중앙지검 조사실에서 만난 최순실씨가 ‘박 전 대통령의 삼성동 사저에 현금을 놔뒀다. 그 돈으로 (최 씨의 딸) 정유라와 손자를 돌봐 달라’고 부탁했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