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 경선후보(64)가 3일 19대 대통령 후보로 확정됐다. 2012년에 이어 두 번째 대선에 나서게 된 것이다. 대부분 신문들은 이를 1면 톱기사로 다뤘다. 다만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북핵과 관련한 트럼프의 초강수 기사를 1면 톱에 배치헸다. 

다음은 4일 전국단위 종합일간지 1면 머리기사 제목이다. 

경향신문 <문재인 "국민대통령 시대 열겠다">
국민일보 <"정의로운 통합의 시대로">
동아일보 <"정권교체의 문 반드시 열겠다">
서울신문 <"정권교체" 문재인의 두번째 도전">
세계일보 <문재인 본선행 "모든 적폐 청산">
조선일보 <"북핵, 중국이 안풀면 미국이 풀겠다">
중앙일보 <중국이 안 나서면 북핵 혼자 해결 트럼프의 초강수>
한겨레 <문재인 두번째 대선 도전 "국민이 집권해야 정권교체">
한국일보 <문재인 "정의로운 통합의 시대로">

▲ 경향신문 1면 기사
▲ 경향신문 1면 기사
민주당은 이날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마지막 지역순회 경선을 열고 전국 누적 투표에서 93만6,419표(57%)를 확보한 문 전 대표를 대선 후보로 확정했다. 문 후보는 마지막 경선인 수도권ㆍ강원ㆍ제주 경선에서도 60.4%로 1위를 기록해 모든 지역 순회 경선에서 압승을 거뒀다.

문 후보는 당 대선후보 수락연설에서 “분열과 갈등의 시대는 끝나야 한다. 국민보다 앞서는, 국민보다 중요한 이념은 없다”며 “분열의 시대와 단호히 결별하고 정의로운 통합의 시대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제 정치의 주류는 국민, 권력의 주류는 시민이어야 한다. 그래서 국민이 대통령”이라고 말했다. 

문 후보는 또 “이번 대선은 정의냐 불의냐, 상식이냐 몰상식이냐, 과거 적폐세력이냐 미래 개혁세력이냐의 선택”이라고 밝혔다. 그는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서 국민들께 세 가지를 약속드린다”며 ‘무너진 경제·안보 바로 세우기’ ‘불공정·부정부패·불평등 청산’ ‘통합의 새로운 질서 세우기’를 제시했다.

▲ 동아일보 4면 기사
▲ 동아일보 4면 기사
문재인 앞에 놓인 과제들 

문 후보 앞에 놓인 과제도 많다. 먼저 당내 통합이다. 한국일보는 이날 사설에서 "본선 경쟁력을 다투다가 불거진 네거티브 시비에 따른 감정적 앙금을 해소하는 일이 급하다"며 친문부대의 문자폭탄과 18원 후원금을 지적했다. 안 후보는 친문부대를 두고 "질리게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경향신문은 당 바깥에선 ‘문재인 비토론’을 넘어서는 게 과제라고 보도했다. 문 후보의 지지율이 가장 높은데도 본선 경쟁력에 의문을 제기하는 측의 논리가 ‘문재인 비토론’이다. 30%대의 견고한 지지층이 있지만, 비호감층이 많고 중도·보수층의 거부감도 뚜렷하다는 것이다. 

여기에 아들 준용씨(35)의 한국고용정보원 특혜 채용 의혹은 문 후보를 향한 검증 목록의 가장 위에 올라 있다. 국민일보에 따르면 이미 다른 당에서는 고용정보원의 변칙 공고, 명시되지 않은 내부 채용 입수 과정, 응시원서 조작, 부실 감사 등의 의혹을 집중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 조선일보 4면 기사
▲ 조선일보 4면 기사
"안철수에게서 '미래'를 보고 문재인에게서 '과거' 떠올려"

조선일보는 '문재인 대 안철수' 양강 구도 프레임을 또 다시 꺼내들었다. 조선일보는 4면 톱기사인 "연대론 잦아든 국민의 당 '안철수 혼자로도 해볼만하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안 후보가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강세를 보이자 연대론보다 자강론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어 6면에서는 "文모닝' 조롱 듣고, 탈모로 고생하고… 경선 흥행시킨 기획자 박지원"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뻔한게임으로 예상됐던 국민의당 대선 경선을 흥행으로 이끌며 안풍 확산의 숨은 기획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박 대표를 소개했다. 

조선일보는 사설에서도 "문 후보는 지금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에게 쫓기고 있다고 한다"며 "문 후보는 아니라고 하겠지만 안 후보에게서 '미래'를 보고 문 후보에게선 '과거'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며 문 후보를 비판하며 안 후보 쪽에 힘을 실었다. 

문 후보는 이날 후보 수락 연설 직후 기자들과 만나 안 전 대표와의 양자 대결 가능성에 대해 "국민의당뿐 아니라 구여권 정당과 함께 연대하는 단일후보가 된다는 뜻인데, 별로 있음직한 일이라 생각지 않는다"며 "적폐세력과 함께 한다면, 국민들이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경향신문 6면 기사
▲ 경향신문 6면 기사
구여권, 대선 후보 확정했지만 지지율 오히려 떨어져

민주당이 본선 후보를 확정한 가운데 구여권 대선후보들은 부진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지난달 31일 홍준표 후보, 바른정당은 지난달 28일 유승민 후보를 확정했지만, 컨벤션 효과(정치 이벤트 직후 지지율 상승 현상)는커녕 오히려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다.

홍 후보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불출마 선언 이후 10% 근처까지 지지율이 올랐으나, 최근 하락세로 돌아섰다. 리얼미터가 3일 발표한 주간 여론조사에서 홍 후보 지지율은 7.5%였다. 리얼미터 조사에서 9.8%→ 9.5%→ 7.5%로 3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한 것이다. 유 후보 지지율은 2.9%였다. 

침체 원인 중 하나로 보수 집권 가능성이 낮은 상황이 꼽힌다. 보수정당 후보가 모두 출마하는 다자구도 속에 둘 중 하나를 찍어 사표를 만드느니,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등을 찍어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의 집권만 막겠다고 생각하는 보수층이 많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 한국일보 1면 기사
▲ 한국일보 1면 기사
트럼프, 북핵 문제에 초강경 입장 밝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핵 문제에 대해 초강경 입장을 밝혔다. 그는 2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인터뷰에서 “중국이 북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할 것”이라고 밝혔다. 취임 후 언론 인터뷰에서 북한 문제에 대해 직접 입장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그는 “중국은 북한에 엄청난 영향력을 가졌고, 우리를 도와 북한 문제를 다룰지 말지 결정해야 한다”며 “그렇게 해준다면 중국에 좋은 일이겠지만 그러지 않는다면 모두에게 좋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행동을 이끌어낼 미국의 유인책은 “무역”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경향신문은 6~7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내놓은 ‘중국 압박용’ 발언이라고 분석했다. 미국이 북핵 문제를 얼마나 심각하게 생각하는지를 강조하고, 중국 측에 미국을 도울지 말지 입장을 정하라는 최후통첩을 보낸 것이다

▲ 중앙일보 사설
▲ 중앙일보 사설
경향신문 "평화체제 맞교환 해야"

이를 바라보는 신문들의 논조는 달랐다. 경향신문은 사설에서 '평화체제의 맞교환'을 주문했다. 북핵 문제의 근본적 해결은 북미 사이의 불신과 적대관계 해소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북핵 실험 중지와 한미연합군사훈련 중지 등 중간단계의 협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중앙일보는 사설에서 트럼프와 시진핑의 만남에 기대를 걸면서 "우리로선 이번에야말로 20년 넘게 한반도에 드리운 북핵의 어두운 그림자를 걷어내는 미중합의가 이뤄지는가의 기대를 갖게끔 된다"며 "트럼프-시진핑 회담이 모쪼록 북핵 제거의 실마리를 찾는 첫걸음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썼다. 

▲ 한겨레 1면 기사
▲ 한겨레 1면 기사
“전(全) 각하, 자위권 발동 강조” 5·18 군기록 나왔다

1980년 5월 광주항쟁 당시 전두환씨가 자위권 발동(발포) 등 무력 진압에 직접 관여했다는 군 내부 기록이 나왔다고 한겨레가 보도했다. 전씨는 3일 출간한 <전두환 회고록>에서 ‘나는 광주사태 치유·위무를 위한 씻김굿의 제물’, ‘계엄군 발포 명령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한겨레가 확보한 육군 제2군사령부(영호남·충청지역 관할)의 ‘광주권 충정작전간 군 지시 및 조치사항’을 보면, 5·18 민주화운동 당시 군 자위권 발동을 결정한 국방부 회의와 관련해 ‘전(全) 각하(閣下): 난동 시에 군인복무규율에 의거 자위권 발동 강조'라고 명시돼 있다.

한겨레는  ‘전 각하’는 전두환씨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2군사령부의 문건에 나온 국방부 회의 참석자는 <제5공화국 전(前)사>에 나온 참석자 명단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제5공화국 전사>는 1979년 12월12일부터 5공화국 출범까지 신군부 쪽이 자신들의 업적 등을 서술해 출간한 9권짜리 비공개 기록물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