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방송과 신문진영이 싸움을 시작했다. 방송광고 규제완화가 논의될 때마다 반복되는 풍경이다. 신문협회가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으로 광고가 지상파에 쏠려 타 매체 생존에 위협적일 것이라고 주장하자 방송협회는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으로 내수진작, 일자리 창출을 통해 경제가 발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상파 방송이 회원사인 한국방송협회는 20일 오후 지난 15일 신문협회에서 발행하는 신문협회보의 지상파 중간광고 관련 보도내용을 반박했다. 

쟁점은 지상파 중간광고의 효과와 업계에 미치는 영향이다. 앞서 15일 신문협회는 신문협회보를 통해 “현 정부의 지상파 편애가 도를 넘고 있다”면서 “광고재원이 한정된 상황에서 중간광고가 도입될 경우 수천 억 원의 광고비가 지상파로 쏠리면서 타 매체의 생존에 큰 충격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 신문협회보의 지상파 중간광고 관련 기사(위)와 방송협회의 해명자료.
신문협회는 문화체육관광부 등 미디어관계 부처가 관련사한을 함께 논의할 것을 요구하면서 지상파 비대칭 규제는 “공정한 경쟁환경을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고 밝혔다. 신문진영이 이처럼 반발하는 이유는 지상파 중간광고가 도입되면 신문과 이들 신문이 겸영하고 있는 종합편성채널의 광고가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자 20일 방송협회는 ‘광고효과’가 크지 않다고 반박했다. “지상파 중간광고로 늘어나는 지상파 방송광고 시장은 약 7%수준”이라는 것이다. 방송협회는 “지상파 광고총량제 도입 논의 당시에도 일부 신문은 도입효과가 수천 억 원에 이를 것이라 주장한 바 있으나 광고총량제 도입 이후 지상파 방송광고 매출은 오히려 20% 가까이 하락했다”고 지적했다.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이 타 매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방송협회는 “결합판매를 통해 지역 및 중소방송사의 매출과 연동돼 공적 역할 수행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상파 방송은 종교방송,지역방송 등 중소방송사와 결합해 광고를 유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상파 광고 몫이 늘면 중소방송에도 보탬이 될 것이라는 이야기다.

한발 더 나아가 방송협회는 ‘경제성장’프레임으로 맞섰다. 방송협회는 “지상파 중간광고를 도입할 경우 최대 연간 2299억 원 이상의 경제 전체 생산유발 효과를 이끌어 매년 2967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 될 것”이라며 “내수 진작을 통해 국가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내용은 동덕여대 지식융합연구소가 지상파의 발주를 받아 진행한 연구결과를 인용한 것이다.

▲ 지난해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은 지상파 광고총량제 도입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연구결과를 왜곡해 정정보도를 했다.
광고시장을 둘러싼 지상파와 신문진영의 대립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지상파 광고총량제 도입을 두고도 갈등이 있었다. 특히, 종편 겸영 신문4사는 2014년 7월31일부터 지난해 4월말까지 9개월 동안 광고총량제를 비판하는 내용이 담긴 기사 146건을 쓰며 지상파 광고규제완화 저지에 총력을 기울였다. 이 과정에서 조선일보, 중앙일보, 세계일보가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보고서를 왜곡해 정정보도문을 게재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