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당시 김시곤 KBS 보도국장과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의 통화 녹취를 통해 드러난 정부의 KBS 보도 통제 파문이 정가를 뒤흔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사태를 ‘제2의 보도지침’이라고 규정하며 청문회 개최를 공헌하고 나섰고, 반면 새누리당은 “(보도 개입은) 홍보수석 본연의 임무”라는 청와대를 두둔하며 ‘청문회 불가론’으로 맞서고 있다. 

하지만 ‘홍보수석 본연의 임무’라는 새누리당의 주장으로 이번 사태를 유야무야 넘길 수는 없다. ‘보도통제’ 녹취와 관련해 짚고 넘어가야 할 몇 가지 의문점이 있기 때문이다.

첫 번째, 이 전 수석이 김 전 국장의 사퇴에 개입했는지 여부다. 

세월호 참사 직후 미디어오늘 보도를 통해 김 전 국장이 세월호 침몰사고를 일반의 교통사고에 비유했다는 사실이 알려졌고, 이에 분노한 세월호 유가족들은 2014년 5월 보도국장 면담 등을 요구하며 단원고 학생들의 영정을 들고 서울 여의도 KBS 본사와 청와대를 항의 방문했다.

김 전 보도국장은 5월9일 오후 사퇴 기자회견을 열었는데, 일주일 뒤 기자협회 총회에서 참석해 “(사퇴) 기자회견을 35분 남긴 시각에 사장이 ‘청와대로부터 연락이 왔다’며 회사를 그만두라고 했다”며 “3개월만 쉬어주면 일자리를 찾아보겠다고 회유했다. 그러면서 이를 거역하면 자기 자신도 살아남을 수 없을 뿐더러 이건 대통령 뜻이라고 까지 말하며 눈물을 흘렸다”고 폭로했다.

김 전 국장은 지난 1일에도 한겨레에 “(세월호 보도에 관한) 요구를 들어주지 않자 청와대가 길환영 전 사장과 ‘직거래’를 했고, 길 전 사장이 내게 보도국장 자리에서 물러나도록 종용했다”고 주장했다. 

김 전 국장의 말이 맞다면, 청와대가 공영방송사 인사권까지 개입한 것이라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 이정현 전 청와대 홍보수석(왼쪽)과 김시곤 전 KBS 보도국장. (사진=미디어오늘, 연합뉴스)

두 번째, 이 전 수석이 KBS에만 보도 통제를 했던 것인지 의문이다. 마음에 들지 않는 언론 보도에 거침없이 자신의 요구를 관철시키는 이 전 수석의 성향상 MBC, SBS 등 타 방송사에도 보도 압박 행위를 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해 2013년 5월부터 재임해 1년을 못 채우고 나온 김종국 전 MBC 사장의 경우 말을 극도로 아끼고 있다. 

김 전 사장은 2014년 3월 안광한 MBC 사장에게 밀려 연임에 실패했는데, 언론계에서는 정권의 눈 밖에 났다는 평가가 많았다. 

현재 고려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김 전 사장은 “이 전 수석으로부터 보도와 관련해 전화를 받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드릴 말씀이 없다”면서도 “나는 기사의 내용에 대해 (청와대와) 이야기를 주고받는 사람이 아니”라고만 했다.

김 전 사장은 ‘정권에 의해 연임이 좌절되지 않았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말할 입장은 아니”라면서도 “(사장 선임 문제는) 논의해서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했다. 그는 또 “아무것도 모르는 상황에서 MBC 사장 임기를 마쳤고, 지금은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세 번째,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이 언론에 어떤 방식으로 협조를 구하고 언론을 관리하는지 짚어야 한다.

SBS 출신인 김 수석은 지난해 6월 메르스 정국 당시 박 대통령을 풍자한 국민일보 기사와 관련해 편집국장 등에 전화해 “그게 기사가 되냐”고 항의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이원종 청와대 비서실장이 지난 1일 국회 업무보고에서 이 전 수석의 보도 통제 논란에 대해 “홍보수석 본연의 임무에 충실한 협조 요청”이라고 밝힌 만큼, 현 청와대 홍보수석의 ‘언론 협조’가 일상적인지 밝혀져야 한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