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민주언론시민연합 등 언론단체는 1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취재진의 안전을 직접 지키기 위한 ‘취재방해감시단(감시단)’을 발족했다.

감시단을 만들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지난달 14일 민중총궐기대회를 취재하던 취재진에게 물대포를 발사하는 등 취재방해 행위가 심해졌기 때문이다. 경찰은 오는 5일 있을 2차 민중총궐기대회에 대해 강경하게 진압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오는 5일에도 취재방해 행위가 나타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감시단은 2차 민중총궐기대회 전까지 경찰청과 면담을 통해 당일 감시단의 활동을 통보하고 경찰의 협조를 요청할 예정이지만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18일 방송기자연합회, 한국사진기자협회 등 언론단체가 경찰청 앞에서 취재진압에 대해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고 항의서한과 경찰청장 면담 요청 서한을 전달했다. 이에 경찰은 지난달 26일 경찰청 경비과장 명의로 사실상 답변을 거부하는 내용의 답변을 보낸 바 있다. 

   
▲ 12월5일 2차 민중총궐기 대회에 30명이 투입될 예정인 취재방해감시단 복장. 사진=장슬기 기자
 

최성진 감시단 부단장(한국기자협회 보도자유분과위원장)은 “이명박근혜 이후 취재를 방해하는 수단은 다양해졌다. 소송도 하고, 희망버스 취재 때는 언론인을 도로교통법 위반 혐의로 기소하기도 했다”며 “(한겨레 김규남) 기자의 목을 졸라 강제로 연행하기도 하고, 부상을 당하거나 (취재)장비가 파손되기도 하는데 이는 다분히 의도적인 도발행위”라고 말했다. 

30명으로 구성된 감시단은 당일인 5일 미리 모여 집회시위 인권교육 및 감시단 활동 매뉴얼을 숙지하고, 형광색 유니폼과 노란색 모자, 셀카봉, 방수팩 등을 배포해 취재방해 행위를 기록할 예정이다. 

취재방해감시단은 SNS 계정과 해시태그를 별도로 만들어 2차 민중총궐기 당일날 실시간으로 취재방해 현장을 알릴 예정이다. 최성진 부단장은 “인원이 30명밖에 되지 않아 10만명이 모일 수 있는 집회를 모두 기록할 수는 없기 때문에 시민들도 참여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시민들의 참여가 절실한 이유는 더 있다. 지난달 14일 인권침해감시단으로 활동하고 있는 인권활동가 2명에 대해서도 경찰이 소환장을 청구했다. 취재방해감시단에 대해서도 예외가 될 수 없는 상황이다. 
 
감시단은 취재방해 행위 외에도 경찰의 부당한 공권력 남용이나 과잉 진압, 인권 침해사례도 기록하고, 활동 종료 후에는 보고서로 만들어 제도 개선이나 법률 대응에도 활용할 예정이다. 

이들은 후속사업으로 취재진 완장을 준비할 예정이다. 감시단은 “현장에서 기자를 식별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다”며 “그렇다고 경찰이 발급한 것을 착용하면 경찰 채증팀이 똑같은 것을 착용하는 부작용이 있어 완장을 새롭게 제작하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 12월5일 2차 민중총궐기 대회에 30명이 투입될 예정인 취재방해감시단 복장. 사진=장슬기 기자
 

손관수 감시단장(방송기자연합회장)은 “감시단을 구성하는 상황에 이르게 된 게 안타깝다”며 “시민들의 권리가 제대로 보호되는지 감시하고 전달하는 일을 제대로 못하는 상황에서 우리(언론인)를 보호하겠다는 것으로 비춰지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KBS는 민중총궐기 당시 카메라에 물대포를 맞았지만 자사 보도에서도 경찰의 과잉진압에 대해 비판하는 보도를 내지 못했다. 손관수 단장은 “KBS 내부에서 기자협회와 새노조를 중심으로 문제제기를 하고 있지만 지상파의 상황이 녹록치 않다”며 “더구나 KBS는 최근 사장이 선임되고 인사가 진행되고 있어서 12월5일 보도를 어떻게 하는지가 새로운 체제를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에 대한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환균 전국언론노조 위원장 역시 “우리 스스로도 이런 일을 한다는 것(감시단을 만드는 것)이 멋쩍은 마음이 없지 않다”면서도 “현장에 있는 모든 기자들이 ‘기레기’이고 싶은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이어 “부끄럽지만 지금까지 해왔던 언론 모니터링 활동도 계속 할 것이고, 언론이 내용을 어떻게 채워나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계속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