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가 추석 이후 미디어 그룹 머니투데이에 대한 ‘공격’을 재개했다. 

연합뉴스는 6일 “머니투데이, 주식자금 서민대출 알선사업도 손댔다” 기사를 종합 기사까지 2꼭지를 연달아 내보냈다. 

연합뉴스는 머니투데이 그룹이 2009년 10월 설립한 계열사 유캔그린(상호:부자네스탁론)은, 손실 가능성이 커 전문가들이 경계하는 주식 투자 방식을 권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회사에는 큰 이익이 남는 사업으로 ‘언론사’로서 “도덕적으로 비난 받을 일”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연합뉴스는 5일 머니투데이 그룹의 통신사 뉴시스의 지역본부 운영을 두고 “우유대리점과 비슷하다”고 비꼬았으며 2일에는 역시 머니투데이 그룹 통신사인 뉴시스와 뉴스1이 연합뉴스의 기사를 “훔쳐 사용한 사실이 들통 나 손해배상을 했음에도 도용을 멈추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 연합뉴스가 홈페이지에 '사이비 언론 제보' 코너와 '퇴출, 사이비 언론' 기사를 묶은 코너를 마련했다. '퇴출, 사이비 언론' 코너에는 올해 7월 1일부터 송고된 기사 16건이 등록돼 있다. 앞선 기사에서 지목된 '사이비 언론'은 익명 처리 됐으나 머니투데이 그룹 계열사 회사명은 공개돼 있다.
 

 

지난달 18일 머니투데이 그룹 더벨의 ‘취재방해’를 빌미로 시작된 연합뉴스의 머니투데이 그룹 때리기가 지난 9월 22일(더벨), 9월23일(뉴스1) 비판 기사 이후 6일 현재까지 6회로 이어졌다. 

연합뉴스는 기사의 화력을 높이고 머니투데이 그룹의 신경을 긁고 있다. 연합뉴스는 머니투데이 그룹 계열사 언론에 대해 ”유사사영통신“, “나쁜 언론”, “우유대리점식 경영”, “도용 언론” 등으로 규정하며 비판했다. 

연합뉴스와 머니투데이 그룹의 싸움은 올해 초부터 예견돼왔다. 뉴시스는 지난 3월11일 한국언론학회가 주최한 ‘미디어 혁명시대, 한국 뉴스통신사의 위상과 발전 방안 모색’ 세미나에서 연합뉴스의 지배구조 투명성 및 연합뉴스 지원에 초점을 맞춘 뉴스통신흥법 개정 필요성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며 연합뉴스를 겨냥했다. 

뉴시스는 이어 3월17일, 5월29일, 6월1일, 9월9일, 17일 기사를 통해 연합뉴스에 대한 정부의 지원금 문제와 네이버의 연합뉴스 편중 배치 등을 꾸준히 지적했다. 특히 뉴시스는 9월9일자 기사에서 2016~17년 정부가 연합뉴스에 지원하는 예산이 올해보다 10억원 증가한 384억원을 받게 됐다고 썼다. 

또 연합뉴스가 18일 더벨 행사장에 등장하기 하루 전인 17일에 뉴시스는 “연합뉴스 등 기사 압도적 많아… 네이버가 정보 왜곡” 제목으로 새누리당 김상민 의원의 정무위 질의 내용을 기사화했다. 네이버의 연합뉴스 편중이라는 지적은 소매업에서도 강자의 위치에 있다는 지적으로 뉴시스 뿐 아니라 다른 언론과도 불편한 관계를 만드는 핵심 고리다. 

뉴시스의 잇따른 기사의 핵심은 뉴스통신진흥법 상의 통신사 지원 예산을 민영통신사에도 배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수백억원의 정부 예산을 받는 연합뉴스로서는 “유사사영통신”의 예산 ‘나눠 먹기’ 도전에 칼을 빼든 격이다. 

연합뉴스는 올해 3월 박노황 사장이 취임하면서 언론 대응 기능을 편집국 내부로 들여왔다. 연합뉴스의 비판 기사에 대해 기사로 직접 대응하겠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언론계 안팎에선 연합뉴스가 올해 초부터 머니투데이 그룹에 대한 비판 기사와 홍선근 회장에 대한 자료를 축적해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머니투데이 그룹은 뉴시스를 중심으로 올 초부터 연합뉴스와 대립각을 세운 기사를 내보냈다. 하지만 연합뉴스가 본격적인 대응에 나서자 정작 머니투데이 그룹은 대응을 삼가고 있다. 업계에서는 홍선근 회장이라는 오너십 리스크를 고려한 대응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연합뉴스와 머니투데이 그룹의 신경전은 뉴스통신 시장의 몰락에서 비롯했다는 관측도 힘이 실린다. 연합뉴스가 언론사에서 받는 전재료 수입은 2006년 271억원에서 2013년 241억원으로 줄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26.8%에서 15.6%로 줄었다. 연합뉴스가 최근 몇 년 새 전재계약을 늘리기 위해 ‘제 살 깎기식’ 영업을 해왔다는 지적도 나온다. 

통신시장의 거대 사업자인 연합뉴스가 전재료를 깎으면 뉴시스·뉴스1도 울며 겨자먹기로 전재료를 낮추며 대응해 왔던 게 사실이다. 

전재료 인하는 비단 통신사끼리의 경쟁만으로 촉발된 것은 아니다. 연합뉴스가 포털에 기사를 직접 전송하면서 B2B가 아닌 B2C 경쟁이 촉발됐고 통신사의 고객사들은 연합뉴스가 직접 뉴스 소매시장에 나서자 전재계약을 끊기 시작했다. 조선·중앙·동아·매경 등 뉴스 시장의 대형 언론사들은 연합뉴스와 전재 계약을 폐기한 후 회복하지 않고 있다.  

김동찬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국장은 “연간 400억원 가까운 국고보조금을 받는 연합뉴스가 국고 지원 문제를 두고 머니투데이 그룹과 기사를 쏟아내며 다투는 일은 서로의 정당성을 갉아 먹는 일”이라며 “언론단체나 시민사회 등 정책을 논의하는 별도의 논의 테이블을 만들어 논의 하는 것이 옳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