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는 90년대 중반. 영등포에 있던 금형공장들이 서울 가까운 화성지역으로 몰렸다. 금형공장은 생산코자 하는 물건의 본을 떠주는 제조업의 기초다. 화성지역은 산업체가 몰리면서 눈부시게 성장하기 시작했고 그 흐름에 올라탄 수원대 공과대학도 산학협력의 모델로 주목받았다. 정부로부터 여러 개의 연구개발센터가 높이 평가받아 수십억원 대의 연구 기자재들도 확보하였다. 교육기관이면서도 요즘 말로 ‘창조경제’에 기여할 유력한 모델이었던 것이다. 
 
‘교주총장’의 막장경영 
이런 흐름을 일거에 망친 자가 이인수다. 설립자의 차남인 그가 직접 경영에 나서면서 공대교수들이 성사시킨 외부 연구비를 불법으로 회수하였고 소위 ‘교주총장’으로 등극하더니 이들 센터 몇을 폐쇄하면서 그동안 적립해놓은 분석비와 장비임대료 등을 반납하게 하였다. 산학협력의 메카를 자멸의 길로 이끈 것이다. 스스로 장사꾼이라 칭하는 그의 눈에 대학은 장사의 수단으로만 보였던 것일까.
 
최근에는 한술 더 뜨고 있다. 작년에 대학평가가 매우 낮아서 정원을 16% (420명)나 감축당했는데, 올해 또다시 D마이너스 등급을 받아 추가 정원감축을 해야한다. 학생들은 학자금대출도 못받게 되었다.
 
그런 판국에 작년 한해 등록금을 쓰지 않고 모은 돈 1000억원 넘게 이월하더니 건물이 남아 도는데도 900억원을 들여 거대 건물 둘을 새로 짓고 있다. 게다가 강원도 홍천에서 자신이 추진하던 골프장 부지에 새 캠퍼스를 짓는단다. 그 돈이 어디서 나와서 어디로 흘러들어가는 것일까.
 
   
수원대 이인수 총장
 
교육부의 직무유기
그런데도 교육부가 수상하다. 다른 대학과는 달리 먼 산 보듯 감사하고서는 33가지 비리 가운데 4가지만 고발 아닌 수사의뢰를 하는 솜방망이를 휘둘렀다. 
 
최근에는 절차를 밟아 올라은 국립대 총장후보의 임명승인을 한없이 미루더니 사립대학의 구조개혁도 이상한 방향으로 몰고 있다. 학령인구의 감소를, OECD 국가 중 전임교수 확보율 최하위권 개선 등 체질전환의 기회로 방향을 잡아야하거늘, 학생정원 빌미로 ‘평가’의 칼자루를 휘두르는데 몰두하다니! 과연 무슨 배짱일까.
 
검찰과 언론과 국회
검찰도 요지경이다. 수원대의 2년연속 하위등급 판정은 검찰의 늑장수사가 1등공신이다. ‘총알’ 같았던 중앙대나 건국대의 수사와 대비된다. 수원대 비리와 관련된 여당대표와 그 가족에게는 왜 그리 관대한가. 명예도 상식도 없다.
 
소위 1위 언론의 정체성도 드러나고 있다. 사돈회사인 TV조선은 투입된 수원대의  50억원을 아직도 환원시키지 못하고 있다. 감사원 지적이 4년 전에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도대체 무엇이 1위란 걸까. 
 
소송 학생들에게 위자료를 주라고 판결받은 수원대의 4500억원 적립금은 그렇다 치고, 등록금을 제때 제대로 쓰지 않고 수천수백억원씩 쌓아놓은 대학은 수십개나 된다. ‘이인수들’이 창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이인수가 지금 3년연속 국회의 국감 증인소환을 빠져나가고 있다. 이 사태를 본 모 교수는 국회법을 개정하자는 의견을 내놓았다. 증인회피를 하면 사립학교를 포함한 공적기관에서의 지위를 박탈할 수 있도록 말이다. 과연 수원대 비리가 국회법 개정에 기여할 수 있을까. 그를 비호한 여야 정치인은 결국 ‘등록금 비리’를 비호한 것이다. 이건 여당대표라 할지라도 죄가 크다. 그들은 수원대 리트머스를 피해갈 수 없다.
 
반값등록금 공약을 파기한 대통령
게다가 박대통령은 작년에 반값등록금 공약을 그토록 쉽게 파기했다. 왜 그랬을까. ‘이인수들’이 창궐하고 있는데도 말이다. 자식 등록금은 목숨과도 같다. OECD가운데 등록금 혜택은 꼴찌인 국민들의 등골에, 지금 국가와 사학이 빨때를 꼽은 형국이다. 십년전 사학이 입맛대로 경영하도록 법을 고쳤던 그는 의심받고 있다. 차후 특정대학의 이사장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명예이사장이 될 마음을 가져야 하지 않나? 결자해지의 의무가 그에게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