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 29일, 8개의 프로젝트로 시작한 다음 뉴스펀딩이 11개월만에 누적펀딩액 20억원을 돌파했다. 김귀현 다음카카오 PRMC 파트장은 “좋은 콘텐츠에 기꺼이 지갑을 여는 착한 독자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 파트장에 따르면 펀딩 참여자 수는 11만명이 기사 15만 건에 1인당 평균 1만8000원의 금액을 펀딩했다. 신문 한 달 구독료와 같은 금액이다.

뉴스펀딩은 ‘크라우드 펀딩 기반의 프리미엄 콘텐츠 플랫폼’이다. 김 파트장은 “매체나 작가들이 일방적으로 콘텐츠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비용을 후원자에게 조달받아 함께 콘텐츠를 제작하고 그 과정을 보여주는 플랫폼”으로 정의했다. 그는 결과의 콘텐츠가 아니라 과정의 콘텐츠라는 점을 강조했다.  

김 파트장은 “그동안은 결과의 콘텐츠였다. 기사를 작성하면 데스킹을 거치고 거절 당해서 수정하기도 하는데 뉴스펀딩은 그 과정까지 모두 보여주자는 것”이라며 “취재 과정까지 다 보여주고 그 대신 돈을 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때 독자들은 단순히 콘텐츠 소비자가 아니라 참여자, 이를 넘어서 콘텐츠 생산자를 육성하는 역할까지 담당하게 된다. 

독자들은 직접 참여하고 공감했을 때 해당 스토리를 돈 주고 구입했다. 다음카카오에서 빅데이터를 통해 댓글을 분석한 결과 “고맙습니다”라는 댓글이 많이 달렸던 로브 매거진의 맛집 취재 콘텐츠는 김 파트장이 과연 펀딩이 잘 될까 의심했던 콘텐츠였다. 

하지만 식당에 가서 돈을 내고 식당 주인에게 양해를 구하고 취재를 하는 등의 과정을 보여주면서 ‘꿀팁’ 정보성 콘텐츠가 됐다. 김 파트장은 “취재 정도에 맞는 콘텐츠일 뿐인데 정도를 지키는 것 자체가 어필이 됐다”고 평가했다. 보통 ‘맛집’으로 검색하면 광고가 주로 떴지만 해당 콘텐츠는 아니었기 때문이다. 

   
▲ 다음뉴스 펀딩에 참여한 김제동 주진우 '애국소년단' 사진=애국소년단 제공
 

스토리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미래에서 온 줄넘기, 스마트 로프’는 한 스타트업의 기술지원성 펀딩이었다. 스타트업에서 어떤 기술을 가지고 스토리를 만들면 후원자들은 물건이 아닌 스토리를 구매했다는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결국 물건을 광고하는 것이지만 효과는 다르다. 

뉴스펀딩은 텍스트가 보편적이지만 웹툰, 포토, 영상 등 다양한 포맷으로 할 수 있다. 카테고리도 다양해졌다. 처음엔 저널리즘으로 시작됐지만 현재 라이프, 캠페인, 아트, 스타트업, 스포츠, 출판 등으로 영역을 넓히는 중이다. 이같은 시도는 결국 좋은 콘텐츠를 독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고민에서 출발했다. 

김 파트장은 “고민이 시작되던 2013년 12월 당시 하루 3만건의 기사가 포털에 전송되지만 포털 노출기사는 하루에 100여건으로 적은 상황이었다. 좋은 기사들이 전송돼도 어뷰징기사에 묻히기도 한다. 한편 언론사들은 고품질을 좇기엔 수익모델 부재로 흔들리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뉴스펀딩이 성장하면서 어떤 변화가 발생했을까? 김 파트장은 “프리랜서 기자가 탄생했다”고 말했다. 김 파트장은 오마이뉴스에서 기자생활을 하다가 퇴사한 뒤 뉴스펀딩을 통해 기사를 쓰는 박상규 기자를 소개하며 “언론사에서는 한 사안을 오래 취재하기 어렵지만 뉴스펀딩은 이게 가능해 심층 탐사보도를 강화하는 역할도 했다”고 말했다. 독립 매체가 뉴스펀딩을 통해서 자립하는 경우도 생겼다. 

김 파트장은 기존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도 조심스럽게 꿈꾼다. 김 파트장은 “후원자 수를 보면 1000~2000명 수준인만큼 매스 독자보다는 마이크로 타게팅이 중요하다”며 “가격은 공급자가 결정하기 보다는 독자들이 결정하면서 다양한 참여를 통해 생산자들을 후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후원금 7억 넘긴 다음 ‘뉴스펀딩’, 과제는?>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