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경 청와대 관계자와 조선일보 관계자, 포털 사이트 네이버 관계자가 만나 조선일보의 네이버 모바일 뉴스 서비스 진입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익명을 요구한 복수의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2014년 6월 윤창번 당시 청와대 미래전략수석과 강효상 조선일보 편집국장, 김상헌 네이버 대표가 조선일보 사옥 인근에서 만나 네이버 모바일 서비스에 조선일보 뉴스를 공급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김상헌 대표와 윤창번 전 수석이 조선일보가 네이버 모바일에 진입해야 한다고 요청했으며, 강효상 편집국장은 높은 수준의 전재료 계약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선일보는 중앙일보·동아일보·매일경제 등 한국신문협회 소속의 신문사들과 함께 포털 모바일 서비스에는 뉴스 콘텐츠를 공급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뉴스 콘텐츠를 헐값에 공급해 포털의 영향력을 키워줬다는 문제의식 때문에 모바일에서만큼은 주도권을 가져가겠다고 공공연하게 천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해 10월1일 조선일보가 갑작스레 포털에 모바일 콘텐츠를 제공하기 시작했고 이를 두고 추측이 난무했다. 당시 언론계에선 청와대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의혹과 함께 네이버가 높은 전재료를 제시했다는 관측이 나돌기도 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강효상 편집국장이 방상훈 사장에게 적극적으로 모바일 뉴스 공급을 주장했으나 전재료를 제대로 받아야 한다는 내부 반대 의견으로 미뤄지다 결국 방 사장이 허락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김상헌 네이버 대표와 강효상 편집국장은 서울대 법대 선후배 사이다. 눈여겨볼 점은 조선일보 네이버 모바일뉴스공급 협상에 청와대 미래전략수석이 개입한 점이다.

그동안 정부·여당 내에서는 조중동이 네이버 모바일에 뉴스를 공급하지 않으면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보수 프레임이 먹혀들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 때문에 선거 국면마다 정부·여당 관계자들이 보수 언론이 좀 더 적극적으로 포털을 공략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윤창번 전 수석이 보수 프레임 확대 전략으로 조선일보와 네이버의 협상을 중재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가능한 대목이다.

윤 전 수석은 박근혜 대통령의 방송·통신 공약을 총괄했던 인물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원장과 하나로텔레콤(현 SK브로드밴드) 회장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대통령직 인수위 시절엔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로 거론된 바 있다.

지난해 10월 조선일보가 네이버 모바일에 진입하자 동아일보와 매일경제가 잇달아 합류했고 중앙일보는 올해 2월1일 합류했다.

다른 한 업계 관계자는 “조중동 등의 포털 모바일 뉴스 진입에 청와대의 중재가 있었다는 건 공공연하게 알려진 사실”이라고 말했다.

미디어오늘은 윤창번 전 수석과 강효상 편집국장 등과 여러차례 통화를 시도했으나 연결되지 않았다.

조선일보는 8일 “셋이 만난 사실이 없으며 포털 모바일 뉴스서비스 진입은 경영적 판단에 따른 것”이라며 관련 내용을 부인했다. 네이버 관계자도 “만난 사실이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