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에 따르면 12일 오전 기준 가장 많은 메르스 감염자가 나온 곳은 삼성서울병원이다. 이날 오전 기준 메르스 확진자는 총 126명인데 이 중 60명이 삼성서울병원에서 감염됐다. 전체 환자 수의 47.6%수준이다. 12일 추가된 확진자 4명 중 3명도 삼성서울병원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건복지부는 밝혔다. 

이같이 많은 감염자가 발생했음에도 정부가 삼성서울병원을 통제하지 못하고 있는 정황이 계속 발견되고 있다. 특이한 점은 이에 대해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과 시민단체 ‘삼성노동인권지킴이’ 등이 같은 지적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만 삼성노동인권지킴이는 여기에 정부의 특혜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 같은 의혹이 제기되는 근거를 정리했다. 

1. “메르스 의사 등, 엉터리 격리”

지난 7일 삼성서울병원은 14번 환자와 접촉한 인원을 공개하고 이들에 대해 즉시 통보조치 했다고 밝혔다. 14번 환자는 이번 메르스 사태에서 가장 강한 전염력을 보인 ‘슈퍼전파자’다. 삼성서울병원이 격리조치했다고 밝힌 인원은 893명이며 이 중 환자가 675명, 의료진이 218명이라고 밝혔다. 송재훈 원장은 “파악되는 즉시 통보하고 필요한 격리조치 했다”고 설명했다.

 

   
▲ 삼성서울병원. ⓒ민중의소리
 

하지만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두 가지 사례를 들어 ‘엉터리 격리’라고 반박했다. 먼저 ‘메르스 의사’로 불리는 35번 환자다. 하 의원은 “35번 환자는 14번 환자가 격리된 지난달 29일밤부터 2박 3일이 지나도록 병원으로부터 아무런 격리 통보를 받지 못했다”며 “이 의사는 31일부터 자가격리를 시작했는데 이것도 병원의 격리조치와 무관하고 본인 스스로 증상을 자각해서다”라고 밝혔다. 

두번째는 해당 병원 응급실 간호사다. 하 의원은 “이 환자는 6월 2일 발열이 시작되자 마스크를 착용하고 6월 4일까지 출퇴근을 했다”며 “삼성서울병원의 발표처럼 격리조치가 됐다면 출퇴근을 할 수 있었을까”라고 반문했다. 이어 하 의원은 “병원 의료진인 두 사람조차 5월 29일부터 6월 4일까지 격리되지 않았는데 도대체 환자들에게는 어떻게 통보하고 격리했다는 것인가”라고 덧붙였다.

2. 정부 자료에 삼성병원 격리자는 없다?

지난 7일 송재훈 삼성서울병원 원장은 1번 환자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1번 환자가 진료받았던 동일 시간대에 응급실에서 진료를 받아 1번환자에게서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었던 환자 285명, 의료진 등 직원 193명을 확인하였고 질병관리본부와의 긴밀한 협조하에 메르스 노출 가능성 통보 및 필요한 격리조치를 하였습니다.”

하지만 하태경 의원은 “질병관리본부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그 어떤 자료에도 이 478명의 노출자 관리, 120명의 격리자 관리에 대한 언급은 나오지 않는다”며 “삼성서울병원은 정부의 통제 밖에서 따로 움직인 것인가”라고 밝혔다. 김용익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도 지난 8일 CBS 라디오에서 “복지부 질병 통계, 메르스 통계에는 삼성병원 자료는 들어있지도 않다”고 말했다. 

 

   
▲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입구에서 병원 직원들이 마스크와 보호복 등을 갖추고 근무하고 있다.ⓒ민중의소리
 

3. 다른 병원은 폐쇄했는데 1위인 삼성병원은?

정부에 폐쇄된 병·의원은 전국적으로 10곳 남짓이다. 대전의 대청병원과 건양대병원, 또 국군대전병원은 중환자실 등 확진자가 발생한 병동 전체를 폐쇄하는 ‘코호트 격리’에 들어간 상태다. 코호트 격리란 질병 발생 병동의 의료진과 환자를 전원 격리하는 것을 말한다. 서울 메디힐병원은 서울시가 폐쇄 조치를 내렸다. 1차 진원지인 평택성모병원은 지난 달 31일 자진폐쇄했다. 

하지만 삼성서울병원에 대해서는 아직 이같은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정진후 정의당 의원은 지난 8일 “대형 재벌병원을 보호하기 위해서 그랬던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현재 삼성서울병원은 슈퍼전파자인 14번 환자가 머물렀던 응급실만 폐쇄한 상태이다. 이후에도 정부는 삼성서울병원을 감싸기 바쁜 모양새다. 지난 9일 정부가 “삼성서울병원 관련 확진자는 3명으로 감소 추세”라고 밝힌 것이 그렇다. 

하지만 다음 날인 10일 발표된 확진자는 13명이었는데 그 중 10명이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방문했다가 메르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 발표가 하루 만에 무색해지는 순간이었다. 문제는 지금도 해당 병원에서 계속 감염자가 나오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난 11일에는 이 병원 응급실 밖 정형외과에서 외래진료만 받은 환자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기도 했으며 12일에 추가된 확진자 4명 중 3명이 삼성서울병원에서 발생했다. 

4. 왜 서울시는 직접 병원에 자료를 요청해야만 했나

“삼성서울병원이 아직도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박 시장이 지난 8일 오전 서울시 국장급 이상 간부들이 참석한 메르스 대책회의에서 한 말이다. 당시 박 시장은 환자의 동선, (메르스 의사로 불리는 35번 환자가 참석한) 병원 심포지엄 참가자들의 연락처 등을 삼성서울병원에 요청했으나 제공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삼성서울병원은 이날에서야 서울시에 자료를 제공했다. 응급실에서 환자가 발생한 지 10일만이었다. 

메르스 사태에 대해 모든 관리·감독권은 정부가 가지고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필요한 자료가 있다면 보건복지부가 해당 병·의원에서 받아 이를 지자체에 전달하는 게 보통의 수순이다. 그러나 보건복지부는 삼성서울병원에 대해서는 뒷짐만 지고 있었다. 이에 대해 삼성노동인권지킴이는 “정부는 삼성서울병원의 책임을 묻기보다 오히려 병원을 보호하고 격리 대상자 조사까지도 결국에는 방역체계 전체를 무너뜨리는 사태를 낳았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