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와 MBC가 여전히 2012년 파업에서의 노사 갈등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박노황 연합뉴스 사장이 지난달 ‘비상경영 대책’을 내세우며 조직 효율화를 제고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연합뉴스는 지난 15일 사원인사 29명 명단을 공표했다. 

여기에는 지난 2012년 103일 파업을 이끈 공병설 전 언론노조 연합뉴스지부장 등 파업에 참여하거나 동조했던 기자들이 대거 포함돼 있었다. ‘보복성 인사’라는 비판이 나오는 까닭이다. 

일각에서는 박 사장이 노조 탄압을 전면에 내세웠던 김재철 전 MBC 사장을 모방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사측이 3년 전 파업의 상흔을 치유하려 하지 않고, 노조 인사들에 징계성 인사를 내는 방식의 ‘공포경영’이 유사해서다. 

연합뉴스 기자들은 기수별로 성명을 내면서 “‘공포경영’ 아래 한번 눈 밖에 나면 아무리 시간이 흐르더라도 반드시 보복한다는 인식이 퍼진 상황에서 과연 우리가 위기를 돌파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이 모든 칼춤이 어느 높은 곳에 보이기 위한 쇼 아니냐"고 비판했다. 

   
▲ 공병설 전 언론노조 연합뉴스지부장(왼쪽)과 박노황 연합뉴스 사장.(사진=김도연·이치열 기자)
 

MBC에서는 파업 참가 인력이 비제작부서로 내몰리고 이들을 대체한 시용·경력 기자들이 보도국을 장악하는 현상이 고착화하고 있다. 언론노조 MBC본부에 따르면, MBC에 있는 기자 296명 가운데 68명이 2012년 파업 이후에 입사했다. 

이들은 주요 이슈가 몰리는 정치·사회부서에 집중 배치돼 있다. 전체 68명 가운데 보도국 취재센터 소속이 58명에 달하고 이 가운데 가장 많은 13명(22%)이 정치부 소속이라는 것. 

뿐만 아니라 지난달 법원이 2012년 파업 정당성을 인정하며 해고가 무효라고 판시했음에도 MBC는 이를 이행하기보다 상고를 결정했다. 

김서중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19일 미디어오늘과 인터뷰를 통해 “법원은 방송 공정성을 요구하는 언론 노동자 파업은 근로조건 기초를 이루는 것으로서 그 정당성을 인정한 바 있다”며 “연합뉴스도 정부로부터 공적 지원금을 받는 공영 매체로서 공공성이라는 언론 본질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하지만 현재 경영진들은 공공성 부문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고 공정 보도를 요구한 언론인에게 불이익을 주고 있다”며 “연합뉴스 경영진과 뉴스통신진흥회 이사들은 공영 매체 정체성을 외면하거나 인정하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