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낳고 육아휴직을 했던 때가, 기자생활 10년이 코앞이던 즈음이었다. 그 시간 동안 이렇게 저렇게 주워들은 이야기들이 적지 않았다. 세상의 어떤 문제도 들은풍월로 한마디 말은 얹을 수 있다 자신하던 때이기도 했다. 그 근거 없는 자신감이 얼마나 오만한 것이었는지 알게 해준 것은 갓 태어난 아이였다. 

버스 소음이 잠든 아이를 깨울 만큼 큰 줄 처음 알았다. 굉음을 내며 인도를 활보하는 오토바이는 왜 그렇게 많을까. 우리가 늘 걷는 길은 유모차를 끌고 다니기에 어찌나 턱이 많은지, 통계로는 와 닿지 않았던 '전업맘'은 또 얼마나 많은지도 처음 실감했다. 내가 전혀 몰랐던 세상을 아이가 가르쳐줬다. 

어린이집이라는 보육의 세계도 아이가 내게 보여줬다.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기고 복직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어린이집이 엄마들에게 알려주지 않는 진실>이라는 책의 서평을 부탁 받았다. 어린이집 학부모라는 이유였다. 그런데 앞 몇 장을 읽고 한동안 쳐다보지도 않았다. 너무… 끔찍했다. 썩은 달걀과 곰팡이가 핀 송편이 아이들 간식으로 나오고, 허위교사와 허위아동을 등록해 보조금을 빼돌리고, 원장은 매일매일 뒷돈을 모아 또 큰 어린이집을 짓고. 이 책의 저자는 거의 모든 어린이집이 그렇다고 했다. 

그런데, 어쩌란 말인가. 어쨌거나 당장 나는 출근을 해야 하고, 그러니 내 아이는 어린이집에 가야 하는데? 차라리 모르는 것이 낫겠다 싶었다. 기자를 업으로 삼고 있는 이가 할 소리는 아니지만, 세상의 모든 진실이 꼭 당사자에게 위로가 되는 것은 아니다. 

   
▲ 지난 1월 벌어진 인천 연수구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 CCTV 화면. 당시 SBS 뉴스 갈무리
 

인천의 어린이집 학대 사건이 터진 것이 그즈음이었다. 역시 같은 인천에서 낮잠을 자지 않는다고 교사가 아이를 7차례 바닥으로 내던진 사실이 알려진지 오래되지 않은 때였다. 김치를 안 먹는 아이를 교사가 폭행했다. 여론이 들끓었다. 이례적으로 그 어린이집은 즉각 폐원했다. 교사는 구속됐다. 

그런데 이상했다. 자세히 들여다보니, 어린이집의 아동학대 사건은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얘기였다. 내가 그동안 깊은 관심을 같지 않았을 뿐. 같은 인천에서만 두 달 사이, 세 번째이나 발생했다. 아니, 정확히는 알려진 학대사고만 그렇다. 그런데 왜 언론도, 정부도, 정치권도 마치 처음 보는 일인 듯 호들갑을 떠는 것일까. ‘나는 어린이집 교사입니다’ 기획의 출발점은 바로 여기였다. 왜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은 사라지지 않는 것일까. 아이를 좋아하지 않고서는 할 수 없는 직업을 선택한 이들이 왜 아이들을 폭행할까. 대체 우리 사회 어린이집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진실이 궁금했다. 

그리고 그 진실을 교사에게 묻고 싶었다. 혹시 그곳에 범죄자가 있다면, 첫 번째 목격자는 아이들과 동료 교사일 것이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교사들을 만났고, 그 교사들은 내가 미처 몰랐던 세계를 보여줬다. ‘인간적인 보육 환경’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한 교사가 아이 몇을 돌보느냐다. 그런데, 우리는 많아도 너무 많았다. 게다가 이 비율? 안 지키면 그만이다. 돌봐야 할 아이 수도 많지만, 노동조건은 그야말로 최악이었다. 점심 먹을 시간도, 화장실 갈 틈조차 없는데, 엄청난 서류에 짓눌린 일상적 야근으로 퇴근 후에도 업무에 시달리는데, 천사가 내려온들 한없이 자애로울 수 있을까? 적어도 나는, 그럴 수 없을 것 같았다. 그렇다면 되물을 수밖에. 누가 이들을 괴물로 만들고 있는 것인가? 

더 큰 문제는 시스템이다. 막대한 보육료를 쏟아 부으며 ‘무상 보육’을 자랑하지만, 우리 보육은 완전히 민간의 ‘장사꾼’에게 맡겨져 있다. 원장은 자격조건이 있지만, 설립자는 아무나 가능하다. 한 대표자가 36개의 어린이집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었다. ‘아이 장사’가 잘 되면 치킨집처럼 권리금을 얹어 팔 수도 있다. 그런데 이렇게 만든 것? 모두 정부다. 

보육을 장사의 수단으로 맡겨놓으니, 못 된 원장은 아이들 간식으로도 장난을 치고, 인건비를 적게 쓰려고 용을 쓴다. 그래야 가져가는 돈이 많으니까. 이 사태를 알고도 내버려두고 있는 이? 역시 정부였다. 그나마 환경이 나은 국공립을 늘리지 않는 것도 정부고, 비리를 알려줘도 단속조차 하지 않는 것도 정부다.

그 진짜 ‘범죄자’는 문제가 생기면, 교사만 탓한다. 그 현실을 짚어가니, 엉뚱한 사람들이 반발을 했다. 정부가 방치한 시스템 속에 보육을 장사로 생각하는 일부 원장을 말했더니, 많은 원장들이 댓글로 메일로 전화로 항의를 해 왔다. ‘우리가 얼마나 먹고 살기 힘든데’가 그 많은 항의의 핵심이었다. 그런데, 미래 세대를 키우는 일이 누군가가 이윤을 남기는 수단이 되어도 되는 것일까. 진짜 하고 싶었던 말은 그것이었다. 

   

▲ 여정민 프레시안 기자

 

 

두 달의 기간, 10명 남짓한 교사들을 만나가는 동안 나는 서서히 늪에 빠져갔다. 처음 만난 선생님이 “기자님, 보육은 늪이에요” 하던 말을 뒤늦게야 이해했다. 12편의 이야기를 쏟아냈지만, 담지 못한 이야기가 여전히 한 보따리다. 이 늪에서 어떻게 빠져나올 수 있을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있다. 두 달 내내 품고 살았던 의문, 왜 20년 동안 달라지지 않았을까? 이 답에 해법이 있다는 사실. ‘내 아이만 다치지 않으면 돼’라는 무관심이 우리 아이들을 학대를 부르는 살인적인 환경에 버려둬 왔다는 진실. 당장 아프더라도, 진실을 인정해야 달라질 수 있다는 뒤늦은 후회가, 변화의 시작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