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 대사 피습사건 이후 화제가 된 책이 하나 있다. 돈 오퍼도퍼 존스홉킨스 대학교 교수의 책 <두 개의 한국(The Two Koreas)>다. 로버트 오그번 주한 미 대사관 공보참사관은 8일 서울 세브란스 병원에서 열린 브리핑 자리에서 리퍼트 대사가 <두 개의 한국>을 정독 중이라고 밝혔다.

<두 개의 한국>은 워싱턴포스트 기자로 한반도 문제를 오랫동안 취재한 돈 오퍼도퍼가 기술한 책이다. 97년 나온 1판에 로버트 칼린 전 국무부 동북아 담당관이 2001~2013년 상황을 덧붙여 지난 2014년 개정판이 나왔다.

왜 병상에 있던 주한대사는 하필 이 책을 정독했을까. 이 책 전반에 흐르는 메시지는 바로 ‘한미관계는 변화한다’는 것이다. 한국전쟁 이후 미국이 한국을 지켜줬다고 믿는 이들에게는, 리퍼트의 쾌유를 기원하며 부채춤까지 추는 분들에게는 ‘불편한 진실’일지 모르겠지만 한국과 미국은 영원한 우방이 아니라는 것.

   
▲ 7일 오전 10시 대한예수교 장로회 합동한성총회 소속 신도들이 서울 파이낸스 빌딩 앞에서 리퍼트 대사의 쾌유를 기원하는 부채춤 공연을 펼치고 있다. 사진=노컷뉴스
 

베트남 전쟁 이후 리처드 스나이더 주한대사는 “남한이 여전히 미국에게 의존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더 이상 속국은 아니다”며 한미관계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본국에 촉구한다. 한반도에서 손을 떼라는 의견까지 있다. 안보에 위협을 느낀 박정희 정권은 독자적인 핵무기 개발을 추진한다.

“카터의 턱 근육이 조용히 씰룩거리는 것을 보았다. 카터가 잔뜩 긴장하고 있을 때면 으레 나타나는 버릇이었다. 이와 동시에 테이블 건너편에 앉아있던 박 대통령은 자신의 말이 한마디씩 끝날 때마다 손가락으로 탁자를 쳐서 탁탁 소리를 냈다. 이 역시 감당하기 힘든 스트레스를 받으면 무의식적으로 나오는 박 대통령의 버릇이었다. 밴스는 카터의 차가운 분기(憤氣)로 회의실 전체가 냉랭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감지할 수 있었다”

“박 대통령이 무려 45분 동안 자신의 입장을 장황하게 전달하는 동안 카터는 밴스와 브라운 국방장관에게 다음과 같은 메모를 전달했다. “만일 박정희가 계속 이런 식으로 나온다면 한국에서 미군을 전원 철수시키고 말겠소.”라는 내용이었다. 카터는 그 자리에서 바로 반론을 제기하는 대신 잠시 회의를 중단하고 박 대통령과 함께 옆방으로 자리를 옮긴 후 계속 대화를 나눴다. 밀폐된 장소에서 카터는 남한의 인권문제를 제기한 뒤 경제적으로 북한보다 훨씬 부강한 대한민국이 군사적으로 북한을 따라잡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물었다“

홀브룩 당시 국무부 차관보가 “당시 한-미 양국 정상 사이의 대면은 동맹국 정상간의 회담이라고 도저히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끔찍했다”고 평할 정도로 당시 한미관계는 냉랭했다.

오퍼도퍼는 5.16 쿠데타와 12.12 군사반란을 예로 들며 미국이 과거의 권위주의 청산하고 좀 더 민주적인 정치체제로 진입하도록 유도해봤지만 그 노력이 번번히 실패로 돌아갔다고 말한다. “남한 내 정치인들에게 사활이 걸린 문제에서만큼은 미국의 영향력이 상당히 제한돼 있음을 깨달았다”

“5.16 쿠데타와 마찬가지로 79년 12.12 반란은 미국이 무언가 조치를 취하기도 전에 이미 기정사실이 돼버렸다. 5.16 당시 미 대사관 측은 한국의 민선 정부를 계속 지지하겠다는 발표를 통해 상황을 역전시켜보려고 노력했지만 결국 참담한 실패로 돌아갔다”

   
▲ 두 개의 한국 / 돈 오퍼도퍼, 로버트 칼린 지음.
 

오퍼도퍼는 이어 노태우 정부, 김영삼 정부의 대북정책을 살피며 그것이 미국과 미묘하게 어긋난 지점들, 미국과 한국의 서로 다른 이해관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미국과 한국은 북한을 앞에 두고 협력과 갈등을 반복한다. 북한은 이 묘한 틈을 파고든다. 오퍼도퍼가 말하고 싶은 것은 한미관계가 바람 잘 날 없이 항상 흔들렸다는 사실이 아닐까. 96년 9월 강릉잠수함 침투사건 때도 그랬다.

“한‧미간 감정의 골이 깊어지면서 남한에 있던 미국 관리들은 양국 사이에 존재하는 커다란 견해차를 우려하기 시작했다. 이런 와중에 달라진 분위기를 상징하는 한 가지 사건이 발생했다. 한국군 장교들이 북한 잠수함 조사를 위해 현장에 파견된 한 미군 무관에게 조사를 허락하지 않으려 했을 뿐 아니라 마지못해 허락한 후에도 조사를 마치고 잠수함을 떠날 때 몸수색을 받게 한 것이다. 이에 미국 대사관은 즉각 항의했다. 미국 정부의 분석가들은 남한 정부의 조사내용을 담은 보고서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미국이 <두 개의 한국>을 한미관계의 ‘바이블’로 삼고 주한대사가 이 책을 정독한다는 점을 보면 미국은 한미관계를 냉정히 판단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한국 정부는, 나아가 한국의 정치세력은 한미관계를 냉정히 보고 있을까.

이 책을 박근혜 대통령에게도 추천하고 싶은 이유다. 남은 3년간 대북정책, 나아가 외교 정책을 결정할 때 ‘한미관계는 계속 변화 한다’는 이 책의 메시지를 유념해야 하기 때문이다. 당장 ‘사드 배치’라는 큰 쟁점이 있다.

   
▲ 박근혜 대통령이 9일 오전 서울 세브란스병원에서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의 병실을 방문해 위로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박 대통령에게 <두 개의 한국>을 추천하는 또 다른 이유는 이 책의 마지막, ‘후기’ 때문이다. 이 책의 ‘후기’는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진심어린 조언이 담겨 있다.

“박근혜는 50년 전 아버지가 직면했던 문제들만큼이나 심각한 사회적‧정치적 문제 해결의 압박을 받고 있다. 그러나 그녀는 아버지만큼 오래 집권해서 문제를 해결하거나 아버지가 누렸던 만큼의 권력을 누릴 수 없다”

“박근혜 대통령은 1961년 당시보다 발전된 경제를 자랑하는 한국을 물려받았다. 북한에 대한 태도는 단호해지고,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의 남한의 역할은 굳건해졌다. 그러나 지난 수십 년 동안 국민들이 의지해왔던 남한의 거의 모든 기반이 위험에 처한 듯 보인다. 빠른 경제성장의 기적에 대한 자축과 한 세대 전 이뤄낸 평화적인 문민정부로의 전환은 이미 과거의 유물이 되어가고 있다”

“대한민국 내부와 외부의 정치인과 비평가들은 하나같이 지난 30년 간 남한이 북한을 앞섰다는 사실만을 강조하며 남한을 북한과 비교해왔다. 양국 간 차이가 있다는 점은 새롭지 않으며, 모든 사람들이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러나 그 차이에 집중하면 사실은 남한이 잘 돌아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감추는 격이 되고 만다. 한 가지 비극적 예를 들자면 남한의 자살률은 모든 OECD 회원국의 자살률보다 훨씬 높다. 이 암울한 통계수치에 대한 많은 해석이 있지만, 깊이 들여다보면 왜 이런 수치가 나오는지 설명할 필요도 없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