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정촌’에서 일반인 남녀가 만나 6박7일 동안 서로의 짝을 찾는다는 독특한 콘셉트로 시작된 SBS 프로그램 <짝>은 남규홍 PD의 일상적인 관찰 습관에서 시작됐다. 

남 PD는 대학 시절, 법대 공부가 힘들면 도서관 난관이나 벤치에 자리잡고 앉아 사람 구경을 실컷 했다. 본능적으로 여자를 좀 더 집중적으로 관찰하고 선배, 친구들과 품평회(?)를 가졌다고. 남 PD는 아직도 시간이 날 때마다 장소를 불문하고 사람을 관찰한다.

사람을 들여다보니 인간의 욕망이 보였다. 남 PD는 <짝>, <인터뷰게임>의 탄생과 제작과정을 담은 저서 에서 “내 삶에서 화두는 언제나 인간의 기본적인 욕망”이라며 “제1의 욕망이 ‘출세’였고 제2의 욕망이 ‘짝’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에서 좋은 직장에서 군림하며 하고 싶은 일을 마음대로 하는 욕망, 그리고 남들이 부러워할 만한 배우자를 만나 행복한 가정을 꾸리는 욕망을 담은 시리즈 ‘출세만세’와 ‘짝’을 만들었다. 

그 중 ‘제2의 욕망’은 정규프로그램 <짝>으로 이어졌다. 오락성이 더해졌지만 여전히 인간의 내면을 탐구한다는 특성은 그대로다. 남 PD는 “‘짝’은 존재했던 대한민구 방송 프로그램 중에 가장 스케일이 큰 인문·사회 분야 인간 탐구 프로그램”이라고 자평했다. 

프로그램 타이틀과 구성 곳곳에는 인간에 대한 남 PD의 인문학적 시각이 녹아있다. 애정촌 ‘짝’ 간판 뒤에는 ‘ㅉ’이 아닌 ‘ㅶ’으로 시작되는 짝의 고어가 찍혀 있다. 남 PD는 ‘ㅂ’과 ‘ㅈ’이 뜻하는 것은 무엇일까, 남녀의 상징을 강조하는 에로틱한 결합을 한 글자로 표현한 것은 아닐까 상상했다. 만약 그렇다면 짝은 ‘ㅶ’이 ‘ㅉ’으로 변하면서 속궁합(본질)보다는 겉궁합(형식)을 강조하는 것으로 변화를 겪었다는 재미있는 해석을 내리는 것이다.

   
▲ SBS 프로그램 <짝>
 

애정촌에서 이뤄지는 ‘도시락 선택’ 놀이도 마찬가지다. 남 PD는 “우리시대의 밥은 무엇을 먹는가가 아니라 누구와 먹는가를 종종 묻고 있다. 오늘의 메뉴가 아닌 오늘의 파트너를 찾아 사람들은 정치를 하고 또 다른 차원의 생존, 다시 말해 생물학적인 생존이 아니라 사회적인 생존을 한다”고 했다. 애정촌에서의 혼자 도시락 식사가 고독을 넘어 공포로 다가오는 이유다. 

사람을 만나고 관찰하는 일을 좋아하는 남 PD는 그렇게 1000일 동안 애정촌에서 살며 약 6000명을 인터뷰해서 60기수를 촬영하고 약 677명의 출연자를 만났다. 남 PD는 인간의 욕망을 따라갔고, 출연자들은 욕망에 충실했다. 남 PD는 애정촌 8기 연출 당시 “남자1호와 도시락 식사를 하고 싶은 여자는 물을 건너가 주세요. 선택을 하든 안 하든 자유입니다”라고 말했다. 남자와 도시락 식사를 하고 싶은 여자들이 첨벙첨벙 옷을 입은 채 수영장에 뛰어들어 물을 건넜다. 그렇게 ‘의자왕’의 전설이 만들어졌다. 

이 책을 읽다보면, 남 PD가 지닌 인문학적 감수성의 보고가 사람에 대한 애정뿐만 아니라 ‘책’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남 PD는 “그 프로그램(<그것이 알고 싶다>)의 제작 일정은 촘촘하고 강도가 높기로 유명하다. 그런 빡빡한 생활 속에서도 기적처럼 연간 백 권이 넘는 책을 틈틈이 읽었다. 책을 읽으면서 머리도 식히고 아이템도 잡고 구상도 하고 기획도 한다”고 했다.   

   
▲ 책 <방송기획, 생각대로 된다>
 

한국PD대상에서 ‘실험정신상’을 수상한 <인터뷰게임>은 사내 기획 공모부터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입길에 올랐다. 이 프로그램은 일반인들이 자신의 가족, 연인을 알기 위해 마이크를 가지고 그대로 기자처럼 인터뷰를 한다는, 가장 소중한 사람과 소통을 한다는 취지로 만들었다. 시청률도 14.5%까지 올라갔지만 아쉽게도 28회 때 폐지됐다. 

<인터뷰게임> <짝> 등 ‘진입자’류의 프로그램을 만든 남 PD는 “PD의 화두는 창조고 지금 세상의 화두도 창조”라고 했다. 그러면서 방송 환경에 쓴 소리도 했다. 남 PD는 “방송 현장에서는 창의력 이전에 좋은 기획을 통과시키는 처세술이 더 필요할 수도 있다”고 했다. 

어찌됐든, 방송환경 뿐만 아니라 신규 프로그램 제작 자체가 PD에게 엄청난 모험이다. 잘 나가는 프로그램을 이어받아 ‘관리’하는 것이 출세에도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남 PD는 “그래도 지금 바위틈을 비집고 나오는 무모한 풀 한 포기가 되고 싶다”고 밝혔다.

남 PD는 그러면서 ‘창조를 위한 창조’는 거부했다. 그는 “창의성이라는 인간의 능력도 인간을 위해 존재할 때 위대하다”면서 “창의력보다 더 중요한 방송인의 자질은 타인에 대한 공감과 이해 능력 그리고 일반 시민으로서의 상식과 양심”이라고 했다. 어쩌면 남 PD가 말하는 방송기획의 핵심은 인간성인지도 모른다. 결국 그의 사람 관찰과 인문학적 감수성의 출발도 ‘사람’이니 말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