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이 문창극 신임 국무총리 후보자의 식민사관과 관련한 망언들을 적극 옹호하면서 역사적 평가가 끝난 사건을 또다시 이념논쟁으로 이끌고 있어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앞서 언론에 보도된 바에 따르면 문 후보자는 과거 자신이 장로로 있는 서울 온누리교회 특별 강연에서 “일본의 식민지 지배는 하나님의 뜻”이라고 하는가 하면 “제주도 4·3 폭동사태는 공산주의자들이 반란을 일으킨 것”이라고 발언해 여론의 질타와 함께 여당 의원들에게도 자진 사퇴 압력을 받았다.

하지만 하태경 의원은 자신이 페이스북에 제주 4·3사건과 관련해 “문 후보가 제주 4·3을 폭동이라 규정한 것은 지당한 이야기”라며 “4·3을 민중항쟁으로 규정하는 사람들은 사실상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사람들”이라고 주장해 불필요한 이념논쟁을 촉발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제주 4·3 사건은 지난 2005년 노무현 대통령이 4.3위령제에 참석해 국가 공권력에 의해 피해를 입은 제주도민과 4·3 유족에게 공식 사과를 했고, 박근혜 대통령도 대선 공약에 따라 4월3일을 국가추념일로 지정했다. 정부와 국회에서 정한 법률에 4·3 사건을 이념적으로 정의한 내용은 없다.

   
▲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 페이스북
 
그럼에도 하 의원은 문 후보자를 감싸기 위해 “제주 4·3이 남로당이 주도한 반대한민국 폭동이라는 것과 그 과정에서 무고하게 희생된 사람들의 억울한 영혼을 추념하는 것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며 “4·3의 발단이 폭동일지라도 그 과정에서 억울하게 희생된 사람들은 대한민국 국민들이기 때문에 그 국민들은 적극적으로 끌어안는 게 국가가 할 일”이라고 해 지금까지의 제주 4·3 사건의 진상규명 노력을 부정하는 ‘몰역사적 망언’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하 의원은 또 문 후보자가 지난 4월 서울대 강의를 하면서 “일본으로부터 위안부 문제 사과를 받을 필요가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과 관련해 “위안부 사과가 필요 없다는 의견도 대중의 상식을 뛰어넘는 저널리스트의 파격으로 이해된다”며 “코페르니쿠스와 같은 새로운 도전과 파격을 이단시하고 불온시만 한다면 그 사회의 미래를 위한 진보는 암담해진다”고 말했다.

문 후보자의 역사관에 대해서도 하 의원은 “식민지배와 남북분단 등의 시련을 패배주의적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우리나라가 더 잘되고 강하게 될 수 있도록 만들어준 시련이었다는 인식이 아주 낙천적이고 건강하다”며 “야당과 좌파가 문 후보자에게 친일 딱지를 붙이려고 혈안이 돼 있는데 그는 친일이 아니라 극일”이라고 주장했다.

하 의원의 이 같은 망언급 주장에 대해 누리꾼들은 “제주 4·3을 폭동으로 규정하기 전에 억울하게 희생당한 제주도민을 우선 생각해 달라.”, “저런 사람이 총리가 될 바에야 차라리 아베를 총리로 초빙하는 게 어떤지 한 번 건의해 봐라. 정신 차리고 역사 공부를 처음부터 다시 하길 바란다.”, “파격이 지나친 사람들을 사이코패스라고 한다. 예술가로서는 적합할지 몰라도 정치인으로서는 곤란하다.”는 등의 힐난이 이어졌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