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회의 사과로 끝나서는 안 된다. 오늘자 한국일보 사설 내용이다. 국무총리 사퇴에도 정부 비판 여론이 거세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번에도 간접화법으로 “책임 통감”, “내각 전면 쇄신” 등의 발언을 꺼낼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초동대처부터 사고수습까지 모든 면에서 실패했다. 그러면서도 언론 통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총체적 실패에 대한 책임을 대통령이 져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골든타임에 배는 1척, 헬기는 2대가 떴다. 전문가는 없었고, 얼치기들만 있었다. 경향신문과 조선일보 1면 머리기사 내용이다. 해경이 28일 공개한 동영상에도 짜깁기 의혹이 나오고 있다. 중앙일보는 해당 동영상의 촬영시간이 지나치게 짧을뿐더러, 일전에 해경에 공개한 갈무리 사진 장면이 이 동영상에 없다는 점을 들며 짜깁기 의혹을 제기했다.

다음은 2014년 4월29일 화요일자 전국단위 아침 종합신문 머리기사 제목이다.

경향신문 <골든타임에 배 1척 헬기 2대…구조 전문가도 없었다>
국민일보 <10:17 배에서 마지막 카톡 왔다>
동아일보 <시간 많았는데… 아무도 선실로 구조하러 안갔다>
서울신문 <성난 민심이 묻다…“대통령은 왜 사과 안 하나”>
세계일보 <숨겨진 유씨 계열사 무더기 포착>
조선일보 <현장에 전문가는 없고 ‘얼치기’만 많았다>
중앙일보 <비리·부실의 뿌리, 관피아 카르텔>
한겨레 <청와대 신문고에 ‘청해진 위험’ 고발 있었다>
한국일보 <마지막 카톡 10시17분… 희생 줄일 수 있었다>

   
▲ 중앙일보 3면
 
해경 ‘골든타임’ 동영상, 짜깁기 의혹

28일 해경이 세월호 침몰 당시 사고 현장에 처음 도착한 경비정 123정이 찍은 동영상을 공개했다. 이 동영상에는 지난 16일 오전 9시 28분부터 11시 17분까지 상황이 담겨 있다. 경비정이 도착한 시각, 세월호는 50~60도 기울어 있었다. 9시 38분 고무보트를 타고 세월호로 건너 간 해경은 이준석 선장 등 일부를 구조했다. 그러나 선내에 진입하진 않았다.

해경은 그동안 ‘수사’를 이유로 동영상을 공개하지 않았다. 중앙일보는 <12일 지나 뒤늦게 동영상 공개… 해경, 일부 숨긴 의혹>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당초 해경은 ‘수사 증거 자료는 일절 보여줄 수 없다’며 동영상 공개를 거부했다. 이로 인해 ‘사고를 책임져야 할 선장 등을 해경이 감싼다’는 비판이 일었다. 그럼에도 해경은 10일 넘게 버텼다”며 “그러다 28일 오전 갑자기 공개했다. 해경은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라고 했다. ‘선장 등을 보호하려 한다’는 비판을 의식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나 중앙일보는 해경이 공개한 동영상이 짜깁기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중앙일보는 동영상이 16일 오전 9시28분58초부터 11시18분4초까지 약 1시간49분간 벌어진 일을 기록했으나 동영상의 전체 길이는 9분45초라는 점, 지난 16일 공개한 동영상 갈무리 사진 7장이 동영상에는 없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해경은 승조원이 중간 중간 휴대폰으로 동영상을 촬영했다고 해명했고, 사진도 휴대폰으로 촬영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중앙일보는 “확인 결과 16일 사진에는 휴대전화로 찍은 촬영 사진 파일이라면 들어 있어야 할 카메라 종류와 촬영 날짜 등의 정보가 없었다”며 “사진이 아니라 동영상 캡처로 볼 수밖에 없는 대목”이라고 보도했다.

그 시각 세월호 안에 있던 단원고 학생들은 구조되지 못한 채 있었다. 세월호 안에서 보낸 것으로 확인된 카카오톡 메시지의 전송 시각은 10시17분이었다. 경향신문 1면 기사 <“대기하라더니 방송 더 안 나와”… 마지막 카톡은 10시17분>에 따르면, 침몰 직전 승객들이 보낸 메시지 중에는 “기다리라는 안내방송 이후 다른 안내방송을 안 해준다”는 내용이 있었다.

28일 검경 합동수사본부에 따르면, 당시 마지막 메시지를 보낸 사람은 단원고 학생으로 추정된다. 경향신문은 “이 학생은 현재까지 실종 상태”라며 “세월호에 있던 승객들이 보낸 메시지는 이후 아무것도 없었다. 이 메시지가 전달될 당시 세월호는 급속히 침몰되는 상황이었다. 선원들은 이미 해경 경비정 등을 이용해 탈출한 이후였다”고 보도했다. 해경 동영상을 보면 10시17분께 세월호는 100도 이상 기울어져 뒤집히고 있었다.

   
▲ 경향신문 1면
 
“살인범은 따로 있다”

중앙일보 이철호 수석논설위원은 28일자 <[시시각각] “세월호 진짜 살인범은 따로 있다”>에 대형선박 선장에서 선주가 된 두 사람을 인터뷰한 내용을 실었다. 이들은 ‘사고 원인’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배를 아는 사람은 침몰 영상에 담긴 비밀을 다 안다. 첫째, 배는 대개 밑바닥이 해저에 닿아 가라앉는다. 세월호는 뒤집어진 채 침몰했다. 배 윗부분이 더 무거웠다는 뜻이다. 둘째, 가장 끔찍한 건 선수 밑 부분이 이틀간 물 위에 떠 있던 장면이다. 일반인은 에어 포켓이라 희망을 걸었지만 진실은 정반대다. 그곳은 뱃사람들이 생명수라 부르는 평형수가 들어있어야 할 곳이다. 그곳에 공기가 들어찼으니 뜬 것이다. 평형수가 턱없이 부족해 복원력을 상실했다는 증거다.”

‘그런 위험을 외부에서 눈치챌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은 이렇다. “모든 선박은 선수와 선미에 만재흘수선이 표시돼 있다. 화물 과적으로 이게 물에 잠기면 출항 금지다. 사고가 나면 고의적 범죄로 간주돼 보험금조차 못 받는다. 원래 화물과 평형수는 1등 항해사가 맡는다. 선장이 출항 전에 반드시 체크하는 게 GM(무게중심과 경심과의 거리: 화물량과 평형수에 따라 달라짐)이다. 이게 기준보다 작으면 출항을 거부하고, 선주도 꼼짝없이 받아들이는 게 바다의 법칙이다. 다만 선장과 1등 항해사가 짜고 화물 과적량만큼 평형수를 적게 넣으면 만재흘수선은 물 위에 나오게 된다. 이런 꼼수로 GM이 무너진 채 바다로 나가는 것은 죽음의 항해나 다름없다.”

급변침을 사고 원인으로 지목하는 의견에 대해 이들은 “뱃사람의 눈에는 그들은 큰 죄가 없다”며 “변침이 주범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들은 “복원력을 상실하면 빙판에서 자동차를 모는 거나 같다. 세월호는 군산 앞바다부터 기울었다는 증언이 있다”며 “저녁에 샤워하고 아침 식사 준비로 배 밑의 식수가 줄었을 것이다. 운항 과정에서 배 밑의 기름도 소모했다. 가뜩이나 부족한 평형수가 더 줄어든 셈”이라고 말했다.

진짜 범인은 누굴까. 이들은 ‘인천항에서 화물을 과적하고, 만재흘수선을 눈속임하기 위해 평형수에 손을 댄 인물’이라고 말했다. “비밀의 열쇠는 선장과 1등 항해사가 쥐고 있다. 평형수 펌프를 맡는 기관장도 비밀을 알 수 있는 위치다. 하지만 진짜 살인범은 배 위가 아니라 육지에 숨어 있다. 인천항에서 화물을 과적하고, 만재흘수선을 눈속임하기 위해 평형수에 손을 댄 인물이다. 세월호는 규정보다 화물을 2000t 더 실어 운송비 8000만원을 추가로 챙겼다. 배는 모르면서 돈만 밝힌 인물이 진짜 살인범이다.”

1월 청와대 신문고에 접수된 청해진해운 ‘위험’ 경고

지난 1월 청와대 민원 시스템에 청해진해운 선박이 위험하다는 민원이 접수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한겨레 1면 머리기사 <청와대 신문고에 ‘청해진 위험’ 고발 있었다>에 따르면, 침몰 석달 전인 지난 1월20일 청해진해운의 전 중간관리자 A씨는 청와대 온라인 민원실인 ‘청와대 신문고’에 이 회사 소속 오하마나호(인천~제주 운항)가 2006년부터 2007년 사이 6개월 동안 4차례의 선박사고를 냈고, 1월 현재에도 파공(구멍)이 발견된다고 썼다.

한겨레는 당시 A씨가 A4 용지 11장 분량의 글에서 청해진해운의 각종 비리 의혹을 고발하면서 △2006년 오하마나호의 연속적 사고 무마와 배후에 대한 의혹 △성수기 정원 초과 운항 및 해당 운임 횡령 의혹 △불법적 비정규직 직원 채용 기간 연장 △일부 청해진해운 관계자의 화물 운임 유용 의혹 △선내 매출금의 비자금 전용 의혹 등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한겨레는 청와대 신문고는 “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국민신문고’로 자동연결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이 고발 민원 내용을 몰랐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겨레에 “민원인이 국민신문고에 민원을 접수하며 고용노동부를 처리 기관으로 지정했고, 노동부 산하 서울남부고용노동지청이 자체적으로 민원 처리를 완료했다”며 청와대는 해당 민원을 사전에 알 수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한편 27일 오전 한 시민이 청와대 누리집에 올려 화제가 된 <당신이 대통령이어선 안 되는 이유>는 작성 하루 만인 28일 오전 조회수 50만 건이 넘었다. 28일 한때 접속이 안 될 정도였다. 이 글은 다큐멘터리 감독 박성미씨가 지난 25일 페이스북에 쓴 글로 현재 삭제됐다. 박 감독은 28일 오후 6시께 같은 글을 다시 올렸다.

총리 내보낸 박근혜, 회의석상 사과로 사건 끝?

   
▲ 서울신문 1면
 
청와대가 정홍원 국무총리를 내보냈지만 비판 여론은 거세지고 있다. 서울신문은 1면 머리기사 <성난 민심이 묻다… “대통령은 왜 사과 안 하나”>에서 청와대 게시판에 오른 박성미 감독의 대통령 비판 글을 거론하며 “이는 해프닝일 수 있는 사건이지만 청와대의 ‘사과’를 요구하는 민심의 일단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신문은 “청와대는 이날 ‘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에 대해 사과를 하지 않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때가 되면 나오지 않겠느냐’며 조만간 어떤 형식으로든 사과가 나올 것임을 암시했다”고 보도했다. 서울신문은 지금까지 사과가 나오지 않은 데 대해 박 대통령을 오랜 기간 보좌했던 한 정치인이 “개인적인 성품도 하나의 원인일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국무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관련 대국민 사과를 약속하고, 수습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한국일보는 사설 <박 대통령 ‘진정성 있는 책임 사과’ 필요하다>에서 “모든 것을 대통령이 다 할 수는 없지만, 최소한 어느 부처가 총괄하고, 현장 구조 작업의 지휘는 누가 하고, 사후 대책은 어디서 마련할지를 정리해줬어야 했다”며 “박 대통령이 현장 방문에 이어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공직사회의 안이함을 질타하고, 정홍원 총리에 사고대책본부장을 맡겼지만, 눈에 보이는 효과만 있었을 뿐 실질적 결과나 실무적 효율성과는 무관했다”고 지적했다.

한국일보는 “이 와중에 청와대 관계자들은 재난 담당이 아니라는 발뺌에 급급해 국민들을 다시 한 번 실망시켰다”며 “정 총리의 사의 표명과 사고 수습 후 경질 방침도 국면 전환을 위한 미봉책으로 비치고 있다”고 썼다. 한국일보는 “국민이 원하는 것은 진정성”이라며 “수많은 인명 피해에 대한 진실한 아픔, 사고 전말과 구조 과정에서 드러난 혼선과 무책임에 대한 반성, 비리를 철저히 개혁하겠다는 의지와 능력을 원한다”고 썼다. 한국일보는 “그 출발은 정부를 이끄는 대통령의 진정한 사과”라며 “국무회의에서 간접화법으로 언급하고 지나가는 유감 표명은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정규직-비정규직 격차 더 벌어졌다

고용노동부가 28일 전국 3만1663개 사업체 소속 노동자 82만 명의 2013년 6월치 급여를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월 임금 격차는 158만1천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8년 134만9천 원보다 24만 원 이상 차이가 커진 것. 한국일보 12면 기사 <정규직·비정규직, 월 임금 총액 격차 158만원으로 더 벌어졌다>에서 “시간당 임금 격차는 소폭 줄었지만, 비정규직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 여전히 정규직의 64%에 그쳤다”고 보도했다.

한국일보 기사를 보면, 정규직의 지난해 월 임금총액은 298만5천 원이었다. 2008년 256만9천 원에서 41만6천 원 올랐다. 반면 비정규직은 2008년 122만 원에서 2013년 140만4천 원으로 18만4천 원 올랐다. 한국일보는 “비정규직 중에서는 기간제 근로자의 월 임금평균이 199만 6천 원으로 가장 높았고 파견 169만7천 원 용역 153만4천 원, 일일 146만 원 순이었다”고 전했다.

고용노동부 손필훈 노동시장분석과장은 “비정규직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 상승률이 정규직보다 높지만 근로시간이 적어 월 임금총액 격차는 더 커졌다”고 설명했다고 한국일보는 전했다. 정규직-비정규직 간 시간당 임금 격차는 2008년 4136원에서 지난해 3982원으로 조금 줄었다. 그러나 시간당 임금은 비정규직 1만1259원, 정규직 1만7524원으로 비정규직의 임금은 정규직의 64.2%에 그쳤다. 노동부에 따르면 정규직은 월 평균 178시간을 일했고, 비정규직의 노동시간은 134.4시간이었다.

   
▲ 한국일보 12면
 
KT에 떨어진 ‘박근혜 낙하산’

KT에 ‘청와대 낙하산’에 이어 ‘박근혜 낙하산’이 떨어졌다. KT는 자회사 스카이라이프 사장으로 박근혜 정부 초대 홍보수석을 지낸 이남기 성균관대 교수(전 SBS미디어홀딩스 사장)를 내려 앉힌 데 이어 최근 KT의 위성사업을 담당하는 KT sat 사장에 송재국씨를 임명했다. 송씨는 지난 대선 기간 박근혜 대통령을 외곽에서 지원한 ‘서강바른포럼’ 공동회장 출신이다.

한겨레는 17면 <KT샛 새사장에 ‘박근혜 낙하산’ 논란>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황창규 회장 취임 이후 지난 대선 때 박근혜 대통령을 도운 조직에 몸담은 경력이 있거나 측근이 KT 경영진이나 임원으로 온 것은 송 대표가 처음”이라며 “KT 안팎에서는 이명박 정부 때 줄줄이 왔던 ‘낙하산 인사’가 박근혜 정부 들어 재현되지 않을까 걱정이 많다”고 보도했다.

한겨레는 “황 회장은 취임 뒤 이석채 전 회장 시절 낙하산으로 받았던 이명박 정부 인사들을 모두 내보냈다”며 “특히 지금은 KT가 인력 구조조정을 통해 직원을 8200여명이나 내보내기로 한 때”라고 보도했다. 송 사장은 한겨레와 통화에서 관련 경력을 내세우며 헤드헌터 제안을 받아 사장으로 왔다고 말했다. 그는 “서강바른포럼 회장을 지낸 것과 상관없이 능력을 인정받아 영입됐다는 얘기”라고 말했다고 한겨레는 전했다.

   
▲ 한겨레 17면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