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현장에서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는 민간 구조업체에 특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과연 정부가 해당 업체를 제대로 검증했는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세월호 수색작업에서 특혜를 받는다는 의혹이 일던 민간 구조업체 언딘 마린 인터스트리(UMI·Undine Marine industries)가 사고 책임 해운사의 계약업체라는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해양사고 발생시 선박소유자는 해사안전법 등 관련법규에 따라 군·경의 구조작업과 함께 효과적인 구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청해진이 해당 업체와 계약을 한 것은 합당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해당 업체가 '효과적인 구난 조치'에 적합하냐는 여전히 논란거리다. 언딘은 인명구조보다는 침몰선 인양에 전문성이 있는 업체이다. 언딘 누리집에서도 해양 플랜트, 선체 인양, 기름 유출 방제 등이 주요사업으로 기록되어 있고, 인명 구조에 대한 내용은 없다. 이에 따라 청해진과 언딘의 계약 내용이 수색구조가 아니라, 인양인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실제 해경 관계자도 "일단 계약내용은 인양계약이 맞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25일 미디어오늘과의 통화에서 "언딘은 17일에 (청해진과) 계약을 해서 인양을 하기 위해 왔지만, 도착해서 인명구조가 우선이기 때문에 인명구조 부분은 도와주기 위해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청해진과 언딘이 수색구조계약까지 했는지는 더 알아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여객선 '세월호' 침몰 사고 열흘째인 25일 오후 전남 진도군 관매도 인근 사고현장에 정박 중인 특혜수색 의혹에 휩싸인 '언딘 마린 인더스트리(UMI, Undine Marine Industries)에서 구조대원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CBS노컷뉴스 윤성호기자
 

그럼에도 언딘은 민관 합동수색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정부는 이같은 사실을 사전에 알고 있었을까. 만약 정부가 사전에 계약내용을 알고도 언딘을 합동수색팀에 넣었다면 논란이 될 수 있다. 사실상 인양 계약만 맺은 업체가 인명 구조에 적극적으로 임할 '의무'는 없기 때문이다. 사고 초기 정부는 언딘을 기다리며, 민간 잠수부들의 투입을 저지했다.

이에 대해 해경 관계자는 26일 미디어오늘에 "실종자 가족이 추천한 잠수부들을 투입하려 했지만, 실제 물에 들어갈 수 있는 잠수부가 몇 없었다"며 "언딘은 능력있는 업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해경 관계자도 “스킨스쿠버 경력의 잠수부와 구난 작업을 할 수 있는 잠수부는 다르다”며 “자칫 사고가 나면 모두 정부 책임이 되기 때문에 언딘을 기다린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정부가 이같이 말할만큼 언딘이 적합한 업체인지도 논란이다. 그간 정부는 언딘이 뛰어난 실력을 가진 업체라고 말해왔다. 언딘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국제구난협회(ISUㆍInternational Salvage Union)의 정회원사라는 것. 하지만 25일 이투데이 보도에 따르면 ISU가 정회원 자격은 실력인증제가 아닌 회원사 추천제이다. 정회원 가입이 기존 회원사 중 2곳의 동의만 있으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이 같은 사실은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해경 관계자는 "언딘이 ISU소속인 것은 알고 있었지만, 기존 회원사 2곳의 추천으로 가입이 가능한 사실을 몰랐다"고 말했다. 언딘을 합동수색팀에 투입하기 전에 검증이 부족하지 않았냐는 지적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이에 해경 관계자는 "제도적으로 몇 톤 이상의 선박을 구난하려면 어느 정도 이상의 능력을 가져야 한다"며 "언딘은 그 정도 실력을 갖춘 업체는 맞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