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언론사를 지원하는 공익재단을 설립하는 등 상생방안을 내놓는다. 언론사 콘텐츠 전재료도 인상한다는 계획이다. 도입 6개월째를 맞는 뉴스스탠드도 소폭 개편이 예상된다. 31일 네이버와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네이버는 삼성언론재단과 LG상암언론재단 등을 벤치마킹해 재단을 설립할 계획이다. 언론인 해외 취재 지원과 저술 지원, 석박사 과정 학비 지원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공식 발표 전까지 구체적인 내용을 함구하고 있지만 언론사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이 같은 내용이 상당 부분 공유돼 있는 상태다. 업계에서는 조중동 등 보수 언론의 비판에 시달리던 네이버가 언론사들에게 내놓는 화해의 제스처 성격이 짙은 것으로 보고 있지만 뉴스스탠드 전환 이후 페이지뷰와 매출 감소로 불만에 찬 언론사들을 달래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먼저 네이버 언론재단은 네이버에 우호적인 언론인들을 네이버 장학생으로 만드는 것 아니냐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명분은 그럴 듯하지만 언론인들을 돈으로 길들이고 부정적인 여론을 무마하려 한다는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네이버가 진정한 상생방안을 고민했다면 언론인 지원 방안이 아니라 언론 생태계를 복원하고 포털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발전적인 대안을 내놓았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콘텐츠 전재료 협상도 업계에서는 초미의 관심사다. 업계에서는 네이버와 다음, 네이트 등 3대 포털이 언론사들에게 지급하는 콘텐츠 전재료가 연간 300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네이버는 연합뉴스에만 30억원 이상, 전체 언론사에 150억원 가까이를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개별 언론사 단위의 구체적인 협상 내용은 철저하게 비밀에 부치고 있다. 포털 콘텐츠 전재료는 언론사 내부에서도 극비로 취급된다.

네이버와 콘텐츠 전재 계약을 맺고 있는 언론사들은 몇 년 전부터 단가 인상을 요구했으나 네이버는 뉴스는 돈이 안 된다며 곤란하다는 입장이었다. 그랬던 네이버가 먼저 전재료 인상을 제안한 것은 그만큼 궁지에 몰렸다는 반증이기도 하고 결국 돈으로 막는 수밖에 없다는 판단 아래 언론사들을 각개격파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업계에서는 네이버에 비판적이었던 언론사들에게 당근을 더 주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뉴스스탠드 개편은 소폭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최근 뉴스스탠드 레이아웃과 섹션 구성을 일부 개편했다. 종합지와 경제지, 인터넷신문으로 나뉘어 있던 카테고리를 종합/경제 카테고리로 통합하고 IT와 영자지를 구분했다. 마우스 휠과 키보드 방향키로 언론사들을 넘겨볼 수 있도록 한 것도 눈에 띄는 변화다. 전체적으로 편의성을 높였지만 크게 달라진 건 없다. 뉴스스탠드 시스템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네이버의 의도가 읽히는 대목이다.

업계에서는 네이버가 발표할 상생 방안에 뉴스스탠드와 과거 뉴스캐스트의 형태를 병행하는 방안이 포함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의견을 일부 수용한 결과지만 뉴스스탠드 설정에서 마이뉴스를 지정한 경우에만 첫 페이지에서 기사 제목을 볼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안이라 효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마이뉴스 설정 비율이 네이버 방문자의 5%도 안 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뉴스스탠드 회원사를 늘리고 검색 제휴를 전면 개방하기로 한 것도 눈길을 끈다. 업계에서는 네이버를 집요하게 비판했던 아시아투데이가 뉴스스탠드 회원사에 편입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돌았지만 네이버는 제휴평가위원회에서 결정할 일이라며 언급을 아끼고 있다. 검색 제휴 개방은 그동안 네이버의 문턱을 넘지 못했던 마이너 언론사들에게는 희소식이 되겠지만 검색어 낚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최근 최휘영 네이버 공동 대표가 직접 언론사 최고경영자들을 잇따라 면담하면서 업계 의견을 수렴하고 일부 반영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업계 반응은 아직도 냉담하다. 언론사들의 요구하는 것과 네이버가 제시할 수 있는 것의 간극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조중동 등은 네이버가 뉴스 편집을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네이버는 설령 돈이 안 되더라도 당장은 뉴스를 포기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네이버 상생 방안은 상생이라기 보다는 적당히 언론사들을 달래는 생색내기 차원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 언론사 관계자는 “네이버가 저널리즘적 가치를 고민하는 것처럼 떠들면서 네이버가 만든 질서를 강요하더니 결국 상생 방안이라면서 돈이나 몇 푼 집어주는 정도에 그친다면 실망이 클 것 같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이 같은 상생방안을 최종 보완해 이르면 다음달 초에 발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