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그동안 논란이 돼 왔던 뉴스 검색 제휴를 전면 개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뉴스 서비스를 전면 개편하는 방안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그동안 독과점 논란으로 곤혹을 치렀던 네이버가 언론사들에게 화해의 제스춰를 보이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그러나 뉴스스탠드 개편 이후 부글부글 끓고 있는 언론사들의 불만을 잠재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14일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네이버는 현재 250여개 정도의 검색 제휴 언론사를 전면 개방하고 뉴스스탠드 제휴사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뉴스스탠드 제휴사 선정 방식도 전면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11월로 예정된 뉴스스탠드 개편 방안은 로그인 사용자에 한해 과거 뉴스캐스트 방식을 병행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뉴스스탠드 제휴 언론사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14일 디지털타임즈가 입수해 공개한 네이버 뉴스 투명성 제고 방안에는 기사 노출방식과 관련 자문단을 구성하고 뉴스스탠드 제휴매체 선정방식과 서비스 구조를 개선하고, 온라인 뉴스 유료화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을 하겠다는 등의 원론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뉴스편집 가이드라인 연구반을 발족하고 정치 뉴스 독자위원회를 구성하는 등의 내용도 담겼다. 네이버는 이르면 이주 중으로 이 방안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들의 전망을 종합하면 네이버가 내놓을 당근은 첫째, 오프라인 신문을 대상으로 지면보기 서비스 확대와 수익 배분, 둘째, 한겨레와 NBP가 맺고 있는 검색 광고 제휴 확대, 셋째, 뉴스 유료화 시스템 지원, 넷째, 뉴스스탠드와 뉴스캐스트 일부 병행, 다섯째, 뉴스스탠드와 검색 포함 제휴 언론사 확대 등으로 정리된다. 이 가운데 어느 것도 딱히 새롭지 않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평가다.

한 언론사 관계자는 “네이버 입장에서는 내놓을 수 있는 걸 모두 다 내놓은 셈이지만 뉴스스탠드 이후 트래픽이 급감한 메이저 언론사들을 달래기에는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른 한 언론사 관계자도 “정치권에서 포털이 뉴스를 다루지 못하게 하는 방안까지 거론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런 원론적인 수준의 해법으로 위기 국면을 돌파할 수 있을 것인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뉴스 유료화 지원에 대한 평가도 냉담하다. 한때 조중동 등의 제안으로 네이버가 유료화 지원 시스템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오히려 조선일보 등은 네이버 주도의 유료화 모델에는 관심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에서는 포털 중심의 공짜 뉴스가 위기의 원인인데 뉴스 유료화까지 네이버 플랫폼에 종속될 수는 없다는 반감도 큰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검색 제휴 개방 등은 메이저 언론사들 의존도를 줄이려는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메이저 언론사들까지 가세한 검색 어뷰징을 차단하려는 의도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지만 오히려 무분별한 낚시 경쟁을 부추기는 결과가 될 거라는 우려도 나온다. 마이너 언론사들 사이에서는 첨예의 관심사지만 메이저 언론사들에게는 결코 달갑지 않은 변화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제휴를 맺은 언론사들만 검색해주는 국내 포털 사이트들의 독특한 검색 철학은 포털 사이트의 본분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 많았다. 콘텐츠의 가치 이전에 제휴 여부를 우선적으로 반영한다는 이야기다. 국내 언론사들은 네이버에서 검색되는 언론사와 검색되지 않는 언론사로 나뉘었고 여론 영향력과 광고 단가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네이버가 검색 제휴를 개방한 것은 원칙적으로 맞는 방향이지만 메이저 언론사들에게는 환영받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 관계자는 “검색 제휴 확대를 포함해 뉴스 서비스 개선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고만 말했다. 네이버 김상헌 대표는 지난 4월 뉴스스탠드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최소 6개월은 지켜보겠다”고 밝힌 바 있다. 네이버는 최근 “11월에 뉴스스탠드 개편이 예정돼 있다”고 밝히기도 했지만 아직 큰 방향만 정해둔 채 여론과 업계 반응을 살피고 있는 단계인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