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찰’이란 말의 최근 유행을 생각한다. 유명한 이들이 자신의 행실로 생긴 문제를 수습(收拾)하는 과정에서 선택하는 단어다. 좀 그럴싸하게 들리는지 비슷한 상황의 다른 인사들도 고개 숙일 때면 으레 불찰 타령이다.

미국서 ‘특수 업무’ 수행 중 뭇 눈길의 과녁이 된 권력의 상징(象徵)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발언에서 비롯된 듯한 이 유행, 금력(金力)의 상징 삼성그룹 이재용 부회장이 사회적 배려의 대상자임을 자처하며 결과적으로 티끌 같은 선생님 등을 범죄자로 타락시킨 행태에 대한 소감도 ‘불찰’이니 홍두께 같은 이 유행 제대로 막 올랐나?

얼굴 좀 두꺼운 이들이 막다른 골목에 이르러 제 잘못을 마지못해 인정하며 들먹이는 단어로 오용되는 사례다. ‘잘 못 했습니다.’가 아니고 ‘살피지 못했습니다.’라는 것이 불찰이다. ‘미안합니다.’ 대신 ‘내 마음에 꺼림칙함이 좀 있습니다.’라며 한 발 뒤로 빼는 뻔질거리는 말 유감(遺憾)처럼. 하긴, 그만큼 행세하는 이들 쯤 되면 무슨 말인들 못할까. 솔직하지도 않고, 다만 비겁한 어법이다. ‘큰 일 하시는 이들’이니 하며 한풀 접어 줘도 듣는 사람을 바보로 알고 하는 (듯한) 이 말투가 마음에 걸리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이 말을 온전한 사과(謝過)로 받아들이는 것은 말뜻을 몰라서인가, 아니면 발언자의 위세에 눌려서인가? 언론도 그 말씀들 따라 적기 바쁘다. 모두, 하릴없이.        

타자수(打字手)라는 옛날 직업, 다른 사람(윗 사람)의 말이나 대충 적은 글을 타자기를 써서(두드려서) 번듯한 문서(文書)로 만드는 일을 했다. 워드프로세서 역할도 해 내는 개인컴퓨터의 시대가 되면서 자취를 감췄다. 대개 젊은 여성들이었다. 이 타자수들도 말이나 글에 잘못이 있으면, 제 아는 한도 안에서는, 바루어 썼다. 누구라도 그러지 않았겠는가?

   
찰(察)의 일부인 제(祭)의 초기 글자 갑골문은 피 뚝뚝 떨어지는 고기를 든 손이고, 금문은 제단(祭壇)의 그림이기도 한 보일 시(示)가 덧붙었다.
 
이 말 불찰을 입에 담는 이들이나 언론인 등 중간에서 전해준 이들이나 하나같이 이 말의 뜻을 모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아니면 이런 어리숙한, 엉뚱한, 우스꽝스러운 뉘앙스의 말을 그리 정색(正色)하고 썼을 리가 없다. 한 번 더 생각하면, 마치 구정물 뒤집어 쓴 것 같은 모욕감이 드는 말이다. 차라리 웃고 마는 것이 속 편할 터.

축구스타 기성용 같은 이까지 “저의 SNS 글에 관련한 문제는 모두 저의 불찰입니다.”라고 그 행렬에 줄 섰다. 팬들의 사랑 먹고 산다는 연예인인 정형돈이라는 이마저 ‘함량 중량 미달 돈가스 사태’에 불찰론(論)을 편 것을 보면 개콘 보듯 마냥 웃자고 하는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잘못’이 아니고 한갓 ‘실수’ 정도라는데, 그게 웃어넘길 일인가?

불찰(不察)을 사전은 ‘조심해서 잘 살피지 아니한 탓으로 생긴 잘못’이라 푼다. 말하자면 조건부(條件附) 잘못인 것이다. 본질적인 의미의 잘못은 아니나 ‘주의를 기울여 챙겨줘야 했는데 그렇게 하지 못한 데서 생긴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라는 뉘앙스다. 다시 설명하자면 ‘불찰=잘못’이 아니다. 관련성은 있지만, 무게도 어감도 다른 말이다. 꼬투리 즉 단서(端緖)가 붙은 이 말 불찰을 사과랍시고 내붙인 그 유명인사 제씨(諸氏)들에게 우리 시민들이 흔쾌히 “그래 잘못 뉘우쳤으니 그만하면 됐네.”하며 너끈히 마음 풀 수 없음은 당연하다. 사과는 상황에 맞는 형식을 갖추어야 한다.

찰찰불찰(察察不察)이란 말이 있다. ‘찰찰이 불찰이다.’라고도 쓰는 이 말은 ‘밤새 궁리한 꾀가 제 죽을 꾀’라는 속담과도 통하는 저자 거리의 말이다. ‘잘못했습니다.’로 해결될 일을 ‘제 불찰입니다.’하여 긁어 부스럼 만든 꼴이 됐다. 사과하는 시늉만 내겠다는 비겁한, 음흉한 의도가 아니었다면 말이다.

   
강상헌 언론인 · (사)우리글진흥원 원장
 
천량 빚도 갚는다는 ‘말’은 제대로 써야 한다. 촌철살인(寸鐵殺人)은 검도(劍道) 교본의 용어가 아니라 ‘말’에 관한 경구(警句)다. 사람들 무지 관심 많은 처세술(處世術)의 도구이기도 하겠지만,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엄정한 예의이기도 하다. ‘말의 뜻’을 아는 것, 그래서 중요하다. 마음이 말로 배어나온다는 점도 잊지 말아야 할 터다.

<토/막/새/김>
찰(察)은 면(宀)과 제(祭)의 합체다. 또 생김새 때문에 갓머리라고도 하는 宀, 고기 육(肉), 손 우(又), 보일 시(示)의 합체이기도 하다. 이 4글자들의 어원은 그림이다. 그림이 디자인화(化)하여 이룬 기호들이 모여 (뜻을 합쳐) 연관되는 다른 뜻을 짓는다. 고기[肉]를 손[又]에 들어 (신에게) 보이는 것[示]이 제사(祭祀)다. 집[宀]에서 제사[祭]를 지내기 위해서는 제수품(祭需品)도, 제단[示]과 조상 신 오시는 현관도 깨끗해야 한다. 살핀다는 뜻으로 察이 쓰이게 된 유래다. 그림 보듯, 시(詩) 읽듯 직관(直觀)의 문자 한자를 새기는 방법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