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묻혀 있던 진실을 발굴해 재조명하는 다큐멘터리 영화들이 속속 선보이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 <백년전쟁>과 <비념>, <천안함 프로젝트> 등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을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들이 대중들의 공감대를 이끌어내면서 영화가 언론이 찾아내지 못한 진실에 접근하는 하나의 대안 미디어로 부상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지난달 27일 전주국제영화제에서 공개된 다큐멘터리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는 수많은 의혹에도 정부 측 조사단의 결과 발표를 끝으로 수면 아래로 가라 앉아버렸던 천안함 사건을 둘러싼 진실 규명 논쟁을, 언론계가 아닌 영화계가 다시 수면 위로 이끌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천안함 프로젝트를 기획한 정지영 감독은 “많은 사람이 마음속에 공유하고 있는 문제가 수면에 가라앉아 있으니까 이걸 다시 한 번 고민하고 토론해 보자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

   
▲ 4월 27일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된 다큐영화 '천안함 프로젝트'. 아우라픽처스 제공.
 
현재 군 당국은 영화가 군의 명예를 훼손할 소지가 있다며 상영금지 가처분 신청까지 검토하고 있지만 영화 제작사 측은 국방부의 대응이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어 논란은 더 뜨거워질 전망이다.

지난 제주 4·3 추념일을 전후로 ‘함께 보기’ 캠페인까지 일었던 영화 ‘비념’은 제주 4·3사건으로 현재까지 고통받고 있는 강상희 할머니의 개인사에서 출발한다. 4·3사건으로 남편을 잃은 강 할머니의 삶을 중심으로 잊혀가는 제주 4.3사건이 실제로 존재했고, 지금도 이어지고 있는 역사임을 전한다. 영화를 연출한 임흥순 감독은 제주의 낭만적인 풍경 속에 묻힌 시린 역사와 기억들을 무려 2년이 넘는 시간 동안 카메라에 담아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다큐멘터리 영화가 대안 미디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은 영화라는 장르가 가진 다양하고 풍부한 관점 덕택이라고 분석한다. 황진미 영화평론가는 “단순히 (사건의) 고발 차원이 아니라 그때 죽은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를 아우르며 위로하는 진혼제 같은 형식을 띠고 있다”며 “영화를 보았을 때 사람들에게 다가오는 부분도 결국은 그런 제의적인 요소가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 영화 '비념' 포스터. 사진출처='비념' 공식 블로그
 
임흥순 감독은 “언론과 영화 모두 각자의 분야에서 역할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언론에서 진실을 밝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제주 4·3 사건에 보듯이 실제 현실은 우리의 생각과 이성을 넘어서기도 한다”고 말했다. 임 감독은 제주 4·3 사건을 겪었던 많은 당사자를 직접 만나면서도 실제로 어떤 고통을 겪었는지 들었을 뿐이지 그들의 고통을 느낄 수는 없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는 “언론에서 다루는 객관적인 사실만이 진실이 아니라 좌우 이념이나 이분법을 떠나 다양한 분야에서 풍부한 관점과 시각으로 사건을 조명하는 것이 진실을 궁금해 하는 대중에게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영화가 역사나 사회 이슈와 같은 민감한 주제를 다룰 때 자칫 지나치게 주관에 치우칠 수 있는 부분은 숙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허지웅 영화평론가는 “르포가 됐든 영화가 됐든 텍스트가 갖춰야 할 최소한의 조건과 예술 본연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둬야 한다”며 “의견이 갈리는 사회적 이슈나 역사적 사건을 영화로 만들 때 지나친 정치적 편향이나 주관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 깊게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한국 근현대사 100년을 다룬 4부작 다큐멘터리 백년전쟁 포스터. 사진출처=역사정의실천 시민역사관 누리집
 
이승만·박정희 두 전직 대통령을 비판적으로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백년전쟁’은 이승만 전 대통령 유족들의 고소로 역사적 진실 논쟁이 법정에서까지 벌어지게 됐다. 유족들은 허위 사실로 사자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주장이지만 영화를 제작한 민족문제연구소 측은 역사적 자료를 기반으로 만든 패러디 물이므로 하등의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최종한 세명대 방송연예학과 교수는 “언론은 새로운 사실이 나오지 않는 이상 기사화하지 않지만 영화는 좀더 자유롭게 주제를 다룸으로써 사건 자체가 재조명될 기회를 제공한다”며 “엄밀히 보면 영화가 가진 극적인 부분과 언론 보도의 논픽션은 다른 영역이므로 언론이 혼동의 소지를 줄여줄 필요는 있지만, 관객에게 궁금증과 다른 시야를 제공하는 영화의 기능은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