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가 돈이 탐났다면 재벌을 뺐었을 것이다. 60년 4월 혁명 때 부산일보와 부산MBC가 혁명을 생중계했다. NHK가 이걸 보고 타전을 보냈고, 전 세계로 퍼졌다. 박정희는 당시 부산지역 계엄사령관이었다. 이걸 보고 언론장악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는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신관 소회의실에서 배재정 민주당 초선의원 등이 개최한 ‘박근혜 의원과 정수장학회’를 주제로 연 특별 강연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한 교수는 박정희 정권이 고 김지태씨의 부일장학회(현 정수장학회)를 강탈한 과정에 대해 당시 자료를 근거로 “본래 중앙정보부의 김지태 동향보고에는 긍정적인 내용이 대부분이었지만 박정희의 수사 지시 이후 급변했다”며 “이후 중앙정보부는 김지태를 ‘금력과 권력에 의해 변절하는 기회주의적 편승파’, 부일장학회를 정치성이 기재된 곳이라고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부일장학회 등 김지태씨 재산이 1962년 3월부터 7월까지 강제헌납된 과정에 대해 한 교수는 박정희의 지시 이후 1962년 초 김지태씨 회사 직원들 10여 명과 김씨의 부인 송혜영씨마저 구속됐다고 전했다. 김씨는 그해 4월 귀국해 징역 7년을 구형지만 재산포기각서를 쓴 뒤에야 풀려났다. 이 과정에서 설립된 것이 5·16장학회이다. 이를 두고 한 교수는 “국가가 장물아비가 돼 장물 전용 지갑으로 5·16장학회를 만든 것이 (지금의) 정수장학회에 이르게 됐다”고 꼬집었다.

특히 한 교수는 박정희가 김씨의 재산을 강탈한 목적 ‘언론장악’에 있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박정희가 돈이 탐났다면 재벌을 뺐었을 것”이라며 “왜 언론사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60년 4월 혁명 때 부산일보와 부산MBC의 혁명 생중계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박정희는 당시 부산지역 계엄사령관이었고, 이걸 보고 언론장악의 필요성을 절감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정수장학회 보유 언론사 자산의 성격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정수장학회는 MBC 지분 30%, 부산일보 100%, 경향신문 사옥대지를 보유하고 있다. 한 교수는 “MBC 지분 30%면 10~20조 원”이라며 “박정희 18년 집권 뒤 10조 원 자산을 관리할 수 있는 정수장학회가 지금까지 있는 것이야말로 ‘한강의 기적’보다 더한 기적”이라고 풍자했다.

이 문제를 해결할 방안은 사회환원으로, 고 김지태씨 가족에게 장학회를 돌려줘 이들의 뜻에 맡겨야 한다고 한 교수는 제안했다. 한 교수는 “박근혜 의원은 ‘관계없다’, ‘사회에 환원했다’고 얘기하는데 진짜 공익재단이라면 원래 주인의 손으로 돌려주고 원 주인의 뜻에 맡겨야 한다”며 “박정희가 5·16장학회 만들 때 ‘陰水思原’(음수사원)이라는 글을 썼다. 물을 마실 때는 근원을 생각하라는 뜻인데 정수장학회 장학금의 근원은 ‘장물’이다. 장학금을 받는 학생들에게는 ‘모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