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위원장 심상정, 정개특위)가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 등 정개특위 자문위원들을 불러 정치개혁 방향을 물었다. 정개특위 자문위원들은 모두 ‘연동형 비례대표제’로 개혁에 동의하고, 이를 위해 국회의원 증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형오 전 국회의장은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하려면 국회의원 의석을 늘리는 것을 전제로 하는데 국민이 용납하기 힘들다”면서도 “하소연으로 풀 문제가 아니고 국회가 국민에게 신뢰와 믿음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최장집 고려대 정치학과 명예교수는 정개특위의 한계를 짚으며 ‘최소주의적 접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개헌과 함께 논의되는 상황이 아니기에 정개특위의 개혁 범위는 대통령 중심제와 상응하는 제도로 한정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최 교수는 ‘최소주의적 개혁, 온건한 개혁’이라도 이루도록 하는 게 정개특위 몫이라고 꼽았다. 

▲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에서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회의와 함께 자문위원들의 자문을 듣는 시간을 가졌다. 사진=정민경 기자.
▲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에서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회의와 함께 자문위원들의 자문을 듣는 시간을 가졌다. 사진=정민경 기자.
최 교수는 의원수 증원에도 대폭 늘리지 않고 50~60명 정도 증원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최 교수는 “의원 수를 증가할 때 기존의 소선거구제를 기본으로 유지하되, 지역구선거구를 그대로 두고 비례대표를 증원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현재 비례대표 의석수 47명은 300명 의원 중 16% 정도인데 전체 의원수의 비례구성비를 30%만 되도록 해도 80, 90명이 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체 의원수도 50~60명 정도로 늘어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의원 증원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한국 국회의원 정수가 국회의원 1인당 국민 수 17만 명을 상회한다는 점(OECD 국가 평균은 10만 명) △국회의원 수가 거의 변하지 않는 동안 청와대의 규모는 민주화 이후 지속적으로 확대된 상황에서 견제를 위한 국회증원 필요 △다양성 측면에서 대표성이 약한 현재 상황 등을 들었다.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 역시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방향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국회의원을 50~60명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김 기자는 이를 위해서는 공천제도가 달라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기자는 “비례대표 의석을 늘린다면 옛날식으로 돈받고 자리를 받는 일이나, 당권을 쥔 사람이 마음대로 임명을 하는 방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전했다.

성한용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역시 다른 자문위원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의견을 밝혔다. 성 기자는 “국민이 욕하니까 의원 증원이 어렵다고 이야기하는데 그냥 욕을 먹고 늘려라”라며 “언제까지 반감을 이유로, 의원 300석을 유지할 것이냐”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