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7일) 가장 관심을 끄는 뉴스는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이재용 삼성 부회장의 만남이었다. 조선, 중앙, 동아일보는 관련 소식을 서로 다르게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1면 아래쪽에 <삼성 “바이오 규제 완화를” 김동연 “전향적 검토”>란 제목으로 보도한데 이어 5면 머리기사에 <삼성 “바이오산업을 제2 반도체로… 일자리 많이 만들 것”>이란 제목으로 보도했다. 중앙일보도 1면 아래쪽에 <이재용 “삼성만의 가치로 일자리 많이 만들 것”>이란 제목으로 보도한데 이어 2면 머리기사에 <김동연 “일자리 20만개 땐 광화문서 춤출 것… 삼성에 기대”>란 제목으로 보도했다.

▲ 김동연 부총리와 이재용 부회장의 만남을 다룬 조중동 사진. 위에서부터 조선일보 3면, 중앙일보 2면, 동아일보 5면
▲ 김동연 부총리와 이재용 부회장의 만남을 다룬 조중동 사진. 위에서부터 조선일보 3면, 중앙일보 2면, 동아일보 5면

조선 3면 <청와대 의식했나… ‘소문난 만남’ 어정쩡하게 끝났다>

중앙 2면 <김동연 “일자리 20만개 땐 광화문서 출출 것… 삼성에 기대”>

동아 1면 <삼성 “바이오 규제 완화를” 김동연 “전향적 검토”>

조선일보, 김동연-이재용 만남 靑비판 불쏘시개 활용

그러나 조선일보는 1면에 두 사람의 만남을 아예 보도하지 않았다. 대신 조선일보는 3면에 <청와대 의식했나… ‘소문난 만남’ 어정쩡하게 끝났다>는 머리기사를 썼다. 조선일보는 청와대의 투자구걸 논란에 김동연 부총리가 말을 아낀채 “삼성, 지배구조 개선해야”한다고 발언한데 이어 삼성은 AI·바이오·반도체 등 100조 투자 준비하고도 발표를 안했다는데 집중했다.

중앙일보와 동아일보가 담담하게 보도한데 반해 조선일보는 두 사람의 만남을 청와대 비판의 소재로 삼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정상적 사진 많은데도 고개숙인 이재용 사진

김동연 부총리와 이재용 부회장의 만남을 찍은 사진에서도 조선일보는 색다른 모습을 보였다. 조선일보는 3면에 ‘김 부총리에 깍듯한 인사’하는 이재용 부회장의 모습을 부각시키며 차에서 내린 김 부총리에게 고개 숙인 이재용 부회장의 모습을 실었다.

반면 중앙일보는 2면에 구내식당에서 식판을 나란히 들고 걸어가는 김 부총리와 이 부회장의 사진을 실었고, 동아일보는 5면에 두 사람이 식당에서 대화를 나누며 밥 먹는 장면을 실었다. 중앙일보와 동아일보 사진에서 두 사람은 자유로워 보였다. 그러나 조선일보 사진에서만은 달랐다. 조선일보는 인도에서 이 부회장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고개 숙인 모습처럼 이번에도 부총리보다 훨씬 더 고개 숙인 이 부회장이란 이미지를 보여줬다. 굳이 이렇게까지 두 사람이 불평등해 보이는 사진을 사용해야 했을까.

새 비서관 6명 임명도 운동권 청와대로 비판

조선일보 오늘 지면엔 청와대에 불편한 기색이 곳곳에 역력했다. 조선일보는 청와대 새 비서관 6명 임명 소식을 전한 8면 기사에서도 ‘자영업비서관에 인태연… 靑 새 비서관 6명 중 5명이 운동권’이란 제목으로 청와대가 386 운동권이 판치는 공간임을 애써 부각시켰다. 이 기사 작은 제목에도 ‘이석기 석방 주장해온 강문대’, ‘이적단체 출신 정현곤도 발탁’이란 제목을 실었다. 

▲ 조선일보 8면
▲ 조선일보 8면
조선일보는 사회조정비서관에 임명된 강문대 변호사와 시민참여비서관에 임명된 정현곤씨를 지목했다. 조선일보는 강문대 비서관이 단병호 의원실 보좌관 출신으로 민변 사무총장을 지냈고 최근까지 양심수석방추진위원회 소속으로 활동하면서 이석기 전 통진당 의원의 석방을 주장해왔다고 했다. 강문대 변호사는 민주노총 법률원 소속 변호사로도 꽤 오랜 기간 일했는데 이 사실은 언급하지 않았다. 조선일보는 정현곤 비서관에겐 제주해군기지와 밀양송전탑 건설을 반대하는 활동을 해왔다고 지적했다.

남북노동자 축구대회도 전교조 비판에 활용

조선일보는 10면에 ‘교사들에게… 남북노동자 축구 관중 모으라는 전교조’라는 기사에서 전교조가 교육과 무관한 행사에 교사들을 동원하려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전교조가 무슨 큰 불법을 저지른 범죄집단처럼 매번 매도해온 조선일보의 이 기사는 보수층의 반전교조 심리를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전교조의 이번 활동이 법에 저촉된 것도 아닌데 굳이 그래야만 했을까.

▲ 조선일보 10면
▲ 조선일보 10면

특수고용직 고용보험 의무화도 맹비난

이르면 내년부터 100만명에 달하는 특수고용직과 예술인들도 고용보험에 의무가입해 실업급여를 받는다. 정부는 학습지교사와 택배기사, 연예인 등 직종별로 특수고용직의 고용보험 가입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할 방침을 밝혔다. 고용노동부 고용보험위원회가 지난달 31일 특수고용직과 예술인의 고용보험 적용방안을 심의의결해서다.

그동안 특수고용직들은 고용보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 한국일보는 이 소식을 10면에 ‘학습지 교사·택배기사·연예인도 실업급여’라는 제목으로 담담하게 보도했다. 그러나 매일경제신문은 이날 1면에 특수고용직의 고용보험 의무화를 ‘일자리 없애는 최저임금 2탄’이라고 재계의 반대입장만을 중심으로 보도했다. 동아일보도 관련 소식을 8면에 전하면서 ‘재계, 일자리 쇼크 우려’라는 제목으로 보도했다.

특수고용직의 4대 사회보험 가입확대는 노무현 정부 이후 역대 정권의 계속된 정책이었다. 이들이 1997년 구제금융 이전에 대부분 일반 노동자였다가 재계의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자영업자로 전락한 사람들이다. 이 때문에 특수고용직은 정부조차 정확한 통계를 잡지 않은채 방관하는 사이에 100만명 이상으로 불어났다.

▲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동아일보 8면, 한국일보 10면, 매일경제 1면
▲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동아일보 8면, 한국일보 10면, 매일경제 1면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