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 만의 남북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를 위한 ‘숙제’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지난 10일 김여정 북한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은 문재인 대통령과의 청와대 오찬에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친서를 전하고 초청 인사를 전했다. 이 자리에서 김 제1부부장은 문 대통령에게 “(김 위원장이) 문 대통령을 이른 시일 안에 만날 용의가 있다. 편하신 시간에 북을 방문해주실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앞으로 여건을 만들어 성사시켜나가자”고 답했다. ‘여건을 만들자’는 문 대통령의 말에는 남북대화 현실화를 앞에 둔 청와대 고민이 담겼다는 해석이 나온다. 12일 전국단위종합일간지들은 상당한 지면을 관련 소식에 할애하며 제각기 해석을 내놨다.

다음은 12일자 전국단위종합일간지 1면 머리기사 제목.

경향신문 “문 대통령 '평양 가는 길' 아직 멀다”
국민일보 “포기는 없다… 일어서는 한국 청년들”
동아일보 “김정은의 초청장… 南-北-美 수싸움 시작”
세계일보 “北 초대장에 남북관계 새 전기… 정상회담까진 난제 산적”
조선일보 “김정은 ‘核 빠진 대화’ 초대… 文대통령 딜레마”
중앙일보 “남북 정상회담 난제… 한·미 공조가 열쇠”
한겨레 “남북정상회담, 북-미 중재 ‘운전대’에 달렸다”
한국일보 “평양에서 온 초대장… 열쇠는 북미 대화”

경향신문은 1면 “문 대통령 ‘평양 가는 길’ 아직 멀다”에서 문 대통령이 이북 땅을 밟기 전까지 넘어야 할 장애물들을 언급했다. 문 대통령 입장에서 정상회담을 마다할 이유가 없으나 남북관계와 북핵 문제를 둘러싼 현실을 감안하면 “문재인 정부가 ‘뜨거운 감자’를 손에 쥐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는 것이다. 북한이 남북관계 개선 의지를 보이면서도 ‘비핵화’는 입에 올리지 않았고 북·미 접촉도 현재로서는 요원하다.

한겨레는 1면 “남북정상회담, 북-미 중재 ‘운전대’에 달렸다”는 기사에서 이른바 ‘한반도 운전자론’에 집중했다. 한겨레는 “평창겨울올림픽을 계기로 한반도에 불고 있는 훈풍은, 지난 정부 9년간 얼어붙은 남북관계를 녹이고 북핵 문제 해결까지 이어갈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며 “‘한반도 운전자’를 자임해온 문 대통령으로서는 훈풍을 동력삼아 평화의 길로 달려가는 ‘운전 실력’을 보여야 하는 시험대에 앉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20180212_한겨레_북, 제재 벗어날 ‘변화’ 모색…미 “한국과 접촉, 일치된 대응”_북한_한반도정세 03면.jpg
한겨레는 3면 “북, 제재 벗어날 ‘변화’ 모색… 미 “한국과 접촉, 일치된 대응””에서 “남북관계 진전이 북핵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면 미국도 마다할 이유가 없다는 뜻으로 읽힌다”고 해석했다. 한겨레는 “10일 백악관 풀기사를 보면, 미 행정부 고위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북한의 초청을 수용한다면 마이크 펜스 부통령의 한국 방문이나 지난 1주일 동안 보낸 대북 메시지를 손상시키는 것으로 보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아니다. 결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한겨레는 사설(“이젠 정말 한국이 한반도의 ‘운전석’에 앉을 때다”)에서 한겨레는 “문 대통령이 말한 ‘여건’이란, 유엔의 대북 제재와 ‘코피 전략’까지 운운하는 미국의 강경 일변도 정책의 변화를 뜻할 것이다. 남북 정상회담이 이런 국제 정세를 무시하고 열리긴 어렵다”고 했다. 한겨레는 이어 “결국 미국과 북한을 한발짝씩 물러서게 해 돌파구를 열어낼 책임은 문재인 정부에 있다. 문 대통령이 누누이 말했듯이 지금이야말로 한국 정부가 한반도 문제의 운전석에 앉을 때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한국일보 역시 3면 ““美와 대화 나서달라” 김정은에 일단 공 넘긴 文대통령”에서 남북정상회담 카드가 청와대에 ‘양날의 칼’이 됐다고 전했다. 한국일보는 “남북관계 개선을 통해 북핵 문제를 풀어갈 절호의 기회가 찾아 왔지만, 비핵화 진전 전망 없이 무턱대고 대화 여론을 높였다간 미국은 물론 국내 보수여론의 반발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한국일보가 언급한 “국내 보수여론의 반발”은 12일자 조선일보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1면 “김정은 ‘核 빠진 대화’ 초대… 文대통령 딜레마”에서 윤덕민 전 국립외교원장 입을 빌려 “정부는 핵 있는 북한과의 공존이 가능하다고 보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20180212_조선일보_대화 이어가려는 靑… 韓美훈련 재개 전에 '정상회담' 시동 걸 듯_북한_한반도정세 03면.jpg
조선일보는 3면 “北, 핵 안건드리고 살길 찾으려 ‘南 흔들기’”에서도 “‘핵과 평화는 공존 가능하다’는 논리로 문재인 정부와 남한 사회를 흔들어 제재를 약화하고, 한·미 관계를 이간하는 것이 북한의 대외 정책 우선순위임을 시사한다”며 북측의 ‘불순한 의도’를 의심했다. 조선일보는 “미국은 11월 중간선거와 트럼프 대통령 본인의 탄핵 가능성 때문에 비핵화 원칙도 흐지부지될 것이란 기대 아래 일단 남북 관계를 개선해 시간을 벌겠다는 의도”라는 외교소식통 발언을 담았다.

조선일보는 남북정상회담보다 평화적인 수단이 ‘대북 제재’라고 주장했다. 조선일보 사설(“金 회담 제의에 신중 대처한 文, 북핵 폐기가 최우선이다”)은 “북이 핵 포기 의사를 밝히지 않아 미·북 회담이 열리지 않으면 결국 조급증을 드러내고 북의 의도에 말려들 가능성이 있다”며 “북핵 해결의 열쇠는 대북 제재에 있다. 이것만이 평화적으로 문제를 풀 유일한 수단이다”라고 주장했다.

동아일보는 사설 “南北정상회담, 굳건한 韓美공조 돌다리 건너서 가야”에서 문 정부가 당장 ‘북한 비핵화’ 관련 성과를 가져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아일보는 “정상회담을 했는데도 비핵화 문제에 아무 진전을 이루지 못한다면, 그것은 치명적 후폭풍을 가져올 수 있다”며 “지금은 200년, 2007년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의 방북 때처럼 조건 없는, 과감한 만남 자체에 연연하고 감격할 시기가 아니다”라고 했다.

미국 측 반응에 대해서도 신문사별 ‘포인트’ 차이가 눈에 띈다. 한겨레가 미국 정부측의 ‘신중한 반응’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조선일보는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의 강경 대응을 부각했다. 4면 “펜스 “北정권의 가식 방관 안해…압박 계속한다””에서 조선일보는 “그(펜스 부통령)는 특히 문 대통령과 김여정 등 북한대표단이 면담하고 있을 때인 10일 오후 1시38분 트위터에 ‘미국은 북한 정권의 선전과 가식이 국제무대에 퍼지도록 방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글을” 올렸다고 전했다.

중앙일보는 6면 “남북 정상회담, 한·미 훈련 취소로 보상해선 안 돼” “3월25일까지 미뤄둔 한·미 훈련… 그 전에 북·미 대화 시작하는 게 관건” 기사 등을 통해 남북정상회담이 한·미 군사훈련에 영향을 미치지 말아야 한다는 우려를 담았다. 동아일보도 3면 “文대통령 “여건 만들어 성사”… 4월 한미훈련이 첫 고비”를 실었다.

김여정 부부장에 대한 과도한 시선

평창동계올림픽은 김여정 부부장의 ‘외교 데뷔 무대’이기도 했다. 한국일보는 “전문가들은 김여정 제1부부장의 데뷔 무대에 합격점을 줬다”며 “외신도 북한의 김여정 카드를 성공적이라 평했다”고 전했다.

20180212_한국일보_北 ‘퍼스트 시스터’ 데뷔전… CNN “올림픽 외교부문 금메달감”_북한_한반도정세 05면.jpg
20180212_조선일보_김여정, 늘 고개 꼿꼿이 들고 시선은 위로_북한_한반도정세 05면.jpg
한편 일부 언론은 김 부부장의 ‘심리’를 넘어 ‘신체 상태’를 꿰뚫어보기에 이르렀다. 동아일보 “오른쪽 45도 비스듬한 글씨… 김씨 일가 비슷한 필체”, 조선일보 2면 “백두체, 우월한 위치 과시하려는 심리” 등은 김 부부장의 필체를 두고 그의 성향을 분석했다. 조선일보는 심지어 김여정 부부장 임신설을 제기했다. 김 부부장의 모습을 ‘묘사’하며 현안과 관계 없는 그의 ‘몸’에 집중했다. 5면 “김여정, 늘 고개 꼿꼿이 들고 시선은 위로”에서 조선일보는 “김여정은 10일 저녁 강릉에서 열린 조명균 통일부 장관 주최로 열린 만찬장에선 외투를 벗고 의자에 조심스럽게 앉았다. 이 과정에서 김여정의 마른 체형에 비해 배가 도드라져 나온 모습이 포착됐다. 몇 년 전 김여정의 결혼설이 돌았는데 임신한 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왔다”라고 썼다.

검찰 “다스 주인은 MB” 결론?”

검찰은 MB 다스 소유 의혹에 대한 답을 찾았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겨레는 1면 “이명박의 다스·박근혜의 최순실… ‘대통령 맞춤형’ 뒷돈 대온 삼성”에서 “삼성의 일관된 로비 구조는 이재용 부회장의 상고심 등에서 ‘억울한 피해자일 뿐’이라는 삼성 쪽 주장을 반박하는 근거로 부각될 가능성도 있다”며 “다스 소송비 대납 결정과 관련해 이 부회장이 또다시 검찰 수사 선상에 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짚었다.

한겨레는 ‘커지는 MB 다스 소유 의혹’ 관련 소식에 10면을 모두 할애했다. 한겨레 특별취재팀은 “‘한사람’ 향하는 진술들…#그래서 다스는 ‘그분’ 것”에서 “참여연대 등을 통해 입수한 김종백씨와 다스 전·현직 임직원들과의 통화 녹음도 전수 분석했다”며 “다스가 이 전 대통령의 소유임을 입증하는 결정적 장면을 정리해 소개”했다.

20180212_한겨레_‘한사람’ 향하는 진술들…#그래서 다스는 ‘그분’ 것_사회 10면.jpg
20180212_한겨레_삼성, MB정부때 이건희 사면·금융지주사법 개정 등 특혜_사회 11면.jpg

삼성이 이명박·박근혜 정부 ‘맞춤형 로비’를 해왔다는 정황도 보도됐다. 한겨레 11면 “삼성, MB정부때 이건희 사면·금융지주사법 개정 등 특혜” 기사다.

한겨레는 이 기사에서 “검찰이 다스의 비비케이 투자금 반환 소송비용 대납 혐의로 8~9일 이학수 전 삼성전략기획실장(부회장) 자택과 삼성전자 사옥 등을 압수수색하면서, 삼성이 박근혜 정부뿐 아니라 이명박 정부와도 ‘유착’관계였는지 관심이 모인다”고 전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특별사면, 삼성 총수 일가 경영승계를 수월하게 했다고 지적받아 온 금융지주회사법 개정안, 이건희 회장 차명계좌에 과징금 물리지 않은 금융당국 등이 근거로 제기됐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