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4대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거에 관한 빈번한 여론조사와 경쟁적이고 흥미위주의 언론보도에 대한 우려와 비판이 늘고 있다. 여론조사의 전문성과 보도의 객관성 문제가 그것이다.

여론조사의 기본은 통계적 기법에 근거한 확률표본 추출에 있다. 일부를 조사, 이를 토대로 전체의 여론을 추측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 표본수는 결과의 신뢰도와 오차한계를 결정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표본수와는 무관하게 조사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표본 오차도 무시할수 없다. 비표본 오차에는 설문작성, 면접원의 질문방식이나 응답거부 등이 있으며 이는 조사 기반의 능력에 크게 좌우되고 있다.

그러므로 모든 조사내용을 상세히 공개해야만 투명성과 신빙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언론보도에서는 이런 것들이 제대로 소개되지 않고 왜곡되거나 피상적으로 설명될 뿐이다.

뿐만 아니라 조사결과의 추론에서는 축적된 보조자료를 이용해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데 이런 자료는 거의 부재상태다. 조사기관들의 협력으로 이같은 기술향상을 위해 자료의 공동활용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언론이 과당경쟁의 양상을 띠고 보도를 흥미위주화하고 있는 점도 큰 문제다. 객관적으로 실시한 조사의 보도에는 기자의 주관적 해설이나 추측이 혼재될 수 없다. 많은 경우에 조사결과 보도에 주관적인 서술이 포함돼 독자들의 판단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으며 조사자체에 대한 불신도 조장되고 있다.

조사보도는 객관적이어야 하며, 조사 이외의 방법으로 취재된 내용이나 축적된 주관적 경험에 바탕을 둔 추측은 반드시 언론사의 의견 또는 주장으로 분류되는 사설이나 컬럼에서 처리해야 할 것이다.

최근의 여론조사에서 소위 ‘가상대결’이라는 지지도 조사는 공천이나 출마자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자유로운 의사결정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언론이 스스로 당선예측이라는 부담을 지고 있어 여론조사보도를 왜곡하고 있는 예도 있다.

선거여론은 단지 조사시점에서의 지지도일 뿐 투표당일 투표자에 의해 판가름나는 당선여부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조사시의 응답자 중에는 투표당일에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도 포함돼 있으며 이들을 분간할 수도 없다.

예상투표자의 성향과 투표율 등을 기존의 보조자료와 함께 분석, 당락을 예측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보조자료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조사의 보도는 조사에서 얻은 내용을 조사의 신뢰도와 오차한계에서 서술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객관적 보도인 것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