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지자체 선거를 맞아 시민사회단체들의 언론 감시운동이 예전 선거때 보다 활발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과거 선거보도 감시운동이 몇몇 사회단체들의 고립 분산적 활동에 그친 반면 이번 지자체 선거에서는 시민단체들이 전국적인 연대조직을 결성하는 것을 비롯, 다양한 실천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한차원 높은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사회단체들 사이에 언론의 선거보도가 선거의 흐름과 유권자의 선택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인식이 몇차례의 선거 경험을 통해 확산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9월 언론사 노동조합을 포함, 47개 사회단체가 참여해 결성된 방송개혁국민회의는 이같은 움직임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국민회의는 지난 5월 이번 지자체선거와 관련, “정치권력과 언론의 유착으로 인한 폐해가 우려된다”며 전국규모의 언론감시기구인 선거방송대책본부를 발족시켰다. 선대본은 모니터팀, 기획팀, 선전홍보팀등 실무기구를 가동해 선거보도 모니터, 성명 발표, 언론사 항의방문 등 다양하고 입체적인 프로그램들을 진행중이다.

주요도시의 사회단체들도 지역언론의 선거보도와 관련, 독자적인 활동을 펴고있다. 특히 부산, 광주민주언론운동협의회는 자체적으로 선거보도 특별기구를 결성하고 모니터 활동을 비롯, 선거보도관련 토론회 등을 갖고 있다.

이처럼 과거와 달리 사회단체들의 선거보도 감시운동이 전국적 범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도 문제점은 적지않다. 선거보도 모니터의 전문성 부족이 그것이다. 대부분 모니터팀이 직장인, 주부들의 자발적 참여로 구성돼 있는 반면 전문가들의 참여는 극히 미미해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대두되고 있다. 언론사들이 이들 모니터 결과보고서를 외면하고 있는 표면적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와 관련 사회단체와 언론사 노조, 언론학자 등 전문가 집단이 긴밀히 연대해야 한다는 주문도 나오고 있다. 시민단체의 열의와 인적구조에 전문가들의 식견이 결합되면 언론사도 이를 외면하지 못할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보도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갈 수 있으리라는 기대다. 이를 위해 언론사 노조가 공정보도 감시활동에 보다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