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통신노조가 19일 언론중재위에 중재신청을 한데 이어 언론사를 상대로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하겠다고 밝힘으로써 한통사태를 둘러싼 언론보도가 본격적으로 도마에 오르게 됐다.

사실 그동안 언론은 한통사태 발생시점에서부터 여느 노동쟁의 보도와 마찬가지로 불균형 보도로 일관해 왔다는 지적을 받았다. 원인규명이나 사태의 정확한 전달보다는 권력과 사용자의 시각에서 일방보도를 해왔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통사태의 근본원인이 사측에 있음에도 불구, 노조에 모든 책임을 씌우는 듯한 보도를 해왔고 정부와 사용자의 입장에 맞춰 마치 노조가 통신대란 등 국가전복 음모를 꾀하고 있다는 식의 보도를 해왔다.

또 노동쟁의를 해결하기 위한 최선책이 노사간 대화를 통한 해결임을 모르지 않으면서도 정부의 강경태도에 맞장구 치거나 부추기는 보도를 해 국민들로 하여금 이번 한통사태를 왜곡되게 받아들이도록 유도했음은 익히 지적된 바 있다.

이같은 보도태도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라 주요한 정치적 이슈가 있을 때마다 약방의 감초처럼 튀어나오는 우리언론의 병폐성 관행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통사태에 대한 정부의 강경대응이 지자제선거 국면전환용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언론이 누구보다 먼저 인지했음에도 불구, 아무 검증없이 정부에 맞장구치고 나온 것도 따지고 보면 예의 언론의 경사된 노사관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읽어 볼 수 있다.

이번에 대통령이 ‘국가전복 음모’를 들고 나온 것이나 박홍총장이 ‘북한사주’를 들고 나온데 대해 논리적 근거를 헤아려 보지도 않고 여과없이 주요기사로 보도한 것도 권력과 가진자에 기울어져 있는 병폐성 관행에서 그 근원을 찾아 볼 수 있다.

따라서 한통노조가 중앙 언론사 다수를 상대로 중재신청에 이어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 청구를 제기하겠다는 방침을 표명한 것은 개별 보도에 대한 잘못을 바로 잡겠다는 의미도 있지만 언론보도의 그릇된 관행에 문제를 제기했다는 측면으로 확대해석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같은 문제제기에 대해 현재로선 언론사가 쉽게 응해 줄 것 같지 않다는 관측이 유력하다. 일단 오랜 관행을 허물기에는 언론계 내부의 노사관이 복원력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심하게 경사돼 있는데다 이번 사안의 경우에도 최고권력자가 관련돼 있는 만큼 해당 언론사들이 한통노조의 정정보도요구를 수용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결국 이 사안은 법정으로까지 이어질 공산이 크다. 그럴경우 정정보도 청구소송외에 손해배상 소송까지 제기돼 언론사로서는 더 큰 부담을 안아야 한다.

박홍총장도 이번에는 자신의 발언에 대한 대가를 톡톡히 치러야 할 전망이다. ‘북한장학금 교수’건때는 언론사만 곤욕을 치렀지만 이번 ‘명동성당, 조계사 농성 북한사주’ 발언만큼은 한통노조가 그냥 넘어가려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렇다.

노조는 현재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는 한편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할 것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한통사태를 둘러싼 언론보도가 어떻게 심판 받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