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자당 참패와 야권승리를 낳은 6.27 지자체선거 결과가 서울신문에 심상치 않은 기류를 만들고 있다.
이른바 여권지로 인식돼 온 서울신문의 입지가 그만큼 좁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신문판매 시장에서 서울신문이 안게될 부담은 상당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같은 부담은 서울신문이 그동안 정부에 상당한 부수의 신문을 판매해 온 것에 뿌리가 닿아있다.

신문판매시장엔 ‘공보지’라는 독특한 판매방식이 있다. 공보지의 역사는 박정희 대통령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가 국민계도라는 명분을 내세워 주로 친여적인 성향을 띤 매체들과 지방지들을 공보지로 선정, 일정량을 구입했다. 이 공보지를 시청 등 관공서가 행정조직의 말단인 통반장에게 까지 무상으로 전달해왔다.

이 공보지 시장의 상당부분을 서울신문이 차지해 온 것은 언론계에 잘 알려진 사실이다. 현 정부들어서 그 부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고는 하나 서울신문은 서울시청에만 9만5천여부를, 전국적으로로는 20여만부를 공보지라는 명목으로 판매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문 한부당 월구독료가 6천원이니 한달이면 12억, 1년이면 1백억원 이상이 정부가 사주는 신문인 셈이다. 서울신문이 스스로 밝힌 유가부수는 80만부다. 이가운데 공보지가 전체 유가지의 25%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공보지 시장인 서울시가 민주당에 넘어갔고 서울시 대부분의 구청장 역시 민주당이 장악한 상황이다. 광주, 전남북, 대전, 충남북, 강원등 상당수 지역의 단체장도 야권소속 후보들에게 넘어갔다.

서울신문은 선거직전 1면머리기사 등을 통해 ‘조순후보 6.25 부역’(23일 1면머리기사) ‘조순후보 남로당 입당설 해명하라’(1면 사이드) 는 상대후보측의 주장을 여과없이 키워 조후보측으로부터 “너무하는 게 아니냐”는 불만을 사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자체 선거기간동안 보여준 논조도 ‘자승자박’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내년 예산안이 확정되는 올해 말께면 서울신문의 판매전략이 전면 수정돼야 할 상황이 올 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